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

D-29
모임지기의 대화
모임 정보
책장 보기
문장모음
공유하기
모임지기의 대화
모임 정보
책장 보기
문장모음
공유하기
안녕하세요,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에 오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저는 문학평론을 쓰고 영문학을 공부하는 전승민입니다. <댈러웨이 부인>은 버지니아 울프의 장편소설 중 하나로 클라리사 댈러웨이가 파티를 준비하는 단 하루동안에 일어나는 일들을 그립니다. 물리적인 시간은 오직 하루지만 인물의 의식과 기억이 현실의 경계로 침투하며 시간의 평면은 과거로 그리고 타인의 내면으로 흐르는 바닷물처럼 유유히 지나갑니다. 한 사람의 내면이, 그것이 품고 있는 세계가 우리가 객관으로 인식하는 실제의 세계보다 얼마나 광활하게 펼쳐질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삶과 죽음에 대해 인간이 어떤 선택을 내릴 수 있는지 경험하실 수 있는 소설입니다. 울프는 다소 난해한 문장구조와 읽기 쉽지 않은 문체로도 유명한데요. 겨울, 새해의 첫번째 달동안 여럿이 함께 각자의 독서를 공유할 수 있다면 소설이 독자에게 선사할 수 있는 소설적 세계의 매력이 한껏 배가되리라 장담해 마지 않습니다. 그럼, 얼른 함께해요!
'디아워스'라는 영화는 본적이 있지만 "댈러웨이 부인"을 책으로 읽어본 적은 아직 없습니다. 버지니아 울프 라는 이름이 너무 유명하니까 알고 있는 정도예요. 앞으로 이 모임에서 어떤 얘기들이 펼쳐질지 기대가 많이 됩니다.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어렵게 읽었지만, 읽고나니 많은 걸 생각하게 해서 좋았습니다. 『댈러웨이 부인』도 어렵게 읽겠지만 기대됩니다^^
버지니아 울프의 작품을 처음 읽어보는 것이라 무척 기대가 됩니다!
버지니아 울프는 '목마와 숙녀'를 통해 익히 알고 있었지만, 그녀의 소설을 읽어본 적이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울프의 글을 한번 느껴 보고 싶네요^^
안녕하세요! 저도 '디 아워스'라는 영화를 재미있게 보아서 그 때부터 버지니아울프라는 작가가 궁금했었는데, 막상 시작을 못했었습니다. 앞으로 이 모임에서 깊은 읽기를 통해 많은 이야기들을 주고 받습니다! 기대되어요~!
책을 열고 첫 페이지에 있는 "바깥으로 뛰어들고 싶어!"라는 문장에 감탄했어요. 바깥으로 뛰어들다니, 얼마나 씹을수록 의미가 깊은 문장인지. 울프의 세계로 냅다 뛰어들 준비 마쳤습니다 :)
저는 재독입니다. 작년에 우연히 울프를 읽었는데 , 다시 함께 읽게 되서 기대됩니다.
제가 속해 있는 독서동아리에서 언젠가 디 아워스 책을 읽고 영화도 보았습니다. 그때 궁금해서 댈러웨이 부인도 읽어 보려했는데 읽기가 어려워서 조금 밖에 읽지 못했어요 함께 읽는 분들과 도움을 주실 평론가님이 계시니 이젠 읽을 수 있겠지요? 살짝 기대해봅니다.
안녕하세요. 책 읽기 시간이 기대됩니다. 혹시 세부일정이 있는지 알고 싶어요.
평론가님과 함께 읽는 버지니아 울프! 기대됩니다.
버지니아 울프의 책은 <자기만의 방>으로 처음 접해봤습니다. 새로운 작품을 읽을 생각에 설레네요.
안녕하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책을 본격적으로 읽어보는 것은 처음입니다. 울프 소설이 어려운 걸로 유명해서 겁이 조금 나지만 같이 책 읽으시는 분들과 대화를 나누며 찬찬히 이해보려고 합니다. 잘 부탁드려요!
설연휴를 맞아 여행을 오면서 몇 권의 책을 들고 왔는데, <자기만의 방>은 종이책으로, <댈러웨이 부인>은 이북으로 들고 왔습니다 평론가님과 다른 분들과 함께 읽고 나누게 되어 반갑습니다 ^^ $ 얼마 전 춘천 책방 '바라타리아'를 찾았을 때, 미래에 방문할 청소년들을 위해 어른 손님들이 미리 책을 기부해 두는 '미미책 코너'에서 아이가 <자기만의 방>을 얻게 되었고, 저는 <댈러웨이 부인>을 사서 기부하고 온 일이 있는데요, $ 며칠 전, 연남동 '무슨 서점'에서 열린 '그믐밤' 오프라인 모임에서는, 세상을 떠난 열여덟 예술가에게 보내는 교환편지 에세이인 <계속 태어나는 당신에게>에서, 공저자 중 하나인 박연준 시인이 버지니아 울프에게 쓴 고백을 낭독하기도 했습니다 $ 아직도 적지 않은 대한민국 여성들이 '차례상 차림'이라는 유교 문화로 힘들어하는 설날 아침, 집에서 몇만 마일 떨어진 유럽의 도시에 머물며, <댈러웨이 부인>이 파티를 준비하며 런던의 거리를 걷는 장면을 읽으니 기분이 묘합니다 기대가 큽니다 새해 '북' 많이 받으세요 ^^
안녕하세요! 조금 뒤늦은 첫인사 드립니다. 1-2월동안의 읽기를 이끌어가는 전승민이라고 합니다. 다들 새해복 많이 받으십시오! ^^
진공상태5님의 글: '디아워스'라는 영화는 본적이 있지만 "댈러웨이 부인"을 책으로 읽어본 적은 아직 없습니다. 버지니아 울프 라는 이름이 너무 유명하니까 알고 있는 정도예요. 앞으로 이 모임에서 어떤 얘기들이 펼쳐질지 기대가 많이 됩니다.
영화 <디아워스>를 언급해주셨군요! 스티븐 달드리 감독의 2003년작으로 버지니아 울프의 생애가 담긴, 마이클 커닝햄의 동명의 원작소설 <the hours>를 영화로 만든 작품이지요. 저 역시도 울프에게 최초의 거대한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가 그 영화였어요. 마음 벅차게 반가운 댓글입니다. 아래에도 영화를 언급해주신 분들이 많은데요, 이 영화와 댈러웨이 부인이 이어지는 지점은, 울프가 소설 속 주인공 중 누군가를 (아마 아직 완독하지 않으셨으리라 생각하고, 스포 방지 하겠습니다! ㅎㅎ) 죽일지 살릴지에 대한 고민을 보여주는 장면이 다소 직접적인 연결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마, 이번에 완독하고 혹은 읽으시는 도중에 영화를 한번 더 보신다면 영화 역시도 새롭게 다가오리라는 기대가 되는데요! 첫 댓글 반갑게 맞이합니다. @진공상태5 님 반갑습니다!
드림북님의 글: 버지니아 울프의 『자기만의 방』어렵게 읽었지만, 읽고나니 많은 걸 생각하게 해서 좋았습니다. 『댈러웨이 부인』도 어렵게 읽겠지만 기대됩니다^^
@드림북 드림북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자기만의 방>을 읽으셨군요! 자기만의 방은 다소 생경한 서술방식(픽션인지? 논픽션인지 몹시 헷갈리게 하는)으로 좀 어려우셨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도 여성의 삶과 글쓰기에 관한 전설적인 고전이지요! ㅎㅎ 소설 작품은 댈러웨이 부인이 울프의 첫 작품이실까요? 그렇다면 다소 어려운 출발을 또 경험하시리라는 생각이.... 듭니다만!ㅎㅎ 함께 독서 나누면서 그 어려움을 흥미로 무한 승화해보도록 하지요! 반갑습니다!
샤대프린스님의 글: 버지니아 울프의 작품을 처음 읽어보는 것이라 무척 기대가 됩니다!
@샤대프린스 님 안녕하세요! ㅎㅎㅎ 반갑습니다. 닉네임이 매우 귀엽네요! 울프의 작품 읽기 첫 타자로 이 소설을 고르신 것을 축하(?)드립니다ㅎㅎ 호흡이 길고 어지러울 수 있어 중간에 놓아버리고 싶은 충동이 왕왕 드실테지만, 여행하는 마음으로, 20세기 영국의 타자들의 세계로 그 내면으로 흘러 다니신다고 생각하시고 꼭, 완독하시길 응원합니다!
사장님님의 글: 버지니아 울프는 '목마와 숙녀'를 통해 익히 알고 있었지만, 그녀의 소설을 읽어본 적이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울프의 글을 한번 느껴 보고 싶네요^^
@사장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닉네임의 효과가 재미있네요! ㅎㅎ) 한국의 독자들에게 박인환의 시 <목마와 숙녀>로도 울프는 연결지점이 있지요. 저도 어린 시절에 어머니 서가에서 그 시를 읽고 도대체 버지니아 울프가 누구야?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게 저와 울프 사이의 최초의 기억이네요 ㅎㅎ 박인환의 '울프'로만 알고 계셨다면, 아마 이번 기회에 울프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반전되리라 생각합니다! 병약하고 광기어린 여성 작가, 처연함, 그런 정서와는 정말 거리가 멀거든요. 그녀의 소설은 생기로 가득차 있고 삶과 죽음에 대한 투지와 불같은 대면으로 꽉차 있습니다. 소설은 어디까지 읽으셨나요? ㅎㅎ 댓글 자주 부탁드립니다.
moonee님의 글: 안녕하세요! 저도 '디 아워스'라는 영화를 재미있게 보아서 그 때부터 버지니아울프라는 작가가 궁금했었는데, 막상 시작을 못했었습니다. 앞으로 이 모임에서 깊은 읽기를 통해 많은 이야기들을 주고 받습니다! 기대되어요~!
@moonee 무니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디아워스 영화를 재밌게 보셨다면, 이 소설의 재미는 이미 보장된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위의 댓글에서도 잠깐 말씀드렸지만, 소설의 인물을 죽일지 말지에 대한 직접적인 집필과 고민과정이 드러난다는 점에서 유사성이 있지만, 무엇 보다도 영화의 서술 방식이 댈러웨이 부인의 서술방식을 십분 따르고 있어요. 영화에서는 로라, 클라리사, 그리고 울프 세 여성의 삶, 시간과 공간이 동시적으로 겹쳐지면서 드러나지요? 소설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댈러웨이 부인의 하루동안의 일과 그녀의 기억, 내면을 따르고 있지만 그녀를 둘러싼 인물들의 삶과 시간, 공간이 동시적으로 마치 겹쳐지는 동심원들처럼 그려지거든요. 어디까지 읽으셨을지 궁금합니다. 즐거운 읽기 되시길 바랍니다!
냅다님의 글: 책을 열고 첫 페이지에 있는 "바깥으로 뛰어들고 싶어!"라는 문장에 감탄했어요. 바깥으로 뛰어들다니, 얼마나 씹을수록 의미가 깊은 문장인지. 울프의 세계로 냅다 뛰어들 준비 마쳤습니다 :)
@냅다 님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냅다 님의 닉네임과 인용해주신 문장을 붙여있으니 우연히 재미가 있네요 ㅎㅎ 첫 페이지를 펼치셨군요! 냅다 뛰어들 준비를 마치셨다는 말에서 제가 괜히 다 설렙니다. 저도 이번이 이 작품을 몇 번째 읽는 것인지 셀 수 없지만... 읽을 때마다 마치 처음 같습니다. 원문은 아마도 "what a lark! what a plunge!" 이 대목일 것 같네요. 간혹 독자님들께서 언급하시는 좋은 대목들이 있다면 원문과 비교해보는 재미도 한번 만들어보려 합니다. 한국어 문장과 영어, 특히 울프식 영어문장은 뉘앙스가 너무 다르지요. 가령, "바깥으로 뛰어들고 싶어"로 번역된 문장은 발화 주체인 인물의 말로 여겨지지만, 실제 원문에서는 그저 명사들(lark 종달새, 또는 환희 / plunge 급격한 추락)로만 표현되어 있지요. 사람의 환희나 추락인지, 아니면 인물을 둘러싼 세계의 감각인지 모호할 수 있는 서술입니다. 흥미롭지요? 울프의 세계는 온갖 감각으로 생동하고 있습니다. 주체와 세계의 구분이 무화되는 지점들이 많고, 그 경계가 무너지는 지점은 정말 매혹적이고 아름답지요. 냅다 님의 감상을 자주 공유해주세요! 다시 한번 반갑습니다!
글타래
[공지사항] 찜이 구독으로 바뀌었어요!
찜이 구독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믐약국] 당신에게 필요한 책을 처방해드립니다.
[책처방] 5. 개인과 국가의 관계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책을 추천받고 싶어요. [책처방] 4. 독서모임에서, 누구나 읽어도 공감할 문학 작품이 무엇이 있을까요?[책처방] 3. 하고 있는 일에 대해 고민이 많을 때
[소전문화재단] '이 계절의 소설'을 이야기합니다.
6인의 평론가들이 선정하는 [이 계절의 소설] #1
당신의 인생책은 무엇인가요?
[인생책 5문5답] 23. 잡식주의자 돌방맨 냉군의 인생책[인생책 5문5답] 22. 신새벽 편집자[인생책 5문5답] 21. 최경화 미술관 중독자
하이브리드 소셜 코미디 영화 <말바말> 보고 이야기 나눠요
그믐무비클럽 1기 <말이야 바른 말이지> 보고 말해요[그믐무비클럽] 1. <말이야 바른 말이지> 보고 말해요
6월 17일(토) 양주의 그믐밤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그믐밤] 11. <평화는 처음이라> @책방소풍 [그믐밤] 11. 평화는 처음이라 @책방소풍
[모집 중] 그믐북클럽 5기를 모집합니다! ~6월 19일까지!
그믐북클럽 5기를 모집합니다! 그믐북클럽 5. <인지심리학> 읽고 탐구해요
[모집 중] <계간 미스터리> 여름호 같이 읽을까요?
박소해 작가와 <계간 미스터리> 78호 함께 읽기
우리가 사랑하는 한국 소설 작가들, 김연수‧문지혁‧조해진
[다정한 책방] '한국작가들' 함께 읽기3탄. 이토록 평범한 미래_김연수[한국 소설 같이 읽기] 문지혁 작가의 <초급 한국어> 영화 <로기완>을 기다리며 <로기완을 만났다> 함께 읽기
[모집 중] 송은주 번역가와 <클라우드 아틀라스> 함께 읽기
번역가의 인생책 함께 읽기 ③<번역가의 인생책> 송은주 번역가와 클라우드 아틀라스 함께 읽기
책 팟캐스트 [책걸상]에서 함께 읽고 들어요!
[책걸상 함께 읽기] #22. <여름의 빌라>[책걸상 함께 읽기] #21. <트러스트>[책걸상 함께 읽기] #20. <스마트 브레비티>[책걸상 함께 읽기] #19. <면역>[책걸상 함께 읽기] #18. <우리 슬픔의 거울>
책으로 하는 세계 여행, 번역가의 가이드로 함께 떠나요.
<번역가의 인생책> 이평춘 번역가와 『엔도 슈사쿠 단편선집』 함께 읽기<번역가의 인생책> 윤석헌 번역가와 [젊은 남자] 함께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