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이만과 앨런 튜링의 만남과 교류가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노이만의 "양자역학의 수학적 기초"를 정말 재밌게 읽고 하나도 어렵지 않다고 말한 소년 앨런 튜링. 그의 비극적인 삶이 떠올라서 그런지 더 애틋한 기분이 드네요.
[그믐북클럽] 8.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읽고 알아가요
D-29
가리봉탁구부
spring
GPS(위성항법장치)와 컴퓨터칩, 레이저, 그리고 전자현미경 등이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과 슈뢰딩거의 파동역학의 연결고리를 찾아낸 노이만에 의해 기반을 만든거라니.. 미래에서 온 남자 맞네요~~~
Daydreamer
어렵게 읽었어요..이해 못하는 부분은 그저 받아들이기로 체념하고 읽었달까요..
siouxsie
역시나 과학적 수학적인 이야기가 많아 조금 어려웠고, 노이만 보다는 주변 인물과 그 분야에서 업적을 남긴 다른 인물들의 에피소드도 많아 상당한 집중력을 요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에 세계 2차 대전과 맨해튼 프로젝트를 예고하며 끝나 4장에 대한 기대를 하게 하네요.
리브
3장은 양자역학의 계보를 정리해주었네요. 저는 잘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워낙 이름이 알려진 인물들이다 보니 별들의 전쟁을 보는 듯 했습니다. 그 중심에는 노이만이 있구요. 양자역학과 관련해서 이 책이 저에게는 마중물이 될 것 같아요. 이해는 안가는데 흥미롭네요.
누구
3장의 하이젠베르크와 슈뢰딩거 이야기는 벵 하민 라바투트의 소설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를 읽고 낯을 익혔었습니다. 이론을 과학적으로 설명한 책이라면 어려웠겠지만 라바투트는 두 과학 이론을 절묘하게 문학적 이미지로 묘사했죠. 한 가지 현상을 과학의 언어와 문학의 언어가 어떻게 다르게 서술하는지 비교해볼 수 있었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칠레의 젊은 작가 벵하민 라바투트의 세번째 작품으로, 2021 부커상 최종심에 오르며 전 세계적 화제를 불러일으킨 논픽션소설이다. 책에 실린 다섯 개의 글은 개별적이면서도 나선처럼 이어지며 하나의 산문적 명상으로 완성되어간다.
책장 바로가기
솔빛
슈레딩거의 고양이는 말만 많이 들었는데. 이렇게 역사적 배경과 인물들을 자세히 들여다 보게 돼서 흥미롭고. 양자역학을 이해한다는 건 아니지만. 😂 그래도 어떤 학문적인 이야기가 나왔는지 흐름은 알 수 있었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그믐클럽지기
3-2. 3장을 읽으면서 공유하고 싶은 문장을 적어주세요.
신이나
“ 다이슨은 자신의 책에 다음과 같이 적어놓았다. "노이만은 연산자의 환으로
이루어진 바다를 항해하다가 새로운 대륙을 발견했으나, 시간이 없어서 해안에 배를 대지 못했다. 그는 연산자 환에 대한 연구를 기필코 완성하기로 마음먹었고, 마침내 시벨리우스의 8개 교향곡 못지않은 대작이 탄생했다." ”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디에
하이젠베르크의 행렬과 슈뢰딩거의 연속적 파동은 각기 다른 형태의 '공간'을 점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을 연결하려면 '다소 난폭한' 수학을 동원해야 한다. (노이만)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p85,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디에
노이만은 희한하기 그지없는 양자역학에 별다른 적개심을 갖지 않았다.(...) 단지 노이만은 양자역학의 저변에 깔려 있는 이중성이 어떤 모순을 낳는지 알고 싶을 뿐이었다.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p100,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시모시
“ 이것으로 독일 과학의 전성기는 막을 내렸고, 미국은 유럽에서 건너온 인재를 대거 영입하여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었다. 얼마 후 노이만은 괴팅겐의 동료들과 재회의 기쁨을 나누게 되는데, 그 장소는 대학교나 학술 회의장이 아니라 역사상 최고로 강력한 폭탄을 만드는 현장이었다. ”
『미래에서 온 남자 폰 노이만 - 20세기 가장 혁명 적인 인간, 그리고 그가 만든 21세기』 3장, 아난요 바타차리야 지음, 박병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20일
“ 국가와 인종을 차별하지 않는 것이 과학의 본질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는 지극히 사소한 이유로 이러한 일을 자행해왔습니다. 수학에 인종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관심이 오직 수학에 머무는 한, 전 세계는 하나의 국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