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 전 독자로서 이렇게 긴 제목을 기억하기가 싫어지네요;;
실은 애니메이션 제목도 이렇게 긴 게 많던데 이런 제목 단 것은 일단 거르고 봅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
D-29

borumis

stella15
저는 아직도 종이책이 주는 질감이 좋던데.
편견일수도 있겠지만 질감이 좋으면 책도 왠지 잘 읽히는 것 같고.
요즘엔 인터넷에서 책을 사니까 갈수록 책 정보는 대충 보고 사는 경우도 많아요. 많은 독서계 지식인들이 책은 서점에 직접 나가서 사라고 하는데 원칙적으론 동의하지만 그게 점점 쉽지 않더라구요. 그럼에도 아직도 오프 서점이 있다는 건 많은 걸 생 각하게 만들죠. 그게 예전엔 산책의 의미도 됐는데 말입니다. 웹에서 책을 읽는 사람이 무슨 산책을 하겠습니까?

stella15
가능하지 않을까요? 저작권에 위배되는 거 아니니까.

장맥주
‘십이야’도 ‘열두 번째 밤’으로 번역 제목을 바꿨으면 좋겠어요. 그냥 들으면 ‘열두 밤’으로 들리잖아요. 실제로는 Twelfth Night인데.
향팔이
맞아요, 십이야도 있었네요. 부끄러운 얘기지만, 저는 십이야라는 제목을 처음 들었을 때 심지어 12야 라고도 생각 못하고 대체 십이야가 뭐냥 무슨 민요 이름이냥? 일케 생각했답니다. 닐리리야, 뻥이야.. 뭐 이런ㅜ

stella15
ㅎㅎㅎ 그럴 수 있어요.
좀 딴 얘기지만 솔직히 전 셰익스피어가 넘 길어서 셱스필이라고 할 수 없을까 했는데 좀 그렇잖아요. 남의 성을 함부로 축소해 부르기도 뭐하고. 하긴 도스토옙스키를 도 선생으로 부르기도 하니. ㅋ
향팔이
도선생이라고도 하고, 도스또옙스끼 -> 도끼 라고 줄여 부르기도 하더군요. 도끼 괜찮은듯해요 음 죄와벌이랑도 맞고

장맥주
십이야 십이야 니나노~~ 얼쑤!

borumis
와우 순식간에 셰익스피어에서 향토적인 삘이! ㅋㅋㅋ

연해
하하, 가만히 읽다가 웃음이 터졌네요. 전혀 딴소리긴 한데, 저도 부끄러운 이야기 하나 해보자면요. 초등학교 때 받아쓰기 하는데, 선생님이 '사나이가 어쩌구저쩌구'라고 불러주신 문장을 저는 '산아이가 어쩌구저쩌구'라고 받아쓴 거 있죠? 덕분에 웃음거리가 되었는데, 저는 진짜 산에 있는 아이라고 생각했었던, 허허허.
향팔이
사나이보단 산아이라는 말이 왠지 참 이쁜데요? (예전에 즐겨 읽은 김혜린 걸작 만화 <불의 검>의 산마로도 생각나고요. 산마로가 산사나이라는 뜻인가 그랬습죠) 저는 꼬꼬마때 ‘가오리’를 ‘가올이’라고 쓴적이 있슴미다.. 녜

연해
저희 반에 @향팔이 님이 계셨어야 했는데(흑흑), 아쉽습니다. 아니 근데, 가을이야말로 너무 귀여운데요! 꼬꼬마 시절에는 다들 한 번씩 깜찍한(?) 실수를. 여담이지만 제 집에 가을이라는 이름을 가진 고양이 인형이 있는데 말이죠(농담 아니고, 진짜로요). 가을에 태어나서(선물받아서) 가을이라고 이름 붙여 줬어요.
향팔이
@연해 진짜 여담이지만 저희 집에는 인형은 아니고 찐 고양이 선생님들이 두분 사세요. 가을은 아니고 봄 여름에 태어나신 걸로 추정되는

새벽서가
찐고양이님들 미모가 궁금합니다! ^^
향팔이
@새벽서가 셰익스피어와 고양이들입니다옹



borumis
캬아아 넘 귀여워요! 저 너머로 쌓인 사극들은 뭔가요..ㅎㅎㅎ
향팔이
@borumis 본묘도 셰익스피어 사극이 궁금하다며 들이대시더군요..

새벽서가
오마나!!! 예쁜 치즈냥이랑 턱시도냥을 모시고 계시는군요?
저희집 네돌배기 턱시도냥은 3년전에 냥이별로 떠났 어요. 플레임인 흰색 고양이가 저희집 터줏대감 13세된 렉돌이고, 5세가 된 막둥이 태비가 있습니다.
향팔이
@새벽서가 세상의 모든 고냥이는 예술입니다옹

새벽서가
향팔이님 말씀에 겅가합니다옹!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