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도시 브뤼주' 를 죽이게 읽는 모임

D-29
@미식한독설가 동감합니다. 처음에 줄거리 자체는 심플하다고 생각했는데 여기서 여러분들이 남긴 글 읽으니 여러 각도로 읽히네요. 근데 책 속에서 제인은 누구일까요? 혹시 부인의 과거 모습이 아닐까 이런 생각도 해보았어요.
그런 생각도 아주 동떨어진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처음 위그가 거리에서 제인을 보고 난 후 "사별한 아내와 완전히 같은 여인" 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사별한 아내의 옷가지를 챙겨 제인을 찾아가고 제인은 그 옷을 입은 후 거울 앞에서 저속하게 춤을 춥니다. 이 광경을 본 위그는 "타락해버린 아내를 다시 만나는 듯한 끔찍한 " 느낌을 받는다고 책에는 묘사되어 있네요.
저는 "죽음의 도시 브뤼주"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었는데요. 비교적 간단한 이야기인데 읽고 난 뒤 많은 생각이 드는 작품입니다. 과연 '위그에게는 죽음의 의미가 무엇이 었을까'하고 말이죠. 아내의 죽음이후 자신이 죽고 싶을 정도로 우울하고 괴로운 심정을 이해주는 듯한 브뤼주 라는 도시에 들어와 그는 위로받고 싶었던 것이 아니었을런지요. 죽음의 유혹이 있었으나 그는 제인을 만나고 좌절과 실망의 연속, 그리고 죄의식이 있음에도 살고자하는 내면의 처절한 몸부림으로 그녀를 사랑하려한 것은 아닐런지요. 제 생각으로는 철저히 브뤼주는 제인에게 온전히 죽음의 도시로 남는 듯 합니다.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타인의 모습으로 강요되어 살다가 죽임을 당하니 말입니다. 마지막 부분에 위그가 되뇌는 '죽은 여인, 죽음의 도시 브뤼주'. 다른 분들의 고견도 듣고 싶습니다. 죽음의 의미에 관해서요.
아, 차원이 다른 해석력입니다. 책에 내재되고 만연한 '죽음'에 대한 의미는 파악못하고 저는 내용에만 천착하고 있었나 봅니다. 님의 의견을 들으니 책을 다시 봐야한다는 느낌마저 드네요.
여러분 오늘 같은 날 죽음의 도시 브뤼주 읽기 딱 좋네요. 초반 장소 묘사부분 읽는데 역시나 그로테스크하네요.ㅎ
비록 가랑비가, 가을 끝자락에 자주 오는 비가, 수직으로 내리는 가는 비가, 홀쩍거리며 물을 엮어내고, 대기를 시침질하며 평평한 운하를 바늘로 뒤덮어버리는, 끝없이 펼쳐지는 축축한 그물에 걸린 새처럼 정신을 사로잡고 얼어붙게 만드는 비가 내리고 있었지만 말이다!
죽음의 도시 브뤼주 20-21p, 조르주 로덴바흐
정말 멋진 표현이라고 생각됩니다. 이 책을 읽고 로덴바흐의 시나 다른 작품도 보고싶은 마음입니다.
비를 실삼아 엮어 그물을 만들어 대기를 덮어 그 안에 갇힌 새라는..어찌 이런 멋진 표현을!
정말..... 감탄의 문장입니다.
오늘같은 비오는 날에.. 이런 축축함에… 잘어울리네요. 여태 보아왔던 어떤 문장보다 아름답습니다.
"이런 날씨 속에서 종소리가 소리 가루들을, 수년 전 죽은 아내의 유골을 공기 중에 흩뿌리는 것 같았다." 이 문장도 의미심장하지 않나요? 출판사가 온라인서점 홍보페이지에 쓴 문장인데 전 한동안 눈을 못 떼겠더라고요. 댕댕댕거리는 종소리가 분위기를 압도하는 것 같았어요. 사람을 미치게 만드는 것처럼...
더할 나위 없는 명문장이고 의미심장합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생각도 해봤습니다. 이 책을 분위기나 감각만으로 취급하고 읽어도 좋겠다는. 의미를 좇고 죽음에 탐미해가며 읽는 것도 무척 재밌습니다만 (저도 지금 그렇게 읽고 있어요 자연스레 ㅎㅎ) 나중에 몇 년 뒤에 이 책을 다시 읽으며 사진만 보거나 제가 좋아하는 음산한 문장만 골라 읽어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충분히 그럴 만한, 그럴 수 있는 작품 같아요. 모든 소설이 그렇지는 않거든요. 그만큼 분위기가 주는 힘이 큰 작품입니다. 여기까지 오면 로덴바흐가 소설가이기 전에 시인이란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하고 곱씹게 됩니다 ㅎㅎㅎ
이 책은 국내에서만 알려지지 알았지 고전이고 걸작입니다. 많은 작가들이 오마쥬하기도 하고요. 이 책에 대한 정보 종합판 링크입니다. http://bruges-la-morte.net
저는 처음 이 책을 분위기나 감각의 선을 따라 읽었는데 작가의 표현력에 매료되었어요. 읽은 후 많은 다른 생각들이 떠오르는 작품이었습니다.
아직 시간이 조금 남았지만 함께 즐겁게 독서해주신 @스마일씨 @달여인 @흑백 @두군 님들에게는 장강명 작가님의 브뤼즈(?)와는 다른 '상상의 동네 이야기' "아무튼, 현수동"을 주소지로 보내 드립니다. 호명된 분들께서는 spysick@shinbooks.com으로 책을 받으실 주소를 적어 보내주시면 6월 8일~9일 일괄 발송하겠습니다.
덕분에 저도 즐거운 독서가 됐습니다. 책이 예뻐서 소장가치도 충분합니다. 😆
저도 책이 이뻐서 이 책의 디자이너와 편집자 각 한 분을 모셔와서 지금 한참 '조르쥬 페렉'의 작품을 다듬고 있습니다!!
조르쥬 페렉 어떤 작품일까요? 레모와 녹색광선에서도 신간이 나오더라고요.
아..김호영 교수님이 작업 중이시라는 작품이 바로 '녹색광선'에서 출간하는 작품이군요. 저희 역자분께서 말씀한 작품은 '레모'에서 나오는거고...이번 년도 여름은 왠지 페렉 작품들로 풍성하고 싱그러울 듯 합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내가 사랑한 책방들
[책증정] 저자와 함께 읽기 <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 +오프라인북토크[그믐밤] 3. 우리가 사랑한 책방 @구름산책[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이야기와 함께 성장하는 "섬에 있는 서점" 읽기 모임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매거진의 세계로~
편집부도, 독자들도 샤이한 우리 매거진 *톱클래스를 읽는 여러분의 피드백을 듣고 싶어요.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홍정기 작가와 <계간 미스터리> 79호 함께 읽기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AI로 난리인 요즘!
[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AI 2045 인공지능 미래보고서』 혼자 읽기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