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클을 1강부터 들어주시다니, 자랑하실만 합니다! ㅎㅎ 감사해요. 채널 구독자 수는 JYP님의 예언대로 며칠 사이에 100명 더 넘게 늘은 것 같아요. 책걸상 보고 오셨다는 댓글도 많이 달려서, 새삼 미디어의 힘을 느끼고 있습니다 :)
[책걸상 함께 읽기] #14. <중급 한국어>
D-29

민트링

토끼풀b
감사합니다 진공상태님 :D 더 보고싶은 영상들도 많아서 바로 구독했어요!
(작가님 목소리가 정말 좋아요.. 아마도 이 말을 엄청 많이 들으실듯 합니다 ㅎㅎ)

민트링
좋게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개와고양이
<초급 한국어>에 이어 <중급 한국어>를 익히게 되었네요. 작가님의 진지한 유머가 제 취향이에요. 어제 방송에서 '당신도 조심해, 언제 죽을지 몰라.'에 빵 터졌습니다. 얼른 책 주문해서 읽고 올께요.

김새섬
<중급 한국어>도 계속 그런 진지한 유머가 등장해요. 별 거 아닌 거 같은데 계속 웃겨요.
고속도로 안내 문구 같은 것도 별 생각 없었는데 작품 속에 등장하니까 너무 재밌습니다.

민트링
제 유머에 반응해 주시다니, 반갑고 감사합니다. 책도 재미있게 읽으시기를요!

선우맘
민트링 넘 이쁘다고 생각했는데, 민트림 으로 오해받으신다니..넘 웃겨요.
우연치 않게 중급한국어 작가의말 먼저 읽었는데 녹는줄요. 눈사람이 봄 맞는 기분이랄까^^

민트링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당시 나우누리 폰트로 보면 정말 '민트림'에 가깝게 보이기는 했어요 ㅎㅎ 이번 작가의 말 쓰면서는 읽는 분들이 너무 간지럽지 않을까 염려하기도 했는데, 좋게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진공상태5
(어제 책걸상 방송을 듣고 한번 찾아보았어요.)
오토픽션은 한마디로 자전 소설을 뜻한다. Auto(자전)와 Fiction(소설)을 결합한 말이니 오토픽션을 자전 소설로 칭하는 데 특별한 어려움은 없어 보인다. 그러나 흔히 자전 소설이라고 부르는 작품과 ‘오토픽션’이라 부르는 작품 사이에는 뚜렷한 차이가 있다. 자전 소설이 작가의 실제 경험에 바탕을 둔 허구적 이야기라면 오토픽션은 ‘자전’ 형식으로 쓴 ‘소설’인 동시에 ‘소설’의 외피를 두른 ‘자전’이다. 자전 소설이 ‘자전 < 소설’ 의 관계로 정립된다면, 오토픽션은 자전과 소설 사이에 부등호를 넣을 수 없다. 오히려 어느 쪽으로도 집중되지 않게 함으로써 독자를, 나아가 현실을 교란하는 것이 오토픽션의 목적이기도 하다. 부등호가 결정되지 않기 위해 작가는 자신의 작품에 여러 장치를 사용한다.

YG
@진공상태5 사전 설명보다 작가님 설명이 훨씬 직관적으로 이해가 되었어요. 나중에 문 작가님이 글쓰기 교실 열면 수강하고 싶을 정도라는...

진공상태5
문작가님의 글쓰기 수업, 저도 듣고 싶습니다!

동광동
문지혁 작가님 글쓰기 교실 수강하시고 소설 쓰는 @YG 님을 상상했어요. 언젠가 꼭 내주시기를.

YG
@동광동 아, 저는 소설은 안 씁니다. 독자로만 남을래요. (물론 가끔 소설 아이디어가 있긴 해요. 문 작가님이랑 맥주 한 잔 할 때도 슬쩍 말했는데 시큰둥하시더라고요.)

민트링
앗 시큰둥했던 것은 아닙니다 ㅎㅎ 도입부만 들려주셔서 그 다음에 어떤 이야기가 이어지면 좋을까 생각하고 있었어요. 제 투 머치 진지함이 또 이런 오해를... YG님의 소설, 궁금합니다 :)

진공상태5
오늘 문득 출근길에 들어볼까? 하여..
[듣는 연재 소설] 초급 한국어 ->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5712

바나나
방송듣고, 작가님 소설도 좋았지만 번역하신 작법서도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강의 들을수 있는 학생들은 얼마나 좋을까요~

민트링
제가 번역한 책이라 조금 간지럽기는 하지만... 그래도 두 권 모두 괜찮은 책입니다. 따뜻한 말씀 고맙습니다!

김새섬
표지그림 보느라 책을 앞 뒤로 살펴보다 민음사 오늘의 젊은 작가 시리즈 목록을 다시 한 번 찬찬히 보게 되었는데요, 여기 2개의 작품을 실으신 분은 문지혁 작가님께서 유일하신 거 같네요. 나름의 최초 기록이신데요. 축하드립니다!

민트링
네, 오젊작 최초의 '시리즈 인 시리즈'라고 합니다. 뭐 큰 의미가 있지는 않지만요 ㅎㅎ 나중에 쓸 한국어 시리즈들도 여기에 추가되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동광동
중급 한국어, 어젯밤에 다 읽고 왔어요. 소설을 읽을 때는 서사 따라가느라 메모를 거의 안 하는 편인데 이 책은 적어두고 싶은 부분이 많았어요. 글쓰기에 관심이 많은 독자라면 아마 저처럼 멈춰서 메모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 같아요. 작중에서 글쓰기 강사 문지혁이 '돈 텔, 벗 쇼'(말하지 말고 보여 줘야 한다)를 거듭 말하는데요. 저는 이 소설의 미덕은 말해주기도 하고 보여주기도 하는 점(not only 텔, but also 쇼?)이라고 느꼈습니다. 글쓰기(소설)에 관해서, 삶에 관해서, 사랑에 관해서 이렇게 직접 말하는 소설은 흔치 않잖아요. 말로 끝내는 게 아니라 세밀하게 관찰한 일상의 장면들을 보여주고 있어서, 절로 고개가 끄덕여졌어요. 소설 곳곳에 포진된 고급 유머들을 만날 때마다 저는 TV 시트콤이 떠올랐어요. 작중 문지혁이 웃기고 또 짠하기도 한데, 그걸 솔직하게 보여주니까요. 좋은 작품 잘 읽었습니다. 이제 방송 들으러 갈게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