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장소,환대를 읽고 나서 환대의 공동체를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고민하고 있기 때문에... 듣기가 그 시작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듣기의 윤리> 함께 읽기/틈새독서단 첫모임
D-29
콩이애비
단풍그늘
저는 책이 왔어요. 아직 한 페이지도 안 읽었지만 목차가 굉장히 꼼꼼하고 한 주제에 서너 페이지씩으로 잘게 나누어져서 읽기 수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만 실제로 읽으면 아닐 것 같은.)
콩이애비
첫 장을 읽고 있는데, 전교조 시흥 지회에서 읽다가 다들 포기해버린 한나 아렌트의 사상을 요약해줘서 좋습니다. 공적 영역을 복구해야 한다는 게 핵심인 것 같은데 우리가 하는 이런 모임이 공적 영역이 될 수 있겠지만 학교와 사회에서 이런 영역이 많이 줄어든 것 같다고 생각해요. 내가 학교 외의 사회생활을 덜 해서 그렇게 느낄 수도 있지만.
단풍그늘
저도 제 활동반경이 적어서인지.. 노동의 공간이 아닌 공적영역은 거의 전무해요. '모든 사람이 각자 혼자서 식사를 하고 자리를 일어서는 곳에서는 경쟁의식이 싸움과 함께 일어나기 마련이다'란 벤야민의 말이 그래선지 와닿더라고요. 요즘은 다들 각개전투를 하는 세상인 것 같은.
단풍그늘
'가치 있는 삶'이라는 특정한 삶의 양식은 단순히 살아있다는 사실만으로는 획득되지 않는다.(...)로고스가 비오스의 조건이다.
『듣기의 윤리 - 주체와 타자, 그리고 정의의 환대에 대하여』 p.27, 김애령 지음
문장모음 보기
단풍그늘
말할 수 없는 경험, 표현을 초과하는 삶, 언설로 담기지 않는 고통
『듣기의 윤리 - 주체와 타자, 그리고 정의의 환대에 대하여』 p.10, 김애령 지음
문장모음 보기
단풍그늘
'들어가며'부터 한 대 맞는 느낌이네요. 부과된 일들에 쫓기듯 살았던 최근 저는 그저 '조에'였던 것 같아요. '어떻게 해야 섬세하게 내 말이 전해질까'조차 고민하지 않은.. 말하기에도 듣기에도 무심했구나 싶어 돌아보게 됩니다
콩이애비
엇. 내가 지금 딱 그 부분, 조에와 비오스에 대해 말하고 싶었는데. 인용이 되는구나 되게 좋은 기능이네. '로고스가 인간을 가치 있는 삶을 향유할 수 있는 상태로 변형시킨다'는 말이 나의 삶의 태도 같은데. 어떨 때는 쓸모 있는 삶이라는 생각은 공리주의나 자본주의적 삶의 태도가 아닌가 고민이 돼. 인간을 수단으로 보게 되는 건 아닌가 싶은 걱정.
단풍그늘
비오스를 지향하다 보면 공리주의나 자본주의적으로 사람의 삶을 바라보게 될 수 있다는 의미일까요? 공리 주의적일 순 있겠다 싶기도 한데 자본주의적 삶의 태도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는 사실 딱 안 와닿아서요
단풍그늘
'좋은 삶'이라는 이상에 근거한 행동의 해석과 반성은, 넓은 지평으로 개방되지 않으면 자폐적인 것이 될 수 있다.
『듣기의 윤리 - 주체와 타자, 그리고 정의의 환대에 대하여』 p.85, 김애령 지음
문장모음 보기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