애초에 공정한 경기라는 건 존재한 적 없다에 동의합니다. 더 많은 정보와 부모의 부(자본), 교육 인프라에 노출된 사람이 지금의 대입에서는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그러니까 저와 같은 평범한 부모들도 떠밀려 갈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여 있지요.
[슬픈 경쟁, 아픈 교실] 미니소설 10편 함께 읽기
D-29
굳고정한갈매나무
스콜라
공정하지 않지요. 아이에게 늘 이야기합니다. 네가 21세기 대한민국의 네 부모와 살아서 누리는 것들을 당연히 여기지마라. 전부 운이다.
어디든
공정한 경기라는 건 애초에 존재한 적이 없다고 해도 아이의 말처럼 “경기 규칙이 잘못됐다고 반칙을 저질러도 되는 건 아니”라는 것에 더 많이 동의합니다. 기억전달자에 나오는 사회처럼 모두가 비슷한 부모아래 비슷한 가정 환경 속에 살아갈 수 없는 것이 현실 이지요. 그러한 사회문화적 격차를 줄이려고 하는 것이 공교육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불법이 횡행하는 사회이므로 불법을 저지르는 것이 정당하는 주장보다는 불법이 횡행하므로 더욱 더 법은 엄격하게 준수되어야 한다는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싶어요. 그런 사회적 신뢰가 굳건한 사회에서 다양한 상황의 모든 시민들이 더 많은 기회를 얻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양지바른그곳
"공정한 경기는 애초에 존재한 적이 없다. "... 저도 현재 경기장이 공정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걸까요? 애초부터 만들어 보질 않은 걸까요?
무조건 공평한하다고 해서 공정하게 되는 것도 아니지만,
공평하게 나눈 경험이 없어서 공정한 것이 어떤 것인지 잘 모르겠어요.
JY
살아보니 틀린 말은 아니라는 생각이 우선 듭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룰을 위해 또 잘못을 범하는 건 결국 다 지는 경쟁이 아닐까요. 스스로의 상황을 바꿀 수 없으면 주어진 자리에서 할 수 있는 걸 하는 게 최선이고 그게 결국 자신의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공정함이 동일함은 아니니까 아버지가 말한 공정한 경기의 의미를 다시 짚어봐야 해요.
연해
음, 우선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는 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적인 것만 바라면 아무것도 개선되지 않을 테니까요. 그런 의미에서 2번에 대한 제 대답은 동의한다는 입장입니다. 이미 출발선 자체가 다르죠. 각자 처한 환경이 다르고, 가족 구성원이 다르고, 경제적 상황도 다 다를 겁니다. 때문에 공정하지 않은 세상인 걸 모두가 알고 있고, 그렇다면 그 세상을 어떤 방향으로 바꿔가야 (되도록)모두에게 공정할 수 있을 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칼럼에 담긴 아버지의 말처럼, 규정을 뭉개고 위선자가 돼야 하는 순간을 잘 파악하는 사람이 결국은 사회지도층 인사가 되죠. 그리고 그 사회지도층 인사가 교육 방안을 만들어낼 테고요. 남들도 다 하니까, 나도 하지 않으면 도태되고 말 거야 가 아니라, 나부터 하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모이고, 다수가 되면 이 공고한 층에 조금이라도 균열이 생기지 않을까 (헛된)기대를 해봅니다.
글리
공정하지 않은건 사실이지만, 공정하지 않은 경기라고 반칙 편법 다 써도 된다는 건, 상황에 굴복하는 비겁함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과지상주의 세상은 모두에게 비극입니다. 부메랑처럼 돌아가리라 생각합니다.
크레센트
과정과 환경까지 포함시켜야 한다면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세상에 그런 기준에서 보면 공정한건 아무것도 없겠죠. 하지만 우리에게 주어진 것은 결국 주어진 상황에서 내가 얼마나 최선을 다할 수 있었으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일을 선택했는가. 그것을 즐기면서 살아갈 수 있는가. 그것들에 집중하며 비교하지 않고 나를 위한 삶을 살아가는 우리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dollmang2
씁쓸하지만, 그런 것 같아요! 공정하지 않지요. 돈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은 출발점이 다르니깐요. 공정하지 않으니 공정한 세상을 함께 만들어보자고 하는 게 아니라 세상은 공정하지 않으니 우리도 공정하지 않아도 돼!라고 말하는 어른이라니. 나는 그렇게 말하지 않는 어른이야, 부모야!라고 말하는 것만으로 공정하지 않은 세상에서 살아가는 어른으로 책임을 다하는 건가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꿈꾸는사람
공정한 경기는 애초에 존재한 적이 없다는 말에 동의합니다. 부모가 안정된 벌이를 가지고 시간과 정보력을 갖고 자녀 교육에 투자할 수 있는 경우, 자녀의 공부 시간과 노력을 단축해주니까 그렇지 못한 , 그렇게 못하는 가정과 비교할 때 같은 출발선상에 있다 보기 어렵죠...
보는어니
두 번째 질문 답
공정한 경기는 없다는 아버지 생각에 동의합니다. '공정하다는 착각'이라는 책에서 조목조목 입증했듯 교육도 공정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공정하지 않은 경기에 편법으로 편승하기보다 함께 배우는 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해 고민하고 애를 써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책방파랑
'공정하다'의 정확한 뜻이 무엇일까요? 출발점에 대한 동일함?과 기회의 균일함?을 말한다면 세상에 공정한 것은 거의 없다고 해야할 같습니다. (제가 모르는 무엇인가는 있을 수 있으니) 주인공 소년은 분명 평균 이상의 기회를 누리고 있고 선택의 기회가 있죠. 이러한 상황이 누구에게나 주어지는 것은 아니며, 공정에 가까운 경기는 있지만 완벽한 공정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깜휘
애초에 공정한 경기는 없었다는 아빠의 말은 사실이죠. 그러나 공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불 공정한 행위를 해도 된다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그건 비열하고 이기적인 태도죠. 그동안 많이 누렸으니 이젠 공정한 경기를 만들기 위해 양보해야하지 않을까요? 진단은 정확했으나 처방은 이기적인 아빠입니다.
독립출판식목일
동의하지 않아요.
뭐, 그럼 다른 부분에서 모자란게 있는 인생 전체로보면 결국 공평하고, 그 순간 공정하지 못하다 느끼는 거지, 결국 주어진 시간에 누구에게나 공정한 경기이지요.
돈 많아도... 뭐가 그렇게 공허한지... 중독과 범죄 안저지르는 아이들이 없는게 아니고, 또 잘 지내보여도 갑자기 슬픈 선택을 하는 성공한 사람들을 보기도 하고요. 어쩌면 오늘 이 순간에도 웃으며 고난을 즐기며 지나는 그 사람이 가장 성공한 자가 아닐런지요!!!
Hwihwi
공정한 경기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아버지의 발언은 동의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자기가 가지고 태어났던 물질적, 사회적, 문화적 자본에 감사해야 한다고 생각합 니다. 살아보니 세상에 나 혼자의 힘으로 뭔가를 이룰 수 있었던 적은 한 번도 없습니다. 누군가의 돌봄, 호의, 지지가 눈에 보이지 않게 있었습니다. 누군가의 노동으로 만들어진 상품을 사용하고, 밥을 먹고, 이동을 하고 살아갈 수 있었습니다. 서로가 서로에게 기대어 살았기에 오늘의 내가 있을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가진 것도 나눠야만 이 세상이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굳고정한갈매나무
아침마다 그믐에 들어와서 어떤 글들이 올라왔을까 기대하며 읽고 있는데 @Hwihwi 의 글을 읽으며 오늘도 함께여서 감사하다~ 그런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되네요^^ 감사합니다~
책이고파
시험을 볼 수 있는 기회만 공정하지, 점수를 잘 받을 수 있는 경험은 다 다릅니다. 공정하지 않다는 거죠. 부모들은 최고의 기회를 자녀에게 주고 싶지만...
화제로 지정된 대화
요즘부모연구소
장강명 작가님이 <킬러문항 킬러 킬러> 독자들에게 보내는 세 번째 질문
3. 소설 마지막에서 소년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정부를 속이고 자신은 아버지와 어머니를 속이는 기만의 연쇄’를 고민합니다. 한국 공교육과 사교육 부문에서 나오는 이야기 중 ‘이건 말이 안 되는 소리인데 다들 말이 되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는 기만을 느끼신 적이 있습니까? 교육 개혁 방안이든, 입시 전략이든 어떤 내용이든 괜찮습니다.
굳고정한갈매나무
저는 6학년 아이를 키우고 있는데, 아이를 위한 교육과 입시가 제가 30년 전 경험했던 것과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 늘 놀라고 있습니다. AI, 4차 산업혁명 등 세상을 엄청난 속도로 달라지고 있는데 말이죠. 그래서 이번 2028 대입 개편안을 기대했습니다. 고교학점제가 잘 안착이 되어 아이가 원하는 내실있는 교육이 공교육 내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게 되길 바랐어요. 그, 런, 데 교육부는 저의 기대를 무참 히 꺾고 기만하셨습니다ㅠㅠ 개편안은 여전히 수능은 5지선다, 학교내신은 상대평가, 수능은 5등급 상대평가로 줄세우기를 강요하고 있어요. 학교는 이제 사실 암기에서 벗어나도 되지 않을까요? 검색창과 챗 GPT로 사실은 언제나 확인할 수 있으니까요. 저성장, 환경오염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는 험난합니다. 이제는 문제해결능력, 생각하는 힘, 자기주도성 등의 역량을 키우는 학교 교육과 평가가 필요합니다.
스콜라
2028 대입 개편안을 보면 고교 학점제 무력화를 꾀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대학 들어가기는 어렵고 졸업하기 쉬운 것 말이 되지 않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