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속된 층위에서 현상을 구성하는 것은 연구자, 샘플, 그래픽, 표본, 지도, 보고서, 자금 요청의 변휘displacement에 의해 그려진 네트워크 안에서 그것에 대한 실재성을 부여한다.
이 네트워크가 거짓말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즉 지시하기를 멈추기 위해서는, 어느 쪽 끝에서든 그것의 확장을 방해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
“ 우리는 과학이 세계에 대한 정확한 복사본을 만든다고 상상하면서 과학을 사실주의적 그림으로 간주해왔다. 과학은 완전히 다른 어떤 것을 하고 있으며, 사실 그 점에 대해서는 그림도 마찬가지다. 연속적인 단계를 통해, 그것은 우리를 정렬된, 변형된, 구성된 세계로 연결한다. 우리는 이 모델에서 유사성을 상실하지만 보상이 있다. ”
p.141 kowarski—>Kowarski
p. 152 jucture—> juncture
논문 오탈자 교정과 심사를 맡다보니 생기는 편집증;;
ssun
“ 데카르트에게 통 속의 정신mind-in-a-vat이 합리적으로 바깥 세계와의 연결을 확신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오직 신을 통하는 것이었다. (중략) "당신은 실재를 믿습니까?"라는 질문은 "하나이신 하느님을 믿습니다." 혹은 오히려 "하나이신 실재를 믿습니다."와 같은 형태다. (중략)
경험주의자들의 백지 상태는 데카르트 시대의 정신 만큼이나 세계와 분리되어 있었다.
*통 속의 정신 : 힐러리 퍼트넘이 제시한 개념. 육체와 분리해 통 속에 집어넣은 뇌에 다양한 외부 자극을 가하면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이 경험하는 것과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있다는 상황을 상정하기 위한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