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마지막 문장 뿜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책걸상 함께 읽기] #1.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
D-29
굳굳

장맥주
저는 영한대역 문고 사서는 영어 부분은 안 읽고 한국어 부분만 열심히 읽었습니다. 영한대역 문고로 읽은 책 중에 『화요일 클럽의 살인』이 가장 재미있었습니다. 두께가 얇은 데다 두 언어로 원고를 싣는 시리즈이다 보니 축약본이나 앞부분만 발췌한 책이 많았는데, 『화요일 클럽의 살인』은 전체 분량이 다 실렸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 기억이 맞는다면 어떻게 그렇게 편집을 할 수 있었던 건지 지금도 신기하네요.

YG
저도 한영(영한) 대역은 학창 시절 이후로 오랜만에 읽는데... 이번에는 장 작가님께서 쓰신 표현을 번역자가 어떻게 옮기는지 찾아보는 재미도 쏠쏠 하더라고요. 저도 이 책을 계기로 K-픽션 좋아하는 작가 책을 몇 권 사서 볼까, 고민 중이랍니다.
굳굳
저는 작품을 읽으며 좀 더 고도 화되고 편리해진 현재 같다는 느낌에 등골이 서늘했습니다. 눈으로 본 세상과 판이하게 다르게 편집된 감성 사진, 인스타 속 셀피, 풍요로움을 만들어내는 뒷 이야기에는 눈을 감는 이기심, 나와 다른 의견을 접하기조차 어렵게 만드는 알고리듬 등 현재의 모습이 에이전트에 압축되어 있어 무서웠어요. 이미 도래해버린 세상의 모습이라서요.

장맥주
제가 전하고 싶었던 바로 그 서늘함을 정확히 느껴주셔서 얼마나 감사하고 기쁜지 모릅니다. ^^

장맥주
@토끼풀b @YG 사실 저는 《블랙 미러》 시리즈를 하나도 안 봤는데요, 이 작품이 《블랙 미러》 닮았다는 이야기는 몇 번 들었어요. 칭찬인 거 같아서 헤벌쭉 좋아하고 있습니다. 장편 영화나 드라마... 판권 구입 문의를 간절히 기다립니다. (저의 다른 SF 단편 「데이터 시대의 사랑」이 장편영화로 만들어질 예정입니다.) 그나저나 이영도 작가님의 『눈물을 마시는 새』가 게임과 영화, 해외 판권이 팔렸다는 뉴스를 오늘 읽었습니다. 대박이다, 싶었네요.
사실 에이전트가 촉각이나 후각을 필터링하지 않는 이유는 그냥 시청각과 다른 감각 사이의 정보 괴리를 보여주고 싶어서였는데, 그런 괴리가 발생한 배경에 대해서는 @챠우챠우 님의 해석을 듣고 나서 오, 그럴싸하다, 이런 규제가 나올 것 같다 싶었네요. ^^

드림북
완독~먹먹합니다 ㅜㅜ

장맥주
감사합니다, 드림북님! ^^
이혜민
저는 에이전트로 보고 싶어 하는 세상, 남들에게 보여주고 싶은 모습을 생각해내야하는 게 귀찮아서 그냥 있는대로 살 거 같아요. 조작하기 위해 어느 정도 내 에너지를 써야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그게 더 귀찮은 사람입니다. 다른 이들이 사용하는 건 말리지 않겠지만요. 각자의 선택이니. 대신 에이전트 리터러시 필수과목으로 배워야겠죠?? (푸단대 미디어리터러시온라인 청강 생각나네요....작가님,유머로 쓰신 거 맞죠??)

장맥주
저는 에이전트가 몸에 좋다, 하다못해 정신건강에라도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오면 바로 할 거 같아요. 건강에 안 좋다고 하면 정말 안 할 거 같고... 나이가 드니까 ‘몸에 좋은 거냐 안 좋은 거냐’ 하는 간명한 기준이 생기네요. 그런데 에이전트가 실제로 나오면 솔직히 굉장히 유혹적이기는 해요. ‘푸단대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알아봐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의 어둡고 뒤틀린 유머입니다. ^^
팻프리
아직 빌리서머스 보고 있는데...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 언제 읽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일단 오늘 방송 듣고 들어와 봤습니다~

장맥주
감사합니다! (저는 지난해 연말에 감기를 앓으면서 기름진 음식들을 마구 먹어서 체중이 확 늘었어요. 한 달 정도는 fat free한 음식들을 먹어야 합니다. 아이디 보니 문득 생각나서... 죄송합니다. ^^;;;)
팻프리
@장맥주 어쩌다보니 아이디가 그렇긴 하지만 저도 실제로는 팻 풍만한 일인인지라. ㅎㅎ
이혜민
책 안 읽고 방송들어도 재밌고, 나중에 읽고 방송 또 들어도 재밌어요^^
팻프리
@이혜민 글쿤요 ㅎㅎ 일단은 한번 먼저 완독하는 걸로~

챠우챠우
어제 방송 재미있게 들었습니다. 그런데 근미래에 에이전트가 상용화 되기 어렵지 않을까… 라는 희망을 가져 보았습니다.
요새 핫하다는 대화형 인공지능 chatGPT에 ‘한국의 장강명 작가에 대해서 설명해줘’라고 하니 그럴듯한 답이 나오지만 하나도 맞지 않네요. 재미삼아 붙여 봅니다.
Jang Gang-myeong is a Korean novelist who is known for his works of historical fiction. He was born in 1951 in Gyeongsangbuk-do, South Korea, and studied Korean literature at Sungkyunkwan University.
Jang Gang-myeong has published a number of novels, many of which are set in historical periods and explore themes of love, war, and social conflict. Some of his most well-known works include "The Red Kite" (붉은 새우), "The Red Flower" (붉은 꽃), and "The Killing Wind" (살인의 바람). He has received numerous awards for his writing, including the Dong-in Literary Award and the Yi Sang Literary Award.
Jang Gang-myeong's novels have been widely popular in South Korea and have been adapted into films, television dramas, and stage productions. He is known for his vivid and immersive storytelling and his ability to bring historical periods to life through his writing.

장맥주
오오... 이렇게 자신만만하게 틀릴 수가... 도대체 "붉은 새우"랑 "살인의 바람" 같은 소설 제목은 어디서 튀어나온 거랍니까...? ㅎㅎㅎㅎㅎ

챠우챠우
재미삼아서 이것저것 물어보았는데, 전문 지식을 물어보면 90%정도는 맞는 말을 하는데 10%정도가 틀린 내용이 있어 조금 위험해 보입니다. 제가 모르는 내용을 물어보면 그걸 그대로 믿게 될 것 같습니다.

챠우챠우
그런데 이 10%미만의 미묘한 (아마도 개량된다면 0.1% 미만까지도) 오류는 단순히 잡담을 나누는 것에서는 큰 문제 는 안 될 수 있지만, 자율주행이나 뇌에 심는 의료기기(BCI)에서는 치명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챠우챠우
그래서 우주에 슈퍼컴퓨터를 보내는게 아니라, 목을 잘라서라도 사람 두뇌를 보내는게 필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장작가님 다른 단편에 대해 한 번 더 무릎을 치게 되네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