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작들은 많이 탄생하는 시대가 따로 있는 걸까요, 아니면 시간에 따라 꼬박꼬박 일정한 비율로 나오는 걸까요. 고전은 고립된 천재의 머릿속에서 어느 순간 뚝딱 튀어나와 갑자기 불멸의 지위를 얻는 걸까요, 아니면 창작자가 영감을 받고 작품이 발견되는 복잡한 비평공동체 안에서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는 걸까요.
예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에게는 답이 명확한 질문들입니다. 자연스럽게 다음 질문은 이렇게 던지게 됩니다. 지금 한국은 시간을 버틸 작품을 풍성하게 탄생시키는 사회인가요? 한국문학 독서공동체는 잠깐의 흥행이 아니라 다음 세대에도 읽힐 작품을 목표로 삼는 작가를 응원하고, 그들이 긴 호흡으로 쓴 작품을 시간을 들여 충분히 검토하고 있는지요?
소전문화재단은 2016년 12월 설립 이래 다양한 독서 장려 활동과 작가 지원 사업을 벌여 왔습니다. 특히 시대를 넘어서는 장편소설을 바라는 마음으로 장편을 쓰려는 작가들에게 창작지원금과 취재비, 특별 고료를 후원하는 〈문학과 친구들〉, 집필 공간을 제공하는 상주작가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왔으며, 문학 레지던시도 설립 준비 중입니다.
이번에 시작하는 [이 계절의 소설]은 이 계절에 주목할 만한 장편소설을 고르고, 그에 대한 다양한 비평과 논의를 진행하고, 이를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6명의 평론가들이 모여 3개월마다 두 차례씩, 여기 그믐에서 독서모임을 열고 29일간 좌담을 벌입니다. 그 과정에서 좋은 작품에 대한 발견과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희망합니다.
이 모임은 두 번째 모임으로, 지난 첫 번째 모임에서 선정된 2권의 책을 같이 읽고, 그 소설에 대하여 6명의 평론가들이 깊은 비평과 논의를 진행합니다.
6인의 평론가들이 선정하는 [이 계절의 소설] #2
D-29
소전문화재단모임지기의 말
박혜진
다들 주말 잘 보내고 있나요? 드디어 본격적으로 같이 읽는 시간이 왔네요! 이제 두 권의 책을 읽어 나가면서 생각한 것들을 이야기하면서, 대망의 '이 계절의 장편소설'을 선택해 보겠습니다^^ 소설 읽기 전에 저는 소전서림에서 진행하고 있는 이달의 소설 한줄평들도 재밌게 봤어요. 주제의 보편성, 구성의 탁월함, 문체의 예술성, 인물과 사건의 새로움, 해석의 다양성.. 한 편의 소설을 읽고 나서 각각의 측면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는 정돈된 기준 같더라고요. 한줄평 받은 작품에도 양극화가 좀 뚜렷해 보였는데, <취미는 사생활>은 인기가 상당하더라고요. 반면 <나의 친구, 스미스>는 신청해 읽은 분이 많지 않은 것 같아요. 그래서 더 이 두 권을 같이 읽는 데 대한 기대가 큽니다.
참여 제한 모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