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도시 브뤼주' 를 죽이게 읽는 모임

D-29
멋진 무성영화 "백일몽"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우아! 대단하십니다. 1915년 영화네요. 현대에는 1978년 Ronald Chase라는 사람이 소설의 동명제목으로 영화를 제작했고 1981년 Roland Verhavert라는 사람이 Brugge, die stille라는 제목에 네덜란드어로 영화를 만든 기록이 있네요. @스마일씨 님이 언급한 러시아 영화포함해 이 두작품이 원작을 어떻게 시각화 시켰는지 궁금해집니다.
러시아에서 만든 영화는 대충 봤는데요. 마지막에 제인이 머리카락을 목에 감고 장난하던 장면있잖아요. 거기에 특수효과를 써서 위그의 죽은 부인의 영혼이 나오게 했더라고요. 좀 어설픈 효과긴하지만 감독은 잘린 머리카락이 곧 죽은 부인의 영혼이라는 걸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아요. 책에서는 영혼이 나타났다는 문장은 없었거든요. 저는 로덴바흐의 다른 작품들도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비단 감독뿐만 아니라 많은 독자들이 그렇게 상낭할 수 있는 장면이지 않을까 합니다. Brugge, die stille 은 검색하면 1시간 30여분정도의 런닝타임인데 빠르게 훑었더니 그냥 책의 재현에 충실한 듯 했습니다.
"Brugge, die stlle" 회색빛의 도시 브뤼주를 잘 보여주고 있는 영화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화가 주는 분위기는 우울과 묘한 답답함으로 책의 분위기가 잘 그려진 듯 합니다. 잘 감상했습니다.
아! 영화까지 다 감상하셨다니...제가 이 소설에서 주목하것 중의 한 측면은 엄격하고 엄숙한 카톨릭의 영향아래 마치 위그가 사별한 아내를 성인(聖人)대하듯 그녀에 대한 과거와 기억을 경외하고 그녀를 대신하는 듯한 유품을 숭배하는 듯 연상된다는 겁니다. 특히 머리카락에 대한 집념은 죽음으로 인해 소멸되는 존재에서 생생하게 유지되는 물신처럼 어떻게 보면 유일하게 불멸한 것처럼 보이는데 한편으로는 죽음 자체를 인정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이 또한 도구화되어 제인을 교살하게 된다는 것도 의미하는 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은 당시의 사회적 종교적 맥락과 맞닿아 있는 듯 하기도 하고요. 한 가지 더 연관해서 어떻게 닮은 제인의 얼굴이 그의 아내와 겹쳐지고, 제인을 본 이 후 위그의 기억 속에 제인이 아내의 얼굴로 대체되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본질적으로 그의 아내는 제인이 되지만 제인은 그녀의 아내가 되지는 못합니다. 저는 이것이 상당히 종교적인 메타포로 읽혀집니다.
그의 아내는 제인이 되지만 제인은 그의 아내가 될 수 없다, 전 오늘 이 문장을 담아갑니다 ㅎㅎ
저에게는 위그의 독실한 기독교 신앙과 동시에 머리카락에 그 의미를 두고 마치 미신을 추종하는 듯한 신앙 불일치의 모습에 의문이 생겼답니다. 독실하고 경건한 부뤼주와 전혀 어울리지 않아서요. 이런 불일치로 파국을 맞게되는 건 아닐까요? 로덴바흐는 독실한 신앙을 가졌던 것 같은데요.
이 책이 독자에 따라 다의적으로 읽히고 상징주의 특유의 주관적 비유가 많아 난해한 면모가 있는거 같습니다. 좀 나가긴 했지만(순전히 저의 생각) 종교적 맥락에서 보면 엄격한 구교(카톨릭)의 도시 브뤼즈는 죽음의 도시이면서 곧 죽은 아내로 등식화됩니다. 그곳에서 위그를 홀린 제인은 어찌보면 죽음의 도시에 거주한 사람들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용납할 수 없는 여자, 어찌보면 이단이거나 신교(프로테스탄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 독실한 신자 하인 바르브의 시각으로(로잘리 수녀의 조언과 고해신부의 금지) 위그는 곧 속된 말로 "사탄에 씌인 자" 로 해석될 수도 있고 그런 그가 제인을 집에 초대하자 바로 집을 나가게 되죠. 길어서 다 구술할 수는 없지만 한편으로 영혼이 깃든 아내의 머릿카락은 어찌보면 기독교 사상을 배신하는 물신인데 그것을 도구화해 위그는 제인을 교살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보수적인 카톨릭에 대해 비튼걸까요? 로젠바흐가 당대 이 작품을 완성한 후 제목때문에 이곳에서 상당한 미움을 받은 것으로 아는데...제가 잘 못 이해한것일수 있지만 아무튼 이 책 이상합니다.
제가 생각지 못 한 부분 설명 감사합니다. 여러 이야기들로 해석 가능한 재밌는 작품이네요. 덕분에 즐거운 문학 산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 저도 님 덕분에 감지하지 못한 부분을 눈 여겨 보게 되었네요. 매우 섬세하게 독서하셨던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책이 거의 중편이고 속도감도 있어서 금방 읽을 것 같은데... 다른 분들도 잘 읽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타민 저번에 김시인과 술마시다 결국 '제인을 만난 이는 위그 이외에는 아무도 없다.' 라고 번역가선생님께서 하셨다는데....본문에는 여러 사람들이 제인을 봤다라는 내용이 있더라고요. 오해하신거겠죠?
소문에 제인을 봤다는 사람들은 있지만, 제인과 실제로 대화를 나눈 사람은 위그뿐이에요... 영화 식스센스,가 생각나는 건 왤까요...
넘 소름돋아요. 😱😱😱😱
@타민 이게 또 그렇게 말씀하시니....책 자체가 달리 보이긴하는데.....
@스마일씨 ...아마 다른 이들과 제인과의 조우나 에피소드를 넣기에는 과유불급이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정말 저런 의도까지 로젠바흐가 염두해두었을까 하는...
저 디 아더스(니콜 키드먼 주연) 생각까지 했다면 넘 멀리 간거죠? 책 다시 읽어야겠어요. 게다가 제목도 죽음의 도시니..이거..😱😱
@스마일씨 @타민 59p 밑단에 "사람들은 그녀의 흔들거리며 걷는 모습과 노란 머리에는 걸맞지 않은 정숙한 체하는 그녀의 태도에 다소 분개하면서 오며 가며 대놓고 비웃었다." 라는 대목이 있네요. 물론, 이 대목만으로는 제인의 실재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지만... 내용을 이런 면모에 집중하니 다른 것들이 또 깜깜해지네요.
@타민 이 작품을 보면서 내용을 떠나 놀라운 것을 느낍니다. 거의 해마다 이 작품에 깃든 비밀과 수수께끼를 해석하는 글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네요. 우리가 모르는 밀교와 프리메이슨, '오컬트'에 대한 소스 등 심지어 'Bruges-la-Morte'를 들어서는 입문 이야기가 따로 있는 것 같았어요. 국내에서 활발한 연구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내가 사랑한 책방들
[책증정] 저자와 함께 읽기 <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 +오프라인북토크[그믐밤] 3. 우리가 사랑한 책방 @구름산책[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이야기와 함께 성장하는 "섬에 있는 서점" 읽기 모임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매거진의 세계로~
편집부도, 독자들도 샤이한 우리 매거진 *톱클래스를 읽는 여러분의 피드백을 듣고 싶어요.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홍정기 작가와 <계간 미스터리> 79호 함께 읽기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AI로 난리인 요즘!
[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AI 2045 인공지능 미래보고서』 혼자 읽기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