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일씨 네, 정답입니다! 선물은 모임이 끝나면 발송 진행하겠습니다!
'죽음의 도시 브뤼주' 를 죽이게 읽는 모임
D-29
타민
타민
@두군 정답입니다. 선착순 금방 종료되었습니다. 선물은 모임이 끝나면 발송 진행하겠습니다!
타민
이 브뤼주라는 도시는 현실에서는 거의 인간처럼 보인다…. 도시가 가진 어떤 영향력이 이곳에 머무는 사람들에게 발휘되는 것이다. 이곳의 경치와 종소리에 의해 사람들이 형성된다.
『죽음의 도시 브뤼주』 9쪽, 조르주 로덴바흐
문장모음 보기
스마일씨
이 책을 러시아에서 영화(제목은 daydream, 백일몽)로 만든 걸 찾았습니다. 무성영화긴 하지만 중간에 영어자막이 나옵니다. 책 내용을 알면 대사가 없어도 보는데 지장은 없습니다.
https://en.m.wikipedia.org/wiki/Daydreams_(1915_film)
달여인
멋진 무성영화 "백일몽"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난난독독
.
난난독독
우아! 대단하십니다. 1915년 영화네요. 현대에는 1978년 Ronald Chase라는 사람이 소설의 동명제목으로 영화를 제작했고 1981년 Roland Verhavert라는 사람이 Brugge, die stille라는 제목에 네덜란드어로 영화를 만든 기록이 있네요. @스마일씨 님이 언급한 러시아 영화포함해 이 두작품이 원작을 어떻게 시각화 시켰는지 궁금해집니다.
스마일씨
러시아에서 만든 영화는 대충 봤는데요. 마지막에 제인이 머리카락을 목에 감고 장난하던 장면있잖아요. 거기에 특수효과를 써서 위그의 죽은 부인의 영혼이 나오게 했더라고요. 좀 어설픈 효과긴하지만 감독은 잘린 머리카락이 곧 죽은 부인의 영혼이라는 걸 직접적으로 보여주고 싶었던 것 같아요. 책에서는 영혼이 나타났다는 문장은 없었거든요. 저는 로덴바흐의 다른 작품들도 읽어보고 싶은 생각이 듭니다.
난난독독
비단 감독뿐만 아니라 많은 독자들이 그렇게 상낭할 수 있는 장면이지 않을까 합니다. Brugge, die stille 은 검색하면 1시간 30여분정도의 런닝타임인데 빠르게 훑었더니 그냥 책의 재현에 충실한 듯 했습니다.
달여인
"Brugge, die stlle" 회색빛의 도시 브뤼주를 잘 보여주고 있는 영화 소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영화가 주는 분위기는 우울과 묘한 답답함으로 책의 분위기가 잘 그려진 듯 합니다. 잘 감상했습니다.
난난독독
아! 영화까지 다 감상하셨다니...제가 이 소설에서 주목하것 중의 한 측면은 엄격하고 엄숙한 카톨릭의 영향아래 마치 위그가 사별한 아내를 성인(聖人)대하듯 그녀에 대한 과거와 기억을 경외하고 그녀를 대신하는 듯한 유품을 숭배하는 듯 연상된다는 겁니다. 특히 머리카락에 대한 집념은 죽음으로 인해 소멸되는 존재에서 생생하게 유지되는 물신처럼 어떻게 보면 유일하게 불멸한 것처럼 보이는데 한편으로는 죽음 자체를 인정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이 또한 도구화되어 제인을 교살하게 된다는 것도 의미하는 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런 것들은 당시의 사회적 종교적 맥락과 맞닿아 있는 듯 하기도 하고요. 한 가지 더 연관해서 어떻게 닮은 제인의 얼굴이 그의 아내와 겹쳐지고, 제인을 본 이 후 위그의 기억 속에 제인이 아내의 얼굴로 대체되는지 눈여겨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본질적으로 그의 아내는 제인이 되지만 제인은 그녀의 아내가 되지는 못합니다. 저는 이것이 상당히 종교적인 메타포로 읽혀집니다.
흑백
그의 아내는 제인이 되지만 제인은 그의 아내가 될 수 없다, 전 오늘 이 문장을 담아갑니다 ㅎㅎ
달여인
저에게는 위그의 독실한 기독교 신앙과 동시에 머리카락에 그 의미를 두고 마치 미신을 추종하는 듯한 신앙 불일치의 모습에 의문이 생겼답니다. 독실하고 경건한 부뤼주와 전혀 어울리지 않아서요. 이런 불일치로 파국을 맞게되는 건 아닐까요? 로덴바흐는 독실한 신앙을 가졌던 것 같은데요.
난난독독
이 책이 독자에 따라 다의적으로 읽히고 상징주의 특유의 주관적 비유가 많아 난해한 면모가 있는거 같습니다. 좀 나가긴 했지만(순전히 저의 생각) 종교적 맥락에서 보면 엄격한 구교(카톨릭)의 도시 브뤼즈는 죽음의 도시이면서 곧 죽은 아내로 등식화됩니다. 그곳에서 위그를 홀린 제인은 어찌보면 죽음의 도시에 거주한 사람들이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용납할 수 없는 여자, 어찌보면 이단이거나 신교(프로테스탄트)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한편으로 독실한 신자 하인 바르브의 시각으로(로잘리 수녀의 조언과 고해신부의 금지) 위그는 곧 속된 말로 "사탄에 씌인 자" 로 해석될 수도 있고 그런 그가 제인을 집에 초대하자 바로 집을 나가게 되죠. 길어서 다 구술할 수는 없지만 한편 으로 영혼이 깃든 아내의 머릿카락은 어찌보면 기독교 사상을 배신하는 물신인데 그것을 도구화해 위그는 제인을 교살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보수적인 카톨릭에 대해 비튼걸까요? 로젠바흐가 당대 이 작품을 완성한 후 제목때문에 이곳에서 상당한 미움을 받은 것으로 아는데...제가 잘 못 이해한것일수 있지만 아무튼 이 책 이상합니다.
달여인
제가 생각지 못 한 부분 설명 감사합니다.
여러 이야기들로 해석 가능한 재밌는 작품이네요.
덕분에 즐거운 문학 산책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난난독독
아, 저도 님 덕분에 감지하지 못한 부분을 눈 여겨 보게 되었네요. 매우 섬세하게 독서하셨던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난난독독
책이 거의 중편이고 속도감도 있어서 금방 읽을 것 같은데... 다른 분들도 잘 읽고 계신지 궁금하네요. @타민 저번에 김시인과 술마시다 결국 '제인을 만난 이는 위그 이외에는 아무도 없다.' 라고 번역가선생님께서 하셨다는데....본문에는 여러 사람들이 제인을 봤다라는 내용이 있더라고요. 오해하신거겠죠?
타민
소문에 제인을 봤다는 사람들은 있지만, 제인과 실제로 대화를 나눈 사람은 위그뿐이에요... 영화 식스센스,가 생각나는 건 왤까요...
스마일씨
넘 소름돋아요. 😱😱😱😱
난난독독
@타민 이게 또 그렇게 말씀하시니....책 자체가 달리 보이긴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