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하고 싶은 말들을 선생님들께서 모두 해주셔서 덧붙일 말이 있을지 모르겠지만, 저도 비슷한 감상이었어요. 소범 기자님 말씀처럼 '하루키적인 것'이 하루키를 좋아하고, 싫어하게도 만드는 요소라는 점에 적극 동의해요.
저는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을 읽으면서 몇 번 혼자 조용히 웃곤 했는데 그게 바로 그 '하루키적인 것'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 너무나 큰 기시감...달리 말하자면 '아...이 영감 여전하네...' 싶은 것들이요. 근데 참 양가적이게도 그게 좋으면서 싫었어요. 좋았던 건 제가 하루키를 처음 읽었던, 이제 막 문학이라는 세계를 기웃거리던 때가 생각이 나서였어요. 그때는 하루키의 섬세한 문장들에 매료되었었고, 시니컬하면서도 사랑 앞에서는 낭만있던 남성 인물을 좋아했었지요. 전작들에서도,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에서도 나타난 것처럼 자신과 분리되어 있는, 또 다른 '나'와 마주하고 대화하는 장면들도 좋아했었어요. 여성 인물을 에로스적으로 탐색하는 시선도 10대의 호기심과 상통하는 지점이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런데 제가 그때로부터 너무 많이 멀어진 것인지... 이번 소설을 읽으면서는 지난 소설들을 떠올리면서도 불쑥 심술맞은 생각이 치밀더라고요. 아무리 1980년대에 썼던 작품이라도 '43년 만에 마침내' '새로 다듬어 완성'했다면, 무언가 다른 점이 있어야 하지 않은가...하고요. 세월이 지나 저라는 독자도 그때와 지금의 읽기 감각이 다른데, 어쩌면 하루키는 이렇게 한결같이 10대에 만난 첫사랑을 잊지 못하는 중년 남성을 그리는가...싶고요. 이런 한결같음이 저도 약간 징그러웠어요 ㅠ_ㅠ....
[이 계절의 소설] 두번째 계절 #2 :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 <마주>
D-29
소유정
소유정
이 책을 읽고 좋아할 독자는 누구인가를 생각해보면 1980~90년대에 발표되었던 하루키의 소설들의 팬이었던 이들은 여전히 좋아할 수도 있겠다 싶긴 했어요. 소범 기자님이 궁금해하신 것처럼 3번에 해당하는... 이 소설로 하루키를 처음 접하는 독자들은 일단 완독을 할 수 있을까(...) 싶기도 하고, 그렇다고 하더라도 전작들을 궁금해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저는 앞으로 어떨까? 싶었는데요. 동시에 선생님들도요! 앞으로 하루키의 신작이 발표가 된다면, 또 읽을까를 생각해보면, 저는 어쨌거나 읽을 것 같아요. 다른 소설일 거란 기대도 없지만, 그럼에도 다시 한번 읽게되는 것이 하루키의 소설이 가진 묘한 힘인 것 같기도 해요. 잘 알고 있는 익숙한 세계이니까 없던 기대만큼 큰 실망도 없기 때문인가 싶기도 하고요..? !
소유정
“ 아무리 단단히 갇혀 있어도 존재 자체가 위협이니까요. 그것들이 어떤 계기로 힘을 얻어 껍질을 깨고 나오는 것-그게 아 도시의 잠재적 공포가 아닐까요. 만약 그런 사태가 빚어지면 도시는 순식간에 와해될 테죠. 그렇기에 더더욱 그들의 힘을 조금이라도 가라앉히고 소멸시키고 싶은 겁니다. 누군가가 오래된 꿈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고 그들의 꿈을 같이 꿔줌 으로써 잠재된 열량이 달래진다-그들은 아마 그런 걸 원하는 거겠죠. 그리고 그럴 수 있는 건 지금으로선 당신 한 사람뿐이에요. ”
『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찾는 [이 계절의 소설] 두번째 계절 #2』 무라카미 하루키,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
문장모음 보기
박혜진
저도 유정 평론가님과 같은 의견이에요. 어떤 작품을 썼을지 궁금하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보단 '그가' 이번엔 어떤 작품을 어떻게 썼을까 하는 궁금증에 더 가까운 것 같아요. 그건 하루키가 한 시대를 팬으로 가졌던 사람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그런 작가의 행로에 '참여'하는 건 동시대를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포기할 수 없는 즐거움이기도 한 것 같아요. "편안하고 설레면서", "이젠 제발 좀 잊어", "오래된 현대", "아는 맛"에 대한 정리 등 한 달 동안 하루키 소설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 보면서 공감하고 감탄하기도 했어요. 그런 동시에, 유정 평론가님 의견처럼 보다 '하루키 세대'의 평가와 감상이 어떨지 궁금해지더라고요. 오프라인 북토크에서 좀 더 이야기 나눠 볼 수 있기를요! ^^
여기 들어오면, 빠르고 정신없이 스치는 뉴스들과 무관한 속도로 하나둘 쌓여 있는 생각을 보는 것이 참 좋더라고요. 사실 문학에 대한 이론 공부를 하면서도 그걸 바탕으로 구체적인 작품을 평가하는 데에는 언제나 좀 한계를 느꼈어요. 고려해야 할 상황이나 변수들도 워낙 많고 실증적인 차원으로 논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요. 그럴 때 기댈 수 있는 것이 다른 사람의 독서일 텐데, 그런 점에서 <마주>나 <도시...>를 읽으며 비슷한 것을 느끼고 그 부분에 대한 생각을 나눴던 경험이 앞으로의 독서에 영향을 많이 줄 것 같아요.
소유정
맞아요! 이곳에서의 독해는 함께 대화하는 다섯 분의 생각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고, 조금 더 편안하게 작품에 대해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좋았어요. 이런 읽기도 참 필요한데, 한 편의 글을 완성하는 것이 익숙해지니 혼자서는 다소 고립적으로 읽게되는 것 같아요^ㅇ^;;
아마 오프라인 북토크에서도 이야기를 나눌 테지만, <마주>와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에 대한 고전의 가능성이 궁금해지네요! 지난 계절의 텍스트(<취미는 사생활>, <나의 친구, 스미스>)는 신인 작가의 책이었던 데 비해 이번에 읽은 두 소설은 이미 자신의 작품 세계를 단단히 다져둔 작가의 책이었으니까요. 게다가 하루키는 40년 만에 비로소 완성한 작품이고, 최은미도 이전에 발표한 작품을 장편 분량으로 개작했으니 두 소설 다 작가에게 있어서는 작지 않은 의미를 지닐 것 같아요. 이런저런 점들을 고려해서 고전의 가능성을 판단해야 할 것 같아 지난 번보다 더 생각이 많아지네요 @.@ 하루밖에 대화 시간이 남지 않았지만 이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야기를 나누지 못해 아쉬움이 남습니다. 못다 한 이야기는 북토크에서 살펴 주시어요-*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
참여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