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첫장을 읽어가고 있는데 무슨 철학사를 다시 짚어가는 느낌입니다.^^;; 간만에 Plato의 Gorgias까지 다시 펼쳐봤습니다;;
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
D-29

borumis

borumis
“ 만약 현상학이 과학을 인간의 지향성으로 제한함으로서 그것을 포기해버린다면, 그 반대의 움직임인 인간을 '자연 현상'으로 연구하는 것은 더욱 나쁜 결과를 낳을 것이다. 즉 그것은 풍부하고 논쟁적인 과학의 인간사 human history of science를 포기하는 것이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borumis
borumis님의 문장 수집: "만약 현상학이 과학을 인간의 지향성으로 제한함으로서 그것을 포기해버린다면, 그 반대의 움직임인 인간을 '자연 현상'으로 연구하는 것은 더욱 나쁜 결과를 낳을 것이다. 즉 그것은 풍부하고 논쟁적인 과학의 인간사 human history of science를 포기하는 것이다. "
그런데 과학학을 하는 사람들의 입장으로 보면 이런 포기가 싫겠지만... 솔직히 과학자들은 별로 인간을 자연현상으로 연구하는 것이나 논쟁적인 과학의 인간사를 포기하는 것이 그렇게 나쁘게 여길 것 같진 않은데요. 제 생각에는 그런 환원주의를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그것의 나쁜 점을 더 구체적으로 명시해줄 필요가 있을 듯합니다. 안 그러면 니들이 하 는 게 대체 뭘 위한 거야?하고 맨 처음 심리학자처럼 뭔가 의문을 제기할 수 있을 듯합니다.

borumis
“ 그림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식론, 도덕, 정치, 그리고 심리학은 서로 협력하고 있으며 같은 협력을 목표로 한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주장하는 바다. 또한 이는 과학학의 대상이 되는 실재를 파악하기 힘든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가 저 바깥 세계의 안정적 특성이라 여겨지는 확실성을 과연 재현해낼 수 있을 것인가와 같은 냉정한 인식론적 질문 뒤에는 언제나 좀 더 걱정스러운, 우리가 군중을 피할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라는 둘째 질문이 숨어 있는 것이다. 반대로 '사회'에 관한 정의 뒤에도 너무도 많은 민중들의 입을 막기 위해 객관적 실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이 숨어 있는 것이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borumis
borumis님의 문장 수집: "그림 1-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식론, 도덕, 정치, 그리고 심리학은 서로 협력하고 있으며 같은 협력을 목표로 한다.
이것이 바로 이 책이 주장하는 바다. 또한 이는 과학학의 대상이 되는 실재를 파악하기 힘든 이유이기도 하다. 우리가 저 바깥 세계의 안정적 특성이라 여겨지는 확실성을 과연 재현해낼 수 있을 것인가와 같은 냉정한 인식론적 질문 뒤에는 언제나 좀 더 걱정스러운, 우리가 군중을 피할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인가라는 둘째 질문이 숨어 있는 것이다. 반대로 '사회'에 관한 정의 뒤에도 너무도 많은 민중들의 입을 막기 위해 객관적 실재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라는 질문이 숨어 있는 것이다."


borumis
“ 따라서 우리에게는 사람들에 대항한 '우월한 힘'이나 세계에 대한 '접근'을 상실할까 봐 계속해서 두려워하는 불구의 독재자인 통 속의 뇌 혹은 통 속의 정신이 필요 없다. 우리는 통제 불가능한 민중에 대항한 초월적 힘으로서의 절대적 확실성을 갈구하지도, 세계와의 접촉을 통한 절대적 확실성을 갈구하지도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확실성이 결핍되지도 않았는데, 왜냐하면 우리는 결코 사람들을 지배하려는 꿈을 꾼 적이 없기 때문이다. ...
우리에게는 객관적인 실재의 기세를 꺾는 사회적 세계나, 민중들을 침묵시키기 위한 객관적 실재도 필요치 않다. 비록 이 모든 것들이 과학전쟁의 시대인 지금은 놀랍게 들리겠지만, 문제는 간단하다. 우리는 전쟁을 하는 것이 아니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말이라는 것은 그 정의상 다른 종들 사이에 놓인 커다란 틈을 가로지를 때 생기는 오해를 내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만약 과학자들이 두 문화 사이에 다리를 완전히 놓고자 한다면, 그들은 수많은 소음들과 약간의 허튼소리 이상의 것에 익숙해져야 할 것이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이것은 과학학이 논쟁적인 두 번째 이유다. 실수로 과학학은 다른 논쟁 중간에 끼어버렸는데, 이 논쟁은 과학 자체 내에서 벌어진 것이었다. 한쪽에는 여전히 겉으로는 자율적이며 집합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과거의 과학Science처럼 보이는, '냉전 분과들'이라고 불릴 만한 분과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대문자 S로 시작하는 과학Science이라는 단어로는 쉽게 포착될 수 없는 정치, 과학science, 기술, 시장, 가치, 윤리, 사실의 이상한 소용돌이가 존재한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53-54,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borumis
borumis님의 문장 수집: "이것은 과학학이 논쟁적인 두 번째 이유다. 실수로 과학학은 다른 논쟁 중간에 끼어버렸는데, 이 논쟁은 과학 자체 내에서 벌어진 것이었다. 한쪽에는 여전히 겉으로는 자율적이며 집합체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과거의 과학Science처럼 보이는, '냉전 분과들'이라고 불릴 만한 분과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대문자 S로 시작하는 과학Science이라는 단어로는 쉽게 포착될 수 없는 정치, 과학science, 기술, 시장, 가치, 윤리, 사실의 이상한 소용돌이가 존재한다."
여기서 말하는 대문자 S로 시작하는 Science와 소문자 s의 science는 마치 SF소설에서 하드 SF와 소프트 SF로 구분하는 듯하네요.

borumis
“ 과학 분과 내에서도 과학Science이라는 모델과 연구라는 모델 사이에 다툼이 있는 것처럼, 사회과학과 인문학 내에서도 한편은 탈근대postmodern라고 불릴 수 있고 다른 한편은 비근대nonmodern라 불렸던 두 가지 상방되는 모델을 놓고 다툼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탈근대라고 부를 수 있는 첫째 모델이 더욱 결핍되고 더욱 폭로적이고 더욱 부정적이고 더욱 해체적인 행위를 정당화하기 위해 취하는 모든 것들이 비근대라고 불리는 둘째 모델에서는 존재, 배치, 확인, 구성의 증거로 받아들여진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56,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합리주의자 프로젝트의 압도적인 실패를 취하려 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탈근대주의는 근대주의와 같은 향수병을 느낀다.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57,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과학학은 내가 보기에 이와는 아주 다른 비근대적인 임무를 수행해왔다.우리에게 근대성은 결코 세상의 질서였던 적이 없었다. 실재와 도덕성은 결코 결핍된 적이 없었다.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57,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어쩌다가 2장의 영어 pdf 파일을 인터넷에서 발견했는데요.. 사진 질이 책보다 조금 더 낫고 번역이 더 이해하기 쉽네요. 예를 들어 111쪽의 '나는 내 설명에서 나 자신이 단 한 순간이라도 사진의 시각을 잃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실수를 저지를까 봐 매우 걱정된다.'라는 매우 희한한 문장도 실은 'I am so afraid of making a mistake in my account that I myself do not dare lose sight of the photographs, even for an instant.'인 평범한 문장이고 저라면 '나는 내 설명에서 실수를 할까 봐 워낙 두려워서 나 자신이 단 한 순간이라도 사진을 시야에서 놓치지 않도록 한다.'라고 번역하면 이해가 더 잘 갈텐데..;;; 다른 라투르의 한국어 번역서들도 그렇고 번역들이 참 아쉽습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3개 보기

borumis
borumis님의 대화: 어쩌다가 2장의 영어 pdf 파일을 인터넷에서 발견했는데요.. 사진 질이 책보다 조금 더 낫고 번역이 더 이해하기 쉽네요. 예를 들어 111쪽의 '나는 내 설명에서 나 자신이 단 한 순간이라도 사진의 시각을 잃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실수를 저지를까 봐 매우 걱정된다.'라는 매우 희한한 문장도 실은 'I am so afraid of making a mistake in my account that I myself do not dare lose sight of the photographs, even for an instant.'인 평범한 문장이고 저라면 '나는 내 설명에서 실수를 할까 봐 워낙 두려워서 나 자신이 단 한 순간이라도 사진을 시야에서 놓치지 않도록 한다.'라고 번역하면 이해가 더 잘 갈텐데..;;; 다른 라투르의 한국어 번역서들도 그렇고 번역들이 참 아쉽습니다.

borumis
그래도 2장에서 읽은 내용을 통해 여태껏 그냥 기호학이나 언어철학의 개념이라고 생각했던 지시체, 그중 순환하는 지시체에 대해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이해가 가네요. 저도 그냥 기호나 기입이 아닌 실제 물질적 예시로 번역(또는 접언? 도대체 이 괴기한 신조어는 무슨;;;)해주는 과정이 필요했나 봅니다. 여태까지 읽은 책들 중 이 책이 제일 이해하기 쉽네요.

borumis
그나저나 라투르 은근 짖궃고 능글능글한 위트가 있네요..
"주황색 페도필에 엄청나게 의존한다...."
(페도필pedofil (pédophile 소아 성애자와 동음이의어)이란 기구 이름에서 웃고 그 다음에 머뭇거리는 듯한 말줄임표에서 또 웃었네요^^;;)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borumis
저는 보통 임상현장 쪽에서 채취(물론 혈액이나 골수 등은 우리가 하기도 했지만)한 검체로 실험실에서만 실험을 하기 때문에 이런 현장에서의 채취 작업은 낯설었는데 재미있네요.
토양학자들이 이렇게 흙을 '맛보는' 것도 처음 알았어요!! (이렇게 대충 해도 괜찮을까요?) 토양학자들이 그나마 색은 표준화했지만 토양의 맛?질감? 등은 표준화하기 힘든 암묵적 지식implicit knowledge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네요. 예전에 소믈리에 등의 그런 감각을 표준화나 검증하기 힘들어서 흑백요리사 같은 경우도 저렇게 두 명만 있어도 판단이 엇갈리지 않나..했는데. 그나저나 여기서도 라투르가 유명 와인 가문의 아들답게 아버지의 와인 테이스팅을 언급하는 군요!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borumis
borumis님의 대화: 저는 보통 임상현장 쪽에서 채취(물론 혈액이나 골수 등은 우리가 하기도 했지만)한 검체로 실험실에서만 실험을 하기 때문에 이런 현장에서의 채취 작업은 낯설었는데 재미있네요.
토양학자들이 이렇게 흙을 '맛보는' 것도 처음 알았어요!! (이렇게 대충 해도 괜찮을까요?) 토양학자들이 그나마 색은 표준화했지만 토양의 맛?질감? 등은 표준화하기 힘든 암묵적 지식implicit knowledge로 남아있을 가능성이 높네요. 예전에 소믈리에 등의 그런 감각을 표준화나 검증하기 힘들어서 흑백요리사 같은 경우도 저렇게 두 명만 있어도 판단이 엇갈리지 않나..했는데. 그나저나 여기서도 라투르가 유명 와인 가문의 아들답게 아버지의 와인 테이스팅을 언급하는 군요!
아.. 샤토 라투르는 아니고 메종 루이 라투르 가문이군요..;; 그래도 금수저;;

borumis
126페이지: 한때 모든 줄거리에 따라붙을 수 있었던 성찰성은, 내가 최초로 인정하건데, 나를 넘어서 있다. --> 모든 줄거리에 " 동시에" 따라붙을 수 있는 성찰성은, 내가 최초로 "인정하건대", 나"에겐 벅차다"
A reflexivity that could follow every thread at once is, I would be the first to admit, beyond me.
번역과 맞춤법 검수 문제인 듯합니다..

borumis
그림 2-23을 통해 칸트의 현상에 대한 배경도법도 라투르의 순환하는 지시체의 설명도 더 이해하기 쉽네요. 뭐랄까 칸트가 전형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거울을 마주보는 광학적 이미지같으면 라투르는 루이스 캐롤의 거울나라의 앨리스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 같네요! Curiouser and curiouser!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