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설레는 그 이름!
신비 섬 제주유산 혼자 읽기
D-29

오구오구모임지기의 말

오구오구




오구오구


오구오구
고려시대 지도에는 섬과 해안가 지형이 자세히 나타나지만 조선 시대 지도에서 섬은 무시되었다. 조선의 모든 것을 담은 지리지에도 바라는 없었다.
『신비 섬 제주 유산 - 아는 만큼 보이는 제주의 역사·문화·자연 이야기』 30, 고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버려진 섬들에 기대어 백정들처럼 천민부락을 이루고 살던 그들이 두모악이다. 임진왜란에서 맹활약하면서 그들은 하나의 신분이 되었다. 34
『신비 섬 제주 유산 - 아는 만큼 보이는 제주의 역사·문화·자연 이야기』 고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대정향교에서 모진 바람에도 꿋꿋이 자라는 소나무를 본 김정희가 <세한도>를 그렸다는 것도 그래서일것이다. 그 모진 바람에도 잘 자라니 말이다. 얼마나 위안이 되었을까. 제주의 1월은 세한도가 탄생한 계절이다. 44 ”
『신비 섬 제주 유산 - 아는 만큼 보이는 제주의 역사·문화·자연 이야기』 고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제주 미술관 투어:
제주도립미술관, 본태미술관, 왈종 미술관, 아르떼뮤지엄, 기당미술관, 김영갑 갤러리두모악, 저지문화예술인마을, 이중섭미술관, 유민미술관

오구오구
5 월: 설문대할망페스티벌, 서귀포층, 제주돌문화공원
서귀포층 : 천지연폭포 서쪽의 특이한 지층
우석목, 돌하르방
대저현성의 돌하르방: 복신미륵과 비슷
복신미륵: 15세기 불상의 모습과 유사, 돌장승과 비슷
대정현은 유배인들이 많이 들어온 곳, 이름난 석상인 복신미륵을 참여하여 만든 것 아닐까
돌하르방은 제주도가 원조가 아닐 가능성이 크고 제주 전통과도 무관
친근한 이름으로 유명해 진것 같음, 토속적 친숙한 분위기, 현무암 소재, 이국적, 신비함
조선시대 행정구역: 제주목, 정의현, 대정현
제주읍성, 정의현성, 대정현성에 돌하르방이 있었었음
현재: 제주대학교, 국립민속박물관, 관덕정, 삼성혈, 특히 관덕정에 4개의 돌하르방

오구오구
5월문화: 메밀이 바꾼 제주 밥상
메밀이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곳: 제주, 강원도로 수출까지 함
메밀의 원산지: 중앙아시아, 타타르 메밀이라 불리기도 함, 몽골인에 의해 들어옴
놈삐라고 하는 무, 놈삐는 나무의 뿌리라는 말을 줄여 만든 제주어
무는 메밀의 찬 성질을 중화함
감칠맛을 위해 고깃국물에 메밀가루를 품
메밀과 무의 조합: 빙떡
오메기술과 고소리 술

오구오구
5월역사: 푸른 감옥, 출륙 금지령 (1629년)
제주의 인구가 늘기 시작한 것은, 스스로 전복을 먹지 않을만큼 제주인의 고통에 공감했던 정조때.
정조: 진상품 줄이고 상업활동하도록 허락, 양태산업에 대한 독점권 허락 --> 김만덕 거상 출현
궨당문화: 제주사람끼리만 결혼, 궨당사회, 삼춘, 조케라고 다 부름
메밀꽃 축제지역: 오라동 메밀밭, 보롬왓, 광평리, 청초밭, 신례리

오구오구
제주어 사전에 따르면 곶자왈은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져 수풀과 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으로 정의되어 있다. 220
『신비 섬 제주 유산 - 아는 만큼 보이는 제주의 역사·문화·자연 이야기』 고진숙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제주어 사전에 따르면 곶자왈은 '나무와 덩굴 따위가 마구 엉클어져 수풀과 같이 어수선하게 된 곳'으로 정의되어 있다. 220
제주에는 곶과 자왈이라는 두개의 다른 지형이 있었다. 곶은 숲이고 자왈은 가시덤불 지역이다. 곶과 자왈을 합쳐서 곶자왈이란 이름을 만든것은 송시태 박사이다. 220
곶자왈은 식물과 동물의 피난처이기도 하다. 노루와가 겨울을 보내는 곳이기도 하고, 제주고사리삼, 개가시나무, 으름난초, 순채, 솔잎란 등 환경부 멸종위기 보호 야생식물들이 살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제주 4.3때는 사람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하기도 했다. 그리고 이제는 치유의 숲이 되었다. 224
채팅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