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아요. 공감공감! 영향력 있는 사람들의 노력은 그 파급력이 다르니까요.
[영등포 한 책] 멘토와 함께 읽기 : 강양구 기자와 함께 읽기
D-29
토끼풀b
드림북
그러네요~ 북극곰보다 우리가 스스로를 더 걱정할 때임을 말해주는 방식으로 캠페인 내용이 바뀌었네요. 좋은 변화입니다~
참고로 제가 '류준열' 배우 언급했던 사람입니다^^
토끼풀b
아! 책걸상 독지가님~^^ 자기소개 해주실때 "저도 책걸상 애청자예요" 라고 소리치고 싶은걸 타이밍을 놓치고 ㅋㅋ 쭈뼛대다가 결국 조용히 있었어요. ㅎㅎㅎ 반갑습니당~
화제로 지정된 대화
컨소시엄도서관플랫폼
🎉"한 책 속의 문장" 이벤트 🎉
📢 도서 : 『기후변화, 이제는 감정적으로 이야기할때』
📢 방법 : "문장수집" 클릭 > 맘에드는 문장 적기 > "답글" 로 이유 적기
📢 참여하신분들께는 추첨을 통해 커피쿠폰을 드립니다^^ (3회차 모임 종료 후 제공)
깜냥
지난 첫모임을 하고 그믐을 알게되어 들렀어요!
호주 산불부터 10대 아이들의 기후위기 시위 등등 다양한 이야기들, 그리고 온난화가 아닌 기후위기로 인식하고 대처해야한다는 점. 해수면 상승의 근본적인 이유 등 알고 있던 정보들을 바로 잡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막연히 인지하고 있던 기후위기에 대해 많은 것들을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유다니
첫 모임하고 나서 너무나도 유익하고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평소에 환경에 관심만 많았지, 지구 가열화와 구체적으로 지구온난화로 인해 왜 이런 문제가 일어나는 건지는 알지 못했는데 너무 재미있고 설명도 잘해주셔서 재밌었습니다. 저도 모르게 강양구 기자님을 찾아보고있는 제모습을 발견했네요^^
손손
“ 사랑은 나만큼이나 다른 무언가를 소중히 여기는 것, 보호하고 인내하는 것, 쉽게 화내지 않고 원망을 담아 두지 않는 것, 시련과 환난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것, 진리를 기뻐하는 것이다.
사랑은 기후변화의 출발점이자 종착지다. ”
『[영등포 한 책] 『함께, 지구』 : 강양구 기자와 함께 읽기 』 p. 262
문장모음 보기
책먹방
어쩌면 기후변화가 촉발할 수 있는 모든 감정 가운데 부정이 가장 이해할 만한 감정이 아닐까? 우리는 모두 얼마간 기후변화를 부정한다.
『[영등포 한 책] 『함께, 지구』 : 강양구 기자와 함께 읽기 』 174p -기후변화 이제는 감정적으로 이야기할때
문장모음 보기
동자
“ 텀블러를 깜빡한 나의 친환경적인 반응을 약간 호들갑스럽게 묘사했지만, 아마 여러분 가운데 누군가는 익숙할 것이다. 이 사고 과정에는 죄책감, 자신에 대한 부정적 감정, 또래 집단의 비난이나 조롱에 대한 불안, 합리화 같은 것이 따른다. ”
『[영등포 한 책] 『함께, 지구』 : 강양구 기자와 함께 읽기 』 p. 87-기후변화, 이제는 감정적으로 이야기할 때
문장모음 보기
동자
환경과 관련된 책을 읽을 때, 매번 반복되는 감정이 그대로 책에 나와있어서 너무 공감했어요. 환경에 대한 이야기를 감정의 카테고리로 묶어서 이야기되는게 재밌지만 힘들게 읽기도 했네요.
토끼풀b
기후변화의 기본적인 부당함은 그 문제에 대해 가장 책임이 적은 사람들이 가장 큰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점이다.
『[영등포 한 책] 『함께, 지구』 : 강양구 기자와 함께 읽기 』 P.252 <물이 몰려온다>, 제프 구델
문장모음 보기
토끼풀b
책을 다 읽은 후에도 내내 떠오르는 문장이었어요.
<물이 몰려온다>를 읽고나선 기후변화와 관련해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나만의 행동이란게 대체 뭐가 있을 수 있단 말인가요! YG 선생님 너무해요- 하는 마음이었는 데,, 두번째 모임이 끝나고나선 이런 이야기를 다같이 함께 하는 시간을 가지는것도 하나의 방법이구나 하고 느껴졌어요.
예깍지
기 후 관련된 책을 처음 접하여 책을 읽고 같이 이야기하는 시간도 가져보고하니 뉴스에 나오는 기후 관련된 사건들과 평소 아무렇지 않게 행동했던 저의 생활습관들에 대해서도 좀더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습니다
사랑이 기후변화의 출발점이자 종착지라는 말씀에 공감하며 지구를 좀 더 사랑 해 줄 분들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유다니
뭔가 저도 토론을 하면서, 저를 다시생각해본 게기중 하나는 토론 중 기자님이 내가 사는동안 일어나지 않을일이라고 해서 현 세대들이 크게 심각성을 못느끼지 않는 부분을 말씀해주셨을때 뭔가 저도 그런것 같았어요. 결국 책을 읽으면서 답답하고 반복되는 감정을 느끼며 읽었으면서도 내 스스로도 다를바가 없지않네 하는 생각도 했었습니다ㅎㅎ
손손
저도 친구들과 가끔 환경에 이야기할 때가 있는데 '아 몰라 그냥 다 없어지는 거지, 우리가 뭐 어떻게 할 거야' 로 끝나는 대화가 많았는데 저도 막연하게 누가 해결하겠지 혹은 나는 그때까지 살아있지도 못한다는 생각이었나 봐요.
기자님께서 미래의 상하이는 물에 잠겨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는다고 하셨을 때 약간 소름 돋았습니다. 물이 몰려온다는 것이 현실로 확 와닿는 느낌이었어요.
그래서 관련 내용을 검색하다가 도시별 기후 위기 상황에 맞는 비발디의 사계를 변주한 공연 실황을 찾았는데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해 링크 걸어 둡니다 .ㅎㅎ
[파괴된 서울의 사계절, 사계2050 서울 공연 실황]]https://youtu.be/0SRvNzZqufM
깜냥
'물이 몰려온다'에 다양한 사례들이 담겨있어서,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다시 보았습니다.
그린란드가 위치한 북극은 지구에서 가장 빨리 따뜻해지는 지역으로 지난 20년 동안 북극권은 1.6도 이상 따뜻해졌고 깨끗한 눈은 가장 반사력이 좋은 물질, 햇빛 90퍼 이상을 반사한다. 반사율이 낮아져 더많은 열을 흡수하게 되고 대지가 드러나면서 눈보다 어둡기 때문에 더 많은 열을 흡수, 해빙은 가속화될 것이다. 집에서 바로 바다를 볼 수 있는 플로리다의 경우, 몇몇은 장벽을 설치해 물을 막을 수 있다고 하지만 장벽은 단기적인 보호막일 분이다. 벽을 언제까지 계속 높게 쌓을 수는 없다.
책을 다 읽고 나니 더 이상 나아지지는 않을꺼라 생각되었다.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해안지역의 사람들은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지역으로 이주하고 잠긴곳은 포기하는것이 가장 현실적인것 같다. 해수면 상승은 단순히 환경위기가 아니다. 마이애미 같은 해수면이 상승하는 지역은 언젠가 부동산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고 잠길 것이다. 운송과 일자리에도 영향을 미침 육상운송이 해상운송으로, 공업지대가 잠겨 산업의 형태도 변화할것 이다.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지 못한 국가와 도시는 현재의 지위에서 벗어나 몰락할것이고, 예시로 바다전망의 별장이 위치한 마이애미지역과같이 천문학적인 부동산의 가치는 의미가 없어진다. 국가 발전을 위해 실컷 사용했던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환경이 파괴되었는데 그렇게 이룩해온 부가 물에 잠겨 사라지게 됨을 느꼈다.
도도도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