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폔하이머가 맨해튼 프로젝트에 노이먼을 합류시켰군요. 일본에 투하지역으로 히로시마와 나가사키가 정해진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 노이먼의 성격도 엿볼수 있었습니다. 사실 천재 과학자들이 수많은 사상자를 내는 핵폭탄을 제작한다는 것이 항상 씁쓸하긴 합니다.
[그믐북클럽] 8.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읽고 알아가요
D-29
리브

새봄내음
“머리로 생각하기”를 사랑하는 사람의 한계일까요? 아니면 가슴으로 느끼기에 더 익숙한 저에게 이해가 쉽지 않았던걸까요 그의 천재적인 능력이 원망스럽게 느껴진 챕터였어요.

siouxsie
4-1. 4장은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오네요. 노이만의 기이한 운전 습관과 놀고 먹던 ISA.
그리고 가장 기대에 부풀게 했던 맨해튼 프로젝트, 하지만 맨해튼 프로젝트는 제 생각만큼 상세하게 나오지 않아 나중에 다른 책에서 더 보충해서 읽어야 할 것 같습니다.
가장 가슴 아팠던 나가사키/히로시마 원폭 투하 장면은 여러 책에서 끔찍한 참상에 대해 읽었지만, 여전히 읽을 때마다 상상도 하기 싫을 만큼 무서운 인간의 범죄 현장을 보는 것 같았습니다.
요새 마이클 돕스의 '1945'를 읽는데, 세계 제2차 대전과 스탈린(소련)에 관한 이야기들이 연결돼서 읽으면서 더 흥미진진했습니다.

Daydreamer
수학이라는 순수학문에 대한 열정이 핵무기 개발로 이어지는 것, 그리고 그에서 파생되어 컴퓨터의 발명으로 가는 과정이 아이러니했어요.

가리봉탁구부
아무래도 4장의 소제목과 같이 노이만이 오펜하이머의 제안을 받아들여 맨하튼 프로젝트에 합류하고 핵폭탄 개발에 크게 기여하는 부분이 흥미로웠습니다. 제조 난도가 높은 내파형 폭탄이 실전에 사용될 수 있게 만들어지는 과정과 노이만의 역할이 상세히 설명돼 있어 그 당시 상황이 머릿속에 저절로 그려졌습니다.

누구
'4장 맨하튼 프로젝트와 핵전쟁'은 가장 흥미롭게 읽은 장입니다. 전쟁을 예견한 노이만의 생각들, 전쟁 중 그의 활약 등이 빠르게 서술되는데요. 이론에 대한 설명보다 이혼과 재혼 등 노이만의 삶과 주변인과의 관계가 잘 드러나는 장이어서 더 집중해서 읽을 수 있었어요.
노이만이 원자폭탄 개발 계획에 참여하는 대목에 오펜하이머가 등장하네요. 책에 묘사된 오펜하이머를 읽고 나니 영화에선 같은 인물이 어떻게 그려졌을지 (조금) 궁금해집니다.

솔빛
영화 오펜하이머 생각도 나고. 마음이 무겁기도 했습니다. 현재도 전쟁은 일어나고 희생된 사람들이 생각나서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4-2. 4장을 읽으면서 인상 깊었던 문장을 적어주세요.

메롱이
- 146/마리나의 증언에 의하면 노이만은 마리에트가 자신을 떠난 이유를 평생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 161/대규모 팀을 이끈 경험이 거의 없었던 오펜하이머는 노벨상 수상자가 즐비한 연구팀을 대상으로 어떻게든 통솔력을 발휘해야 했다.
- 179/폭발이 일어난 후 일부 유리 조각이 작은 방울 모양으로 변형되어 1킬로미터 떨어진 곳까지 비처럼 쏟아져내렸다.
- 181/정책입안자들은 독일에 투하한 핵폭탄이 불발되었을 경우, 독일의 과학자들이 그것을 분해하여 그들만의 폭탄을 만들 수도 있다며 폭탄 투하를 반대했다.

마키아벨리1
노이만이 조신스럽게 입을 열었다. "TNT 5000톤은 되겠어요. 아니, 더 클지도 모르겠네요." 엔리코 페르미가 손에 들고 있는 종이를 잘게 찢어서 가만히 놓았더니, 2.5미터 쯤 날아가다가 땅에 떨어졌다. 그는 약간의 암산을 거친 후, 폭탄의 위력이 TNT 1만톤에 해당한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하지만 두 사람의 예측은 모두 빗나갔다.

호디에
"우라늄Uranium(U)을 쪼갤 수 있다."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p155,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디에
“ 노이만은 대형 폭탄이 지면에서 터질 때보다 허공에서 터질 때 살상력과 살상 범위가 훨씬 커진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이 원리는 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정확한 이론과 구체적인 계산을 통해 가장 이상적인 폭파 고도를 산출한 사람은 오직 노이만뿐이었다. ”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p165,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신이나
“ 폭스와 노이만이 특허를 출원한 1946년에는 아이디어를 구현할 기술이 개발되기 전이었다. 한마디로 시대를 너무 앞서간 것이다. 그들이 제안한 아이디어의 가치를 미국인이 납득하려면 최소한 5년은 걸렸을 것이다. ”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스마일씨
엔리코 페르미가 손에 들고 있던 종이를 잘게 찢어서 가만히 놓았더니. 2.5미터쯤 날아 가다가 땅에 떨어졌다. 그는 약간의 암산을 거친 후, 폭탄의 위력이 TNT 1만 톤에 해당한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178p)
역시 과학자들이란. 😅

스마일씨
이 시절에 로스앨러모스에서 '컴퓨터computer'란 '기계식 탁상 계산기를 다루는 사람을 칭하는 용어였고, 컴퓨터의 대부분은 여성이었다.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168p,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프렐류드
그분이 진정으로 사랑했던 대상은 사람이 아니라 '머리로 생각하기'였습니다.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146,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매일그대와
4-2.
p.178 “나는 죽음이요, 이 세상의 파괴자이니 •••” ••• “••• 그리하여 우리 모두는 세상에 둘도 없는 망나니가 되었다.”

Daydreamer
"아버지는 어머니를 사랑했지만 그분이 진정으로 사랑했던 대상은 사람이 아니라 '머리로 생각하기'였습니다."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p146,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흥하리라
“ 4-2
저는 방공호 입구에서 동생들과 함께 할아버지를 기다리며 놀고 있 었습니다. 그런데 오전 11시가 조금 지났을 때 갑자기 하늘이 하얗게 변하더군요. 그 즉시 우리는 발이 허공에 뜬 채 방공호 안으로 날아가 버렸어요.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전혀 모르는 채 말이죠.
한동안 충격에 빠져 흔란스러워하고 있는데, 끔찍한 화상을 입은 사람들이 방공호로 모여들기 시작했어요. 피부가 녹아서 바닥까지 흘러내리고, 머리카락은 죄다 타버렸더군요. 희생자 중 대부분은 방공호에 도착하자마자 쓰러졌고, 어느새 방공호 입구는 시체 더미로 막혀버렸어요. 악취가 코를 찔렀고, 열기가 너무 뜨거워서 견딜 수가 없었습니다. 저와 동생들은 그곳에 사흘 동안 갇혀 있었어요.(후략) ”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p.185,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메이플레이
4-2
"모든 천재들이 그렇듯이 아버지도 주변 사람들의 감정을 헤아리는 능력이 많이 부족했어요. 하지만 어머니는 항상 주목받기를 원했고, 누군가의 이인자가 되는 것을 참지 못했습니다. 자신의 연적이 다른 여자가 아니라 '남편의 장조적 사고력'이라 해도 달라질 건 없었지요. "146쪽
완벽한 사람은 없나봐요. '머리로 생각하기', '창조적 사고력'에 몰도하니 사람들의 감정을 헤아리거나 둘러볼 생각도 못했을 것 같아요.
"제2차 세계대전에 얽힌 모든 이야기도 결국 서서히 후퇴하는 도덕적 이야기로 구결된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은 '전쟁도 윤리적일 수 있다'는 섣부른 생각에 제동을 건 마지막 반증이었다. "187쪽
과학의 실현에 앞서 도덕적 관념을 생각해봐야 하는 이유이겠죠.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