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까지 읽은 부분에서 인상적인 내용을 알려 주세요.
『사이언스 이즈 컬처』 혼자 읽기
D-29
도우리
장맥주
“ 마이클 섕크스_어떤 사람이 현장성을 느끼는 이유는 이런 식의 피상적 요소 때문이 아니라 내러티브의 충실성 때문입니다. 이러한 그래픽 작업이 던지는 내러티브는 잠깐의 산책 이상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이러한 모델은 매우 그럴싸하고 자연스러운 데다 ‘현실’처럼 보이겠지만 대상을 이해하는 데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합니다. 평면 배치나 마름돌의 형태 등이 당시의 삶을 짐작하는 데 쓸모가 없다는 뜻입니다. 이것은 그저 착시이며, 대상의 외형에만 집중하여 관찰자에게 현실 같은 느낌을 일으킬 뿐입니다. ”
『사이언스 이즈 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12장 인공물에 관하여,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윌슨 &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이창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섕크스_ 이러한 모델은 관찰자의 참여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참여란 단순한 유적 방문 같은 것이 아니라, 무질서한 데이터를 체계적인 정보로 탈바꿈시키고 이를 줄거리가 있는 이야기로 만들어 사람을 끌어들이는 과정을 말합니다. ”
『사이언스 이즈 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12장 인공물에 관하여,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윌슨 &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이창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섕크스_ 이렇게 정교하게 과거를 재현하는 모델을 보면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면서 결국 우리는 세상을 더 잘 이해할 것이다’라는 식의 낙관론을 대하는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이런 식의 디지털 고고학은 엄청난 데이터를 이용해서 과거를 다시 되살려낼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배후에 깔려 있습니다. 이는 죽은 사람을 살려내는 것만큼이나 불가능한 일입니다. 과거는 끝났고 붕괴되었으며, 파괴되고 사라졌습니다. 얻을 수 있는 것은 그저 몇 개의 파편뿐입니다. 이것이 고고학의 매력이죠. ”
『사이언스 이즈 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12장 인공물에 관하여,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윌슨 &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이창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섕크스_제가 보기에는 이 문제들이 호모사피엔스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된 것 같습니다. 제가 흔히 하는 말은 이겁니다. “인류의 새벽부터 우리는 사이보그였다. 인간은 항상 사물, 상품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초기에, 제가 초기라고 하는 것은 12만 년 전쯤을 말합니다만, 인간을 인간이도록 해준 것은 사물을 능숙하게 다루는 능력이었을 것입니다. 여기서 사물이란 ‘기계스러운’ 조립품을 말합니다. 물론 정식으로 기계라고 부를 수 있는 물건들은 아니었지만요. ”
『사이언스 이즈 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12장 인공물에 관하여,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윌슨 &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이창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섕크스_ 인류학자의 관점에서 볼 때 어떤 사람이 그 자신이라는 사실은 오직 그의 내적인 특성에만 관계되는 것이 아닙니다. 진정한 자아는 다른 사람 속에, 그리고 사물과 우리와의 관계 속에 존재합니다. ”
『사이언스 이즈 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12장 인공물에 관하여,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윌슨 &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이창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섕크스_지금 이 방에는 에어컨이 꺼져 있고 열 전달의 패턴은 냉방이 꺼져 있다는 사실을 따릅니다. 물리학자로서의 선생님은 보통 사람들과는 다른 시각으로 세상을 봅니다. 투자가로서의 선생님은 아마 이 건물을 재개발해서 주거용 건물로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 이 방 안에서 일어나는 일 중에는 결정된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다. 그러니까 여기서는 이런저런 일이 일어나고 있으니 이런저런 식으로 이를 표현해야 한다는 정답이 없다는 뜻이죠. ”
『사이언스 이즈 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12장 인공물에 관하여,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윌슨 &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이창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로런스 크라우스_많은 공상과학 작품에서 과학이 사악하고 무서운 모습으로 등장하죠. 스타트랙이 인기 있는 이유 중 하나가 이 사실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사실일 수도 아닐 수도 있지만, 스타트랙에서는 과학이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 뿐만 아니라 사람들에게 더 많은 지식을 주고 문명화시킬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과학이 실제로 그렇게 할 수 있다니, 참 기이한 미래관이죠. 스타트랙에서 가장 비현실적인 측면이 이런 미래관 아닌가 싶어요. ”
『사이언스 이즈 컬처 - 인문학과 과학의 새로운 르네상스』 13장 누가 과학을 하는가, 노엄 촘스키 & 에드워드 윌슨 & 스티븐 핑커 외 지음, 이창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