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상태5
아, 제가 말하려던 단어는 능동적 허무주의였습니다. 예전에 수동적 허무주의와 능동적 허무주의에 대한 책을 읽으며 '능동적 허무주의는 그나마 조금은 긍정적으로 사는 구나.'라고 생각했는데 능동적과 긍정적이 제 머릿속에서 언제 자리바꿈을 했는지.... 오류 죄송합니다. 그리고, 짧은 시간이지만 온라인 상에서나마 만나게 되어 반가웠습니다. (꾸벅)
[책걸상 함께 읽기] #5.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
D-29

Nina

진공상태5
@Nina 아, 이런 뜻인가봐요. "즉, 근대 허무주의는 절대적인 가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간의 삶은 인간 바깥의 (존재하지 않는) '절대적인' 무언가가 중심이 되어서는 안 되며, 인간이 스스로 자신의 삶과 가치를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것으로 귀결된 것이다('능동적 허무주의')" / 니나님 덕분에 새로운걸 알게되어 감사하고 참 좋습니다 ^^

바나나
첫단편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을 읽었습니다. 이모가 뜨개방을 하시네요? 언젠가 제가 하고 싶은 일을 하는 사람이 등장하는 소설은 더 흥미롭게 읽을수 있는것 같아요. 힘빼고 떠야하는 사슬뜨기, 1500원에 팔리는 수세미, 뚝딱 며칠만에 떠주는 루즈핏 스웨터들의 소재가 반가웠습니다. 뜨개질에 인생을 비유하는건 좀 식상하지만 (그런데 얼마나 찰떡같은 비유들인지 이건 해본 사람만이 알수 있어요) 아무리 남이 가르쳐줘도 잘 안되고, 각자 알아서 터득해야 하는 힘빼기의 기술은 빡빡하지 않게 잘 살기위한 노하우 같다는 생각을 종종 합니다.

진공상태5
뜨개질에 인생을 비유할 수 있군요. 엄마는 뜨개질을 좋아하셨는데, 저는 아직 모르는 세계입니다. 북한산 밑에 살아서, 산을 갈때 인생같다 라고 생각하는데 이것 역시 식상한 비유지요? ^^;; 그렇지만 산을 가면 정말로 그렇게 느끼게 되는 것 같습니다. 언젠가 뜨개질의 세계를 만나볼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를 기다려보겠습니다.

YG
올해였나, 작년이었나. '책걸상' 방송에서 장강명 작가님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면서 한국 작가의 단편을 읽다 보면 아쉬운 구석이 많다, 이런 얘기를 했었잖아요. 그때 둘 다 아쉬워했던 부분이, 이런 소재와 설정이면 단편으로 끝낼 게 아니라 장편 아니 경장편으로도 충분히 가능할 텐데, 하는 것이었죠. 방송에서도 얘기했지만, 이 책에 실린 단편 역시 그런 아쉬움이 남았던 것 같아요.

YG
'여름에 우리가 먹는 것'은 드라마 작가가 보면 정말 한 시즌 분량의 드라마로 확대해도 될 만한 설정이고, 방송에서도 여러 차례 이야기했지만 가족을 소재로 한 여러 단편도 연작 소설로 확장할 만하다 생각했거든요. 작가님께서 힘 내셔서 좋은 경장편이나 장편으로 이 책에 실린 단편을 확장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Nina
송지현 작가의 단편소설들은 내용이 잔잔하면서도 생각할 여유를 많이 주는 작품들입니다. 단편이 가진 장점이며 특징에 충실하다고 할까요. 장편은 장편 나름의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만 단편이 주는 간결하지만 뚜렷한 매력을 갖진 못하지요. 소설을 드라마로 만들어내는 건 드라마 작가나 연출, 제작하는 분들의 몫으로 남겨 둬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작가는 소리나 화면이 아닌 글을 사용해 하고픈 이야기를 속삭이며 독자를 깨우는 직업입니다. 단편소설은 원래 아쉽다 싶게 절약된 시공간과 인물을 통해 작가의 의도를 전달하는 게 맞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