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모타 이누히코의 <계엄>을 번역한 한정림입니다.
이 책은 저자의 경험이 담긴 반자전적 소설로 1979년 4월 1일부터 이듬해 1월 한국을 떠나기까지 겪는 일을 다룹니다. 서울의 한 대학에서 외국인 강사로 일하며 경험하는 70년대 후반 한국의 풍경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특히 박정희 정권 하의 한국 사회의 분위기가 생생하게 묘사되고 이것이 어떻게 10.26비상계엄과 12.12 사태로 이어지는 지 엿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2024년 12월 3일. 45년 만의 비상계엄 사태를 맞이하고 말았습니다. 이 책은 그보다 앞선 10월에 출간 됐는데요. 1979년과 2024년 ‘계엄’이라는 사태를 촉발시킨 한국 사회 분위기를 비교하며 읽어보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 있는 책입니다.
늦은 밤, 주인공 세노에게 전화가 걸려옵니다.
“선생님, 큰일 났어. 당신들 연극 못 하게 됐어!”
수화기 너머에서 숨을 헐떡거리는 목소리가 들려왔다.
”전국에 비상계엄령이 발동됐어. 대학은 전부 무기한 휴교이고 집회는 금지됐어.“
비상계엄령! 드디어 온 것인가.
용수와 재일은 방금 심야방송을 듣다가 갑자기 나온 임시뉴스를 통해 알게 됐다고 한다. 비상계엄령은 오전 4시에 개시되었다. 계엄사령부의 긴급발표하느데 이유는 알 수 없었다. 시계를 보니 오전 5시였다. 10월 27일이었다.
<계엄>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여기를 봐주세요.
http://aladin.kr/p/4qvid
* 신청 기간 : 3월 26일(수)~3월 30일(일)
* 모임 기간 : 3월 31(월)~ 4월20일 (일)
함께 읽으실 분 중 5분을 선정해 도서를 증정해드립니다.
신청 기간 (30일 일요일까지) 중에 아래 구글폼을 작성해주시면
선정해 도서를 발송해 드립니다.
* 증정도서 신청
https://forms.gle/7xqubarVuYWznokp6
그럼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도서증정] [번역가와 함께 읽기] 요모타 이누히코의 <계엄>
D-29

밤톨모임지기의 말
chloe
그믐 참여는 처음입니다. 1907년대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의 게엄상황과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2025년. 과연 한국사회는 무엇이 진화되었을지 함께 의견을 나누어보고 싶어서 신청합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siouxsie
안 그래도 지금 읽고 있는 책이 재일조선인 서경식 작가님의 '디아스포라 기행'인데, 이 분이 겪었던 한국-북한-일본의 문제들이 거의 60-80년대 이야기라 이 게시판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형들이 한국에 유학하러 들어왔다가 박정희 정권 때 정치범으로 잡혀 들어갔다는 이야기가 있었거든요.
요새 하도 흉흉해서 하루하루 살얼음판 걷는 것 같고, 정말 저런 상황에서 살아야 하면 어쩌나 걱정이 많습니다. ㅜ.ㅜ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Jenna
이런 리뷰를 읽었어요.
지금은 정말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나도 마음을 졸이고 있다. 그래서 소설의 이 부분이 뼈저리게 다가왔다.
"시간이 천천히 해동되려고 한다. 나는 그런 인상을 받았다. 지금까지 엄숙하게 봉인된 것이 멍에를 풀고 형태를 허물어뜨리려고 한다. 그것이 어떤 새로운 형태가 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형태가 무너진 채로 보다 더 비참한 상황이 도래할지도 모른다."(p.282)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siouxsie
siouxsie님의 대화: 안 그래도 지금 읽고 있는 책이 재일조선인 서경식 작가님의 '디아스포라 기행'인데, 이 분이 겪었던 한국-북한-일본의 문제들이 거의 60-80년대 이야기라 이 게시판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형들이 한국에 유학하러 들어왔다가 박정희 정권 때 정치범으로 잡혀 들어갔다는 이야기가 있었거든요.
요새 하도 흉흉해서 하루하루 살얼음판 걷는 것 같고, 정말 저런 상황에서 살아야 하면 어쩌나 걱정이 많습니다. ㅜ.ㅜ
이런 내용도 나오네요.


밤톨
siouxsie님의 대화: 이런 내용도 나오네요.
안녕하세요. 벌써 읽기 시작하셨군요. 반갑습니다.

밤톨
Jenna님의 대화: 이런 리뷰를 읽었어요.
지금은 정말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 나도 마음을 졸이고 있다. 그래서 소설의 이 부분이 뼈저리게 다가왔다.
"시간이 천천히 해동되려고 한다. 나는 그런 인상을 받았다. 지금까지 엄숙하게 봉인된 것이 멍에를 풀고 형태를 허물어뜨리려고 한다. 그것이 어떤 새로운 형태가 될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형태가 무너진 채로 보다 더 비참한 상황이 도래할지도 모른다."(p.282)
안녕하세요. 지금이 딱 그런 시간인 것 같습니다.

밤톨
chloe님의 대화: 그믐 참여는 처음입니다. 1907년대 외국인의 눈에 비친 한국의 게엄상황과 그로부터 50년이 지난 2025년. 과연 한국사회는 무엇이 진화되었을지 함께 의견을 나누어보고 싶어서 신청합니다.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앞으로 3주 동안 찬찬히 읽고 이야기 나눠보아요.
지윤그믐
일본인 친구랑 계엄령이야기를 하면 계엄이라는 단어를 생전 처음 들어봤다는 친구들이 많았어요! 한국에서 산 일본인이 직접 보고 느낀 계엄은 어떤 것이었을지 너무 궁금합니다. 좋은 이벤트 진행 감사합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은은
연초에 읽기 시작했다가 미뤄둔 책이라 반가워 모임 참여 신청합니다. 함께 끝까지 잘 읽어보겠습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siouxsie
밤톨님의 대화: 안녕하세요. 벌써 읽기 시작하셨군요. 반갑습니다.
아! 아니요~ 이건 '디아스포라 기행'이란 책이에요. ^^
이 책에서도 계엄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옵니다. 읽으면서 계속 가슴이 먹먹하고, 화가 많이 나네요.

디아스포라 기행 - 추방당한 자의 시선서경식이 런던, 잘츠부르크, 카셀, 광주 등을 여행하며 ‘근대’를 사유하고, ‘근대 이후’ 인간의 가능성을 탐구한 인문 에세이다. ‘디아스포라’라는 말은 본래 ‘이산’(離散)을 뜻하는 그리스어로, 팔레스타인 땅을 떠나 세계 각지에 거주하는 이산 유대인과 그 공동체를 가리킨다.
책장 바로가기

siouxsie
지윤그믐님의 대화: 일본인 친구랑 계엄령이야기를 하면 계엄이라는 단어를 생전 처음 들어봤다는 친구들이 많았어요! 한국에서 산 일본인이 직접 보고 느낀 계엄은 어떤 것이었을지 너무 궁금합니다. 좋은 이벤트 진행 감사합니다!
저도 어제 일본인 직장 동료들한테 계엄 한자로 '케이겐'으로 읽냐고 했더니 '카이겐'으로 읽는다고 해서 그러냐고 했더니, 이런 말 쓴 적이 없다길래 "일본에선 계엄이 일어난 적이 없었으니까" 했더니 "근데 왜 이런 단어가 있죠?" 하길래 "한국에서 쓰니까...한국 역사랑 정치에 일본 사람들 관심 많잖아요. 다른 나라에서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고요."라고 했더니 음~이러더라고요.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