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사는 재수사대로 면구합니다. ^^;;, 제 입장에서는 쓰는 데 들이는 노력 대비 산출량의 가성비를 따지면 초단편 > 경장편 > 장편 > 단편 > 재수사... 더라고요. 그러면서도 마음 깊숙한 곳에서는 초단편과 경장편을 왠지 얕잡아보게 되는데, 이건 또 무슨 선입견인지 모르겠습니다.
[책걸상 함께 읽기] #1.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
D-29

장맥주

토끼풀b
그믐을 통해 책걸상을 알게 되었어요. 지난주부터 듣고있는데 재밌어서 앞으로 계속 챙겨들을것 같아요.
책걸상 시즌5는 함께 하고싶어요 :D
저도 책은 수요일날 온다고 해요. 모임토크가 시작되 니 책이 더 기다려지네요!

장맥주
토끼풀b님, 감사합니다. 책걸상 재미있습니다! ^^
엘리스
당신이 보고싶어하는 세상 오늘 완독 하였습니다.
증강현실, 말풍선 . . 진짜가 무엇인지 알 수 없는 현실속 이야기 인 것 같습니다. ^^

장맥주
고맙습니다. ^^ 이런 기술이 정말로 나오면 사용하고 싶으신가요? 저는 조금 쓸 거 같기는 합니다.
엘리스
저는 사실 이러한 기술들이 나오면 장단점 생각 못하고 흐름에 따라갈 것 같아서 ... 그래서 미래사회를 어떻게 살아갈지에 대한 고민이 많아 책을 읽게 되는 것 같습니다 ㅎ

챠우챠우
10년째 창문없는 오피스에서 근무하는 저로서는 당장 사용할 것 같습니다. 처음엔 풍경만 구입해서 쓰다가 나중엔 외모보정도 쓰게 될 것 같습니다.

진공상태5
YG님께서 "환혼" 2회 까지만 일단 보라고 하셔서, 뭐지? 하고 봤는데, 계속 보고 있습니다. YG님 아니었으면 몰랐을지도? 지금은 "환혼" 너무 좋아하게 되었어요 ^^

바나나
저는 이런 기술이 나오면 최대한 안쓰고 버티는 사람쪽에 설것 같습니다. 안그래도 다양한 자극으로 차분해지지 않는데, 말풍선 막 떠오르고, 조도 채도 계속 조절해서 바꿔야하고...아 상상만해도 정신사나워요.

Nana
저도요. 스마트폰도 한참 버티다가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궁금한 것을 바로 알려주는 말풍선이 좀 탐나기는 하지만 @챠우챠우 님 말씀대로 BCI 라고 생각이 되고, 아..BCI도 딱히 하고 싶지 않을 것 같아요. 남들 다하면 결국은 대세에 따르겠지만요.

장맥주
BCI 1세대 이식 수술에 치명적인 오류가 있다는 사실을 몰랐던 인류. 어느 날 치명적인 태양 흑점 폭발 뒤 얼리 어댑터들은 모두 뇌질환으로 사망하고 대세에 늦게 따라가던 이들만이 생존하게 되는데...

진공상태5
어, 이 댓글을 읽으니까, 갑자기 YG님이 말씀하셨던 "백년법" 이라는 책이 생각납니다.

챠우챠우
작품에 나오는 '에이전트'에는 어떤 기술이 적용되었을까 고민해 봤 습니다. 현재 적용중인 증강현실은 대부분 시각적인 정보만 증강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에이전트는 시각과 청각에 대한 정보를 증강하는 것 같고, 촉각이나 후각에 대해서는 필터링을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고도로 발달된 컨택트렌즈와 헤드셋을 착용한다고 생각해 볼 수 도 있지만 머릿속에서 떠오른 생각에 대한 반응형 광고가 뜬다는 점에서 단순히 감각기관에 적용되는 기기가 아닌 고도로 발달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가 아닐까 생각이 들었습니다.
쌍욕까지 걸러주는 노이즈캔슬링 기술보다는 BCI 라는 설정이 더 설득력 있어 보입니다.

챠우챠우
그러면 촉각이나 후각 (그리고 언급은 되지 않지만 아마도 평형감각)에 대해서는 이 에이전트가 왜 필터링을 하지 않을까를 고민해 보면 이러한 감각들은 생존과 직결이 되기 때문에 규제로 막혀있을 것 같습니다.

장맥주
사실 소설 안에서 에이전트의 작동방식은커녕 생김새도 설명하지 않거든요. 별 생각도 안 나고, 그런 설명이 없는 편이 오히려 더 진짜 같아 보이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스필버그가 영화 "죠스"를 찍다가 로봇 상어 모습이 부자연스러워 보여서 그냥 상어 모습을 최대한 안 보여주는 방식을 택했다는데 저도 비슷한 전략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지금 한국 소설가들이 소설에서 안경의 원리나 형태에 대해 묘사하지 않듯이 에이전트가 자연스러운 세상에서 사는 1인칭 화자는 그런 묘사에 얽매이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챠우챠우
네, 그래서 더 현실감있게 읽혔던 것 같습니다. 그래야 저같은 독자도 이것저것 상상해보게 되고요.

YG
우리 방송에서 멋진 가능성 이야기했잖아요. 이 소설이 정말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져서, 혹시 소설과 같은 증강 현실 디바이스가 나오면 이름은 '에이전트'로 하기로.

장맥주
윌리엄 깁슨은 사이버스페이스, 닐 스티븐슨은 메타버스, 장맥주는 에이전트!

장맥주
나란히 적으니 에이전트가 뭔가 임팩트가 없는데... 이거 단행본 나올 때 이름을 바꿀까요? 신조어로? 어떤 명칭이 좋을까요?

YG
어쭙잖게 아이디어를 말씀드리자면, '옵티(Opti)' 어때요? 저는 소설 읽으면서도 '에이전트'보다 '옵티마이저'가 더 적합하지 않아? 이런 생각했었거든요. 현실을 자기한테 맞춘다는 의미도 있고, 옵티미스트-세상을 낙관적(?)으로 보게하는 장치니까요. :) 장강명의 '옵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