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설레는 그 이름!
신비 섬 제주유산 혼자 읽기
D-29

오구오구모임지기의 말

오구오구




오구오구


오구오구
고려시대 지도에는 섬과 해안가 지형이 자세히 나타나지만 조선 시대 지도에서 섬은 무시되었다. 조선의 모든 것을 담은 지리지에도 바라는 없었다.
『신비 섬 제주 유산 - 아는 만큼 보이는 제주의 역사·문화·자연 이야기』 30, 고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버려진 섬들에 기대어 백정들처럼 천민부락을 이루고 살던 그들이 두모악이다. 임진왜란에서 맹활약하면서 그들은 하나의 신분이 되었다. 34
『신비 섬 제주 유산 - 아는 만큼 보이는 제주의 역사·문화·자연 이야기』 고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대정향교에서 모진 바람에도 꿋꿋이 자라는 소나무를 본 김정희가 <세한도>를 그렸다는 것도 그래서일것이다. 그 모진 바람에도 잘 자라니 말이다. 얼마나 위안이 되었을까. 제주의 1월은 세한도가 탄생한 계절이다. 44 ”
『신비 섬 제주 유산 - 아는 만큼 보이는 제주의 역사·문화·자연 이야기』 고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제주 미술관 투어:
제주도립미술관, 본태미술관, 왈종 미술관, 아르떼뮤지엄, 기당미술관, 김영갑 갤러리두모악, 저지문화예술인마을, 이중섭미술관, 유민미술관

오구오구
5 월: 설문대할망페스티벌, 서귀포층, 제주돌문화공원
서귀포층 : 천지연폭포 서쪽의 특이한 지층
우석목, 돌하르방
대저현성의 돌하르방: 복신미륵과 비슷
복신미륵: 15세기 불상의 모습과 유사, 돌장승과 비슷
대정현은 유배인들이 많이 들어온 곳, 이름난 석상인 복신미륵을 참여하여 만든 것 아닐까
돌하르방은 제주도가 원조가 아닐 가능성이 크고 제주 전통과도 무관
친근한 이름으로 유명해 진것 같음, 토속적 친숙한 분위기, 현무암 소재, 이국적, 신비함
조선시대 행정구역: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
제주읍성, 정의현성, 대정현성에 돌하르방이 있었었음
현재: 제주대학교, 국립민속박물관, 관덕정, 삼성혈, 특히 관덕정에 4개의 돌하르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