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솔리니는 언제나 옳다.'1922년부터 1945년까지, 이탈리아 파시스트들은 이 말이 안되는 문장을 기도문 외우듯 반복했다.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p75, 페데리코 핀첼스타인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파시스트들은 지도자의 무오류성에 집착했다. 오류가 없다는 것은 영웅적 지도자에게 깃든 신화적 이데올로기의 핵심적 신성의 진리를 반영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p77, 페데리코 핀첼스타인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 인민의 적들이 민족의식을 반박하는 상황에서, 독재자는 민족의식의 화신이 되어 그것을 국민에게 보여주었다. 이것이 바로 파시스트들에게 있어 지도자만이 진실을 소유할 수 있는 이유였다. ”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p88, 페데리코 핀첼스타인
문장모음 보기
거북별85
“ 가변적인 과학적 진리 개념과는 반대로, 포르니는 "파시즘은 증명이 아니라 믿음을 통해 그 현실을 받아들이는 신화적 운동이며, 파시즘이야말로 과학적이다. 믿음직한 진실은 증명된 진실을 압도한다."라고 주장했다. ”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p92, 페데리코 핀첼스타인
문장모음 보기
벤지누나
일이 좀 많이 바빠지고, 그러면서 업무 중에 마음도 좀 많이 다치고 해서 어렵게 시작한 책읽기 마저 잠시 손을 놓았네요 … 다시 얼마 남지 않은 기간동안 열심히 따라 가겠습니다
3-1.천황제 파시즘은 오히려 좀더 다가오지 않는 느낌이었는데요. 일본의 군국주의, 제국주의는 익숙하게 들었고 나 름 어떤건지도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여기에서 저도 모르게(?) 천황을 배제시킨게 아니었나 싶습니다.
파시즘 측면에서 볼때 마침 “천황”이라는 실제로 육화된 신적 존재로 삼을수 있는 재료가 있었고 이를 활용해서 일본의 파시스트들이 제국주의 열망을 실현시킨건 아닐지, 그렇기때문에 결과적으로 천황은 어떠한 방식으로든 (극단적 방법을 포함해서) 전쟁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은게 아닐지 하는 그런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제가 놓치거나 했을수 있지만 파시즘, 제국주의에서 천황 본인 입장? 에서의 이에 대한 의지나 열망, 이런게 궁금해 졌습니다. 스스로를 신격 존재로 만든 히틀러나 무솔라니 등과는 어떻게 다른지 하는 관점에서요.
나머지 미션들도 주말동안 열심히 생각해서 참여하겠습니다~
벤지누나
4-1. 교권 파시즘 .. 순수성, 정통성 자체를 이미 존재하고 믿고 있는 신에게서 바로 부여 받은 그래서 선택된 민족과 국가, 이것이 종교 지도자에 의해 주장되고 지지를 받게되니 하나의 종교가 국교인 곳에서는 손쉽게 정치적 정당성을 얻을 수 밖에 없지 않았을까 싶어지네요.
4-2. 한동안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일자리를 빼앗긴다던가, 범죄가 발생하면 외국인 노동자들을 의심한다던가 .. 하는 사회 분위기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언론에서 이를 보다 강화했을수도 있고요. 우리 사회에서 노동 계층의 일을 한다고 해서 그들 모두를 근본적으로 낮은 계층의 사람들로 묶어보는 편견도 있다고 봅니다
벤지누나
5-1. 독서에 반하는, 지식의 죽음에 이르는, 으로 보르헤스는 이야기했지만 결국 거짓 정보와 가짜뉴스에 놀아나는 현실을 같이 내포한다고 여겨졌습니다
6-1. 반파시즘은 결국 파시즘의 대칭점에서 반대편에 있지만 동시에 서로의 데칼코마니적 요소가 있다고 느껴지네요
벤지누나
파시즘의 윤리는 … 한마디로 미신의 귀환이었다. 보르헤스는 독서에 완전히 빈히는 것으로 … 결국 지식의 파괴로 이어질 것 … “지구상 모든 책의 죽음”으로 가는 길을 열어줄 것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 P100-101, 페데리코 핀첼스타인
문장모음 보기
벤지누나
7-1. 조르주 소렐은 이번 기회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는데, 여러 소개처럼 흥미로운 인물이네요. 좌우 사상을 종횡했다고 합니다만 제가 짧게 찾아본 느낌에서는 그는 그저 폭력 (violence)에 근거한 사회 개혁만 주장한것이고 결국 그것이 좌우 어느 쪽이던 당시 사회에서 정에 해당하는 무리에 극단적인 반의 행동을 주장함으로써 합을 이뤄야한다고 생각한 게 아닌가 싶었습니다.
그가 몰락한 부르주아 가족에서 태어나 다시 본인 계급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노동자 계급으로 사회생활을 보낸 점이 눈길을 끌었고, 어떤 점이 그의 폭력적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지 그의 생애도 궁금해지는 부분입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신민철
@모임 챕터 9입니다. 이제 얼마 남지 않았으니 조금만 더 힘내시길 바랍니다!
챕터9 미션 전달하겠습니다.
9-1. 파시스트는 민주주의를 부정하고 왜곡하고, 민주주의적 가치를 망가뜨리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파시스트는 왜 이토록 민주주의를 '고장' 내려고 했을까요? 여러분의 의견을 묻고 싶습니다.
어쩌면 답은 간단할 수도 있습니다. 제가 이런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민주주의의 어떠한 특성들이 파시스트가 권력을 잡는 데 걸림돌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자유의 가치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가 되지 않을까 합니다.
9-2. 다음은 제3의 물결이라는 사회 실험입니다. 읽고 난 후 의견을 말해 주세요. 책 내용과 연결해 주신다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The Third Wave
https://ko.wikipedia.org/wiki/%EC%A0%9C3%EC%9D%98_%EB%AC%BC%EA%B2%B0_(%EC%8B%A4%ED%97%98)
다음 주 월요일에 마지막 미션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챕터 10과 에필로그를 읽고 답변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오락가락
9-1 파시즘이 발흥하던 시기는 근대의 이성과 물질문명의 발전으로 대표되는 낙관주의가 1차 세계대전과 대공황으로 인하여 총체적인 파산을 맞이한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존 정치체제는 자연스럽게 엘리트들이 장악하는 국가권력으로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불신이 뿌리 깊어지고 이런 상황에서 급진적인 운동을 통한 변화의 시도 중 일부가 파시즘이 아니었나 생각해봅니다.
9-2 제3의 물결은 인간의 행동에 당위성 혹은 합리화의 계기가 주어질 때 굉장히 과격해질 수 있는 계기라고 생각합니다. 긍정적으로 본다면 직업의식이나 선한 영향력을 통해서 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되겠지만 만약 그렇지 못한다면 비판의식을 결여한채 권위 그 자체를 맹종하게 되는 우려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신민철
@모임 마지막 미션 전달하겠습니다.
10-1. 책을 읽고 난 이후, 전체 소감에 대해 적어 주세요.
10-2. 함께 <파시스트 거짓말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