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또 하나 흥미로웠던 부분은 39~40쪽에 걸쳐 진행되는 아버지와 '나'의 대화예요. 어머니의 회사 사무실을 향해 가는 길, 아버지는 '나'에게 "영화 찍는 일"을 업으로 삼고 싶냐고 묻습니다. '나'는 영화(movies) 말이냐고 되묻지만, 아버지는 영화(films)라고 답하지요. 영화라는 뜻은 같지만 movie와 film은 각각 상업영화, 예술영화로 차이를 갖습니다. 이 의미의 차이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가령 "당신이 결혼한 열아홉 살의 아가씨, 버클리대 미대 학생, 학생 시절 찍은 자신의 모든 영화에 등장했던 주인공, 몇 년에 걸친 그의 유일무이한 팀원"이었던 어머니는 아버지의 영화(films)의 인물이지요. 그러나 지금, "성공한 변호사가 되어 있는 어머니"는 데이비드의 영화(movies)의 주인공처럼 느껴지니까요. movies와 films가 '영화'라는 단어 옆에 병기되어 있어 그 차이를 생각하며 읽을 수 있던 부분이었어요. 원문이 조금 궁금하기도 했고요!
<평론가의 인생책> 소유정 평론가와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함께 읽기
D-29

소유정

day
저도 이 부분을 읽으면서 원문을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버지는 자신이 계속 찍어온 영화(films)와 같이 어머니에게서도 현재의 모습이 아니라 계속 과거의 모습을 보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렇게 그 모습 그대로 아버지의 곁에 남아있다고 생각했기에 데이비드와 함께하는 모습을 봐도 어머니와 마주할 수 있었던 게 아닐까요. 그리고 어머니에게 남자친구가 생겼다는 것을 머리로는 알고 있었지만, 스킨십 장면을 목격한 것으로 막연했던 것이 현실로 구체화되어 일적인 것이든 어머니에 대한 믿음이든 이 모든 것이든 지금까지 버텨오던 힘을 잃고 무너져버린 게 아닐까 싶었습니다.
+더불어 이런 가정환경 속에서 자란 화자에 대해서도 계속 생각하게 되네요.

새벽서가
It was dark by the time we finally pulled into the empty parking lot of the firm. My father parked next to the building, beneath a banyan tree, and turned off the engine. I could see that the light in my mother’s second-floor office was still on, and when she came to the window and stood there, I realized that my father had not come to see her about money at all. He didn’t even seem to want her to know we were down there. He leaned back in his seat, his face hidden in shadow, and as she stood in front of the window in her navy skirt, talking on the phone, I sensed that my father was not seeing the successful attorney my mother had become. I sensed that he was seeing the nineteen-year-old girl he had married, the art student at Berkeley, the star of all his student films, his sole crew member for several years—because he turned to me then and smiled. He said, “There will never be anyone in your life as beautiful as your mother.” I nodded. “Remember that,” he said, putting his hand on my shoulder. “If you don’t remember anything else, remember that.”
원문이 궁금하다고 하셔서 올립니다.

소유정
*덧. 어머니의 외도 장면을 목격한 이후로 아버지의 정신이 급격히 쇠해진 것도 아버지의 영화를 중심으로 이해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가령 45쪽에서 어머니 말에 따르면 아버지의 영화는 "쇼쇼니 인디언족에게서 보이는 영혼에 대한 믿음, 육체적인 세계와 정신적인 세계가 아주 긴밀히, 거의 공존하다시피 연결되어 있다고 믿는 그들의 의식 태도를 다루고 있"다고 하지요. 어머니에 대한 아버지의 믿음도 그랬던 것 같아요. 어머니에게 남자친구가 생겼다는 사실을 몰랐던 걸 아니지만, 정신적-육체적인 믿음의 연결고리가 깨져버린 것은 어머니와 데이비드의 스킨십 장면을 정확히 목격한 이후니까요.

소유정
저의 질문 외에도 함께 읽은 소설에 대한 자유로운 감상을 남겨 주세요! *.*

반달
<구멍>을 읽으면서 호시 신이치의 <이봐, 나와!>가 떠올랐습니다. 구멍이 나오고 거기에 뭔가를 자꾸 버리고 결국 그 댓가를 치른다는 면에서 비슷하더라구요. 예전에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을 읽었을 때는 왠지 읽다 그만두었는데 이 모임을 계기로 다시 읽어보니 재밌네요 *.*

토끼풀b
호시 신이치의 '이봐, 나와!'가 궁금해서 검색해봤어요! <봇코짱>에 있는 작품이 맞나요..? SF 소설인가봐요?? (더욱 궁금해집니당)

반달
네, 맞아요. [봇코짱]은 SF이지만 가볍게 읽을 수 있고 재밌어요. 어떤 댓가를 치르는지 직접 읽어보시길 권해 드립니다 :)

소유정
호시 신이치의 작품은 기묘한 이야기 시리즈라는 영상물로만 접했을 뿐 소설을 읽어본 적은 없는데요, 반달님의 댓글을 보니 더욱 읽어보고 싶어졌어요. <이봐, 나와!>라는 소설이 정말 <구멍>과 닮아 있네요. 그러고 보면 구멍이나 굴이 등장하는 소설이 더러 있는 것 같아요. 한국소설 중에서도 강화길 작가의 단편 중 하나가 생각나기도 하고요!

샤대프린스
저는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을 이번에 두 번째로 읽는데요. 앤드루 포터의 인물들이 이미 지나가 버린 어느 시절을 회상하며, 그때는 미처 몰랐던 마음에 주석을 다는 사람들이라 너무 좋았어요.
”그때 나는, 아버지가 그렇게 자주 우리와 떨어져 사는 것에 대해 화를 내거나 책임을 묻기에는 너무 어렸다.“ (19쪽)
“이후 세월이 흐른 뒤 깨닫게 된 것인데, 내가 그렇게 오랫동안 아버지를 용서할 수 있었던 것은 어쩌면 그 단어들과 그것들에 실린 무게 때문이었는지도 모른다.” (20쪽)
‘나’와 어머니와 아버지. ‘나’의 유년의 영원한 트라이앵글. 유년의 모든 때를 지붕에서 보냈던(29쪽) ‘나’는 삼각형의 세 꼭짓점 사이를 얼마만큼 거닐었을까요. 마주하는 밑변에 수직으로 발을 내려 두 꼭짓점을 절반으로 가를 수 있다면 좋을 텐데. 그렇지만 행복한 가정만큼 불행한 가정이 있으니까. <코요테>의 화자인 ’나‘의 가정은 행복하지는 않았죠. 그렇다면 아이는 반드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지 않을까요. 누가 더 잘해주었고 잘 못했는지에 (때로) 관계 없이요. (그런 흔들림을 온몸으로 감내해야 하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 줄도 모르고 흔들리는 아이…)
분노하고, 책임을 묻고, 용서하고, 용서하지 않고. ‘내’가 이런 동사들을 그때에도 수행할 수 있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그러나 시간은 시간의 일을 합니다. “그때 내게는 그 모든 상황이 하나도 이상해 보이지 않았다”(23쪽)고 ’내‘가 말하는 것이 너무나도 아프면서 정확해서 좋았어요.
아직 아물지 않은 상처, 그러나 있었던 줄도 몰랐던 그것을 지금에서 다시 들춰보는 일. 그리고 지금의 입장으로 과거를 곡해하지 않는 일—그러니까 내가 과거에 종종 행복하지 못했다는 아픈 사실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코요테>의 ‘나’는 그때도 지금에도 자신을 가감 없이 바라보고 있어서 좋았어요. 고맙기도 했습니다!

새벽서가
그 때는 미처 몰랐던 마음에 주석을 다는 사람들이라는 표현이 많이 와닿습니다.

몰운대
반갑습니다. 참여하게 되서 행복합니다.

소유정
안녕하세요, 몰운대님! 어서 오세요!

그저달
<구멍>속 주인공이 느끼는 죄책감은 처음 불법적으로 구멍을 만든 탈의 아버지, 잔디 깎는 일을 시킨 탈의 형이 느끼는 것의 무게보다 더 클 필요가 없을 터이나 그 현장에 있었다는 이유로 훨씬 크게 와 닿았을 거 같아요. 당시의 상황이 어떠하든지 간에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자신을 변명하는 것과 같은 느낌이 들었을 거 같고 그 고통과 죄책감을 나누고 싶은 생각이 없어서 편지를 보내지 않은 게 아닐까 생각했는데...다른 분들의 의견이 궁금하네요.

소유정
저도 이소님과 비슷하게 생각했어요. 탈의 사고로 굳이 책임을 묻자면 아버지와 카일 형이 무관하진 않겠지요. 하지만 그들은 탈이 그 구멍 안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지 못했기 때문에 화자가 느끼는 것만큼의 무게는 아닐 거라고 생각해요. 목격자로서 그가 갖는 죄책감의 무게는... 쉽게 가늠할 수 없을 정도일 테니까요. 편지에서 상황을 자세하게 묘사하면 할수록 그날의 일은 '나'에게 더욱 생생하게 리마인드 됐을 거고, 변명하는 느낌도 들었을 것 같아요.

그저달
'코요테'의 공간은 지붕과 지하실로 나뉘어짐과 동시에 "집안은 싸늘했다. 공기 속에 바람이 느껴졌다"(32p)와 같이 가족의 단절은 정작 집안을 머무르는 자가 없이 모두 부재하는 상황으로 이어지고 있는 거 같습니다. 코요테는 길들여지지 않는 동물로 외롭게 집 밖을 서성이고 있는데 아버지 역시 침입자처럼 몰래 그 순간 쭈구리고 앉아 메모를 남기고 떠나는 것도 의미심장합니다.

소유정
제가 미처 짚어내지 못한 코요테의 의미도 이소님이 말씀해 주셨네요. 맞아요. 외롭게 떠도는 코요테의 모습이 아버지와도 닮아 있지요.

그저달
꿈속의 진실은 죄책감으로 그날의 상황을 다시 써내려가 싶은 그의 무의식의 반영일 터이고 자신의 죄의 영역의 범주에 대한 수많은 상념으로 만들어낸 게 아닐까요. 실제 적극적으로 가담한 것이 아님에도 말리지 않고 바라본 것 자체만으로도 죄가 된다는 무의식이 실제로 밀어버린 것과 같은 크기로 본인에게 와닿는 거같았습니다. 급기야 마지막에는 차라리 자신이 죽어버렸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에까지 이르는 것을 보면 치유는 아직 요원하고 그 들끊는 마음의 상태를 너무나 고요하게 그려내는 작가의 전개가 더 오랜 여운을 주네요.

거북바위
소설 <구멍>을 읽으며 나의 <구멍>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더군요.누구에게나 부정한 어떤 것.하나의 비밀 같은 그것이 있을 수 있다.
너무 컴컴해서 하나의 빈 공간일 뿐 그곳이
소설처럼 발각되는 순간,누군가 상처를 입게될 수 있다.
그렇다면 구멍을 만든 탈의 부모나,탈이 구멍 가까이로 가게끔 잔디 깎이를 시킨 탈의 형은 이 <죽음>에 잠재적 가해자가 아닌가?
그런 의미에서 탈의 장례식장에서 다시는 내게 말을 걸지않는 탈의 부모님.몇 년이 지난 후 내게 그날의 진실을 편지로 묻는 탈의 형이 이해가 되더군요."죄책감"을 전가하고 싶은 그 마음을."나"에게로 전이된 죄명으로
구멍을 막고싶은 마음을.
어쩌면 나도,죽음의 목격자인 나도 "탈"과 같은 피해자가 아닐까?생각했어요.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애도 없이 구멍 속으로 밀어넣어져 버린 사건이 만들어 내는 상상.그게 내가 꾸는 꿈의 실체가 아닌가,생각해봤습니다.
구멍을 읽으며 편혜영의 <홀>을 떠올렸네요.
불안과 의심으로 가득한 세계.나와 누군가를 다치게 할 수 있는.구멍 혹은 홀.

거북바위
소설 <구멍>을 읽으며 나의 <구멍>에 대해서 생각해보게 되더군요.누구에게나 부정한 어떤 것.하나의 비밀 같은 그것이 있을 수 있다.
너무 컴컴해서 하나의 빈 공간일 뿐 그곳이
소설처럼 발각되는 순간,누군가 상처를 입게될 수 있다.
그렇다면 구멍을 만든 탈의 부모나,탈이 구멍 가까이로 가게끔 잔디 깎이를 시킨 탈의 형은 이 <죽음>에 잠재적 가해자가 아닌가?
그런 의미에서 탈의 장례식장에서 다시는 내게 말을 걸지않는 탈의 부모님.몇 년이 지난 후 내게 그날의 진실을 편지로 묻는 탈의 형이 이해가 되더군요."죄책감"을 전가하고 싶은 그 마음을."나"에게로 전이된 죄명으로
구멍을 막고싶은 마음을.
어쩌면 나도,죽음의 목격자인 나도 "탈"과 같은 피해자가 아닐까?생각했어요.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애도 없이 구멍 속으로 밀어넣어져 버린 사건이 만들어 내는 상상.그게 내가 꾸는 꿈의 실체가 아닌가,생각해봤습니다.
구멍을 읽으며 편혜영의 <홀>을 떠올렸네요.
불안과 의심으로 가득한 세계.나와 누군가를 다치게 할 수 있는.구멍 혹은 홀.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