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브리치보다 더 친절한 이진숙의 서양미술사에 빠져 봅시다.
서양미술사에 대한 이진숙의 멋진 해설을 듣고 싶다.
D-29

롱기누스모임지기의 말

롱기누스
<레이니르 레아엘 대위의 지휘하에 있는 11지구의 자경대>는 렘브란트가 그린 자경대 그림과 함께 암스테르담 국립미술관의 같은 방에 전시되어 있다. 이런 배치는 단순한 미술사적인 고려만이 아니다. 독립운동은 시민들이 스스로의 권리를 보장받고 자기 공동체의 발전에 대한 꿈, 그리고 독립을 쟁취하는 과정에서의 희생과 같이 이후에도 건강한 공동체 유지를 위한 중요한 가치를 만들어 나가는 과정이기도 했다. 네덜란드의 자경대 초상화들은 이런 집단 기억을 보존하고 있는 중요한 미디어다. 인류사에서 보기 드물게 사회적인 건강함이 넘쳤던 순간 중 한 장면이 예술작품으로 기록된 것이다.

롱기누스
“ 이탈리아의 화가들 역시 모델들을 보고 그렸지만, 그들은 되도록 모델을 이상화시켜서 시간을 초월한 인간상에 근접시키려 했다. 그 결과 그림 속 인물들은 대부분 젊고 완벽해 졌다. 그러나 지금-여기에 존재하는 인간에 접근해갈수록, 우리는 그 인물의 개성에 주목하게 된다. 개성의 강화는 결국 보편으로부터의 이탈을 의미하는데, 이것은 불완전함으로 보일 수밖에 없다. 사실 어떤 인간에게도 '완벽함'이란 없다. 다만 '다름'이 있을 뿐이다. 개인의 초상화가 그려질 수 있는 유일한 이유도 바로 그 '다름' 때문이다. 한 개인도 어떤 때는 뜨겁고 어떤 때는 차가우니, 그때그때 다르다고 할 수밖에 없다. 영원한, 완벽한 것은 없으며 세상에 존재하는 것은 오직 순간에만 존재하는 불완전함뿐이다. 렘브란트는 불완전한 인간 그대로에서 아름다움을 찾았다. ”
『새로고침 서양미술사 세트 - 전3권 - 미술사를 바꾼 순간들 101』 p.308, 이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채팅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