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작 장편소설 혹은 단편소설집을 읽는 모임입니다. 첫 번째로는 임선우 작가의 첫 단편소설집인 <유령의 마음으로>를 읽습니다. 아직까지는 함께 하는 분이 없어서 유령의 마음으로 혼자서 떠들 예정입니다. 동참해주실 분은 누구든 환영입니다.
[한국 소설의 새로운 얼굴들] 유령의 마음으로
D-29

남궁필명모임지기의 말

남궁필명
지금부터 읽기 시작

남궁필명
15쪽, [빵집에는 스무 가지가 넘는 빵들이 있었는데, 그중 가장 인기가 없는 빵은 감자빵이었다. 투박한 생김새에 맛도 없어서 매일 두세 개씩 꼭 남았다. 그 바람에 남은 감자빵은 매번 내가 처리해야 했다. 처음에는 매일 저녁으로 감자빵을 먹었지만, 먹다 지친 나머지 감자빵을 처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냈다.]

남궁필명
유령 만난거 보다도 더 충격. 초입부터 감자빵에 대한 모독이라니...

남궁필명
21쪽, [유령은 감정을 전달받는다는 게 얼마나 바쁜 일인지 아느냐고 되물었다. 지금은 평온한데? 내가 말하자 유령은 고개를 저었다. 여태껏 단 한 번도 평온한 적은 없었어. 나는 그 말이 틀렸다는 걸 보여주기 위해, 세상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로 누워 콧노래를 흥얼거렸다. 그런데 콧노래를 흥얼거리다가 문득 정수가 생각났다. 정수가 콧노래를 좋아했기 때문이었다. 정수는 지금도 콧노래를, 얼터너티브록을, 가벼운 산책을, 단정한 셔츠를 좋아할까?]

남궁필명
내가 이야기 하는 것인지, 유령이 이야기 하는 것인지 혼란스럽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나도 이렇다. 이제 평온해! 라고 생각하는 순간 어지럽고 바쁜 사고와 감정들이 이어진다. 지금 이 짧은 문장을 쓰는 순간에도.

남궁필명
28쪽, [나는 유령의 우는 얼굴을 바라보았다. 나에게 도달하지 못한 감정들이 전부 그 안에 머무르고 있었다. 나는 손을 뻗어 유령의 두 눈에서 뚝뚝 떨어지는 눈물을 닦아 주었다. 손에 닿지는 않았지만 분명 따뜻했고, 너무 따뜻해서, 나는 울 수 있었다. 대체 어떤 유령이 눈물까지 흘리는 거야. 내가 말했다. 나는 유령이 아니니까. 유령은 우는 와중에도 그렇게 말했다. 잠시 뒤에 유령이 나를 끌어안았는데, 그것은 내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받아보는,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완전한 이해였다.]

김새섬
안녕하세요! 남궁필명님. 저도 이 책을 함께 읽어봐도 될까요? 제가 이 책을 방금 처음 접해서 아직 책이 없습니다만, 얼른 구해서 읽어보겠습니다.

남궁필명
앗 너무 좋습니다. 댓글을 이제서야 확인했는데 감동입니다. 새로고침을 해야 답글이 뜨나봐요.

남궁필명
29쪽, [빵이 질리지는 않아? 김지원은 곰곰이 생각하더니, 여기 빵은 너무 맛있지도 너무 맛없지도 않기 때문에 계속 먹을 수 있다고 대답했다. 먹는 동안 맛에 대해 아무 생각도 나지 않기 때문에 계속해서 먹을 수 있는 거라고.]

남궁필명
어떻게 하면 아무 생각도 안할 수가 있을까? 놀이공원에서 놀이기구를 타다보면 가끔 아무 생각도 안나는 순간이 있다.

남궁필명
멍해지려고 여행을 간다는걸 어디서 주워들었지 했는데, 검색해보니 5년만에 신혼여행이었다. <5년만의 신혼여행> 123쪽, 선글라스를 쓴 채로 점점 붉게 물들어가는 해를 바라보고 있으니 정신이 다시 멍해졌다. 그리고 나는 그 순간 깨달았다. 왜 사람들이 아름다운 풍경을 찾아다니는지, 왜 자전거를 타고, 왜 수십 킬로미터를 달리며 러닝하이를 느끼려 하는지. 사람들은 멍해지려고 그런 일들을 하는 것이다. 무슨 생각을 하건, 생각한다는 것 자체가 우리의 마음을 피로하게 만든다. 생각은 인간을 인간답데 만드는 대신 괴로움에 빠트린다.

남궁필명
위에 오타났다. 인간답데->인간답게. 수정을 할 수 없으니 더 신중하게 타이핑을 해야겠다. 수정버튼 만들어주세요..

남궁필명
또 멍해질 때가 있다. 음악 페스티벌 가서 다음에 나올 아티스트를 기다릴 때. 기대감은 2분 정도 갖고, 그 이후로는 계속 멍하게 있는다. 그리고, 헬스장에서 빡세게 운동을 하고 잠깐 쉴때 엄청나게 멍한 기분이 든다. 그리고 극장 안에서 영화나 연극을 볼 때, 애매하게 재미없으면 멍해진다. 아예 재미없으면 머릿속으로 계속 딴 생각하고, 너무 재밌으면 몰입해서 보게 되는데, 애매하게 재미없으면 멍하다. 극장에서 나가지도 못하고, 그렇다고 휴대폰을 꺼낼수도 없고 멍해진다... 혹시나 이 글을 읽고 있는 분들이 계시다면 언제 멍해지시나요?

남궁필명
빛이 나지 않아요/ 36쪽, [해파리로 변해 가는 사람들을 보자 천장에서 물이 새는 것쯤은 아무것도 아닌 일처럼 느껴졌다. 그러니까 밴드가 망하고, 서울에 있던 월세방 보증금을 까먹고, 쫓겨나듯 시골로 와서 지내게 된 구의 돌아가신 친할머니댁 천장에서 물이 새는 것도 그다지 놀랄 일은 아닌 것이다.]

남궁필명
37쪽, [사람들은 해파리를 저마다 다르게 받아들였다. 누군가는 해파리에게서 멸망을 보았다. 누군가는 신의 모습을 보았고, 누군가는 삶의 탈출구를 보았다. 그리고 구는, 해파리에게서 취업 기회를 보았다.]

남궁필명
49쪽, [구와 내 휴일이 겹친 주말, 우리는 빗속에 버스를 타고 나가 마트에서 장을 봤다. 간장과 참깨, 대파와 시금치 한 단, 계란 같은 것들로 장바구니를 가득 채웠다. 서울에서는 음식을 해 먹은 적이 없었기에 모든 것이 낯설었다. 돌아오는 버스 안에서 나는 차창에 머리를 기댄채 바깥을 구경했다. 세상은 점점 이상해져 가는데, 우리는 집에서 시금치를 무쳐 먹을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사실이 이상하게 느껴졌다.]

김새섬
같은 문장에 밑줄 긋기~

김새섬
12쪽, [유령이 카운터에서 눈을 뜬 순간부터 나는 내가 죽지 않았다는 사실에 크게 실망하고 있었다]

김새섬
확실히 젊은 감성이 (그게 뭔진 잘 설명은 못 하겠지만서도) 느껴지는 소설이네요. 대학교 여름 방학 느낌이랄까..짧고 잘 읽히는 문장들이 좋고, 뭔가 지저분한 더함 없이 깔끔하게 끝나는 느낌이 괜찮네요. 감자빵이 먹고 싶다는...

남궁필명
아니 벌써 구매하고 읽고계시다니!! 실행력이 굉장하신데요. 고쿠라님 말씀을 듣고 보니 정말 대학교 여름 방학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