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확한 근거는 대지 못하면서 준채식을 실천 중입니다. 예일대 철학 교수인 셸리 케이건은 동물윤리가 필요하지만 아직 미완성이라고 보는 입장인 거 같은데, 이 책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에 그런 이야기들이 담겨 있다고 해서 읽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죽음이란 무엇인가』를 인상적으로 읽은 터라 저자에 대한 믿음도 있고요. 혼자 밑줄 친 내용들 올리며 가볼까 합니다. 전자책으로 읽기 때문에 페이지 수는 표시하지 않겠습니다.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혼자 읽기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장맥주
“ 왜냐하면 나는 우에히로 실천윤리학 강좌가 말 그대로 ‘실천’ 윤리학에 관한 것이라고 여겨왔기 때문이다. 그러려면 강의 내용 가운데 사람들이 현실에서 직면하는 실제 선택에 대한 실제 토론이 있어야 하고, 대안까지 살펴보려면 도덕철학자들 사이에서의 빈번히 논의되는 관념적인 사상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일반적으로 도덕철학 분야에서 연구 활동을 하는 철학자들은 관념적·이론적으로 확고한 기반을 마련해두고 있으므로, 응용윤리학이나 실천윤리학을 연구하는 분들에게 감탄할 뿐 내가 그와 같은 연구를 하고 있다고 생각한 적은 결코 없었던 것이다. ”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들어가며_사람과 동물은 동등하지 않다, 셸리 케이건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지난 반세기 동안 도덕철학의 발전 과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동물윤리 분야의 폭발적인 양적 팽창이다. 동물윤리는 (사람을 제외한) 동물에 대한 인류의 윤리적 책임을 다루는 도덕철학의 한 분야다. 물론 이 같은 정의가 과장된 것일 수도 있다. 불과 50년 전만 하더라도 “동물을 어떤 식으로 대우할 것인가?”와 관련한 철학적 주제는 사실상 존재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들어가며_사람과 동물은 동등하지 않다, 셸리 케이건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그런데 확실히 사람과 동물 사이에는 어떤 행동이 좋고 나쁜지 판단하는 능력 등을 포함해 결정적인 차이점이 있다. 이렇게 보면 사람과 동물은 윤리적 측면에서 다르게 취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이런 차이점이 사람과 동물을 차별할 수 있는 이유가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사람과 동물 중 어느 쪽이 좋은 것(또는 나쁜 것)에 더 많은 관심을 두느냐와는 별개로 양자가 같은 취급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사람을 상대하든 동물을 상대하든 상관없이 그 윤리적 잣대도 같아야 한다는 것이다. 즉, 모든 존재는 동일한 ‘도덕적 지위(moral status)’를 갖는다.
이 같은 관점은 명백히 ‘평등주의(egalitarianism, 平等主義)’라고 불리는 게 마땅할 것이다. 평등주의는 모든 존재에 차별을 두지 않기 때문이다. 이 관점은 사람의 이해관계(이익)와 동물의 이해관계에 동일한 가중치를 둔다. 평등주의자들은 양측에 같은 도덕적 지위를 부여하며, 어느 쪽이 더 높거나 낮다고 여기지 않는다. ”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들어가며_사람과 동물은 동등하 지 않다, 셸리 케이건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그래서 나는 앞서 언급한 동물윤리 관점을 ‘단일주의(unitarianism, 單一主義)’라 부르려고 한다. 이들은 사람과 동물이 공유하는 오직 ‘하나의 도덕적 지위’만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용어가 이들의 궁극적인 이상과는 거리가 멀긴 하지만 이보다 더 어울리는 것을 찾지 못했다. 더욱이 일반적으로 ‘단일신론(unitheolism, 單一神論)’을 주장하는 기독교 교파 ‘유니테 리언(unitarian)’을 지칭하는 이 용어가 도덕철학에서 아직까지는 어떤 뚜렷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다는 장점도 있다. ”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들어가며_사람과 동물은 동등하지 않다, 셸리 케이건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