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이 사람들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많습니다. 첨단기술이 우리 시대에 이르러 ‘좋은 삶’을 근본적인 차원에서 위협하게 됐다고도 생각하고요. ‘STS SF’라는 이름으로 그런 문제의식을 담은 소설집을 냈고, 앞으로도 꾸준히 작업할 예정입니다. 한중일 SF 작가들이 내는 STS SF 앤솔러지도 기획해서 올해 여름 출간 예정입니다.
STS는 오래된 개념이 아니고 정의나 경계도 모호합니다. STS를 ‘과학기술과 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라고 받아들이는 이들은 과학기술이 일으키는 사회적 문제에 주목하고, ‘과학기술학(Sceince and Technology Studies)’이라고 풀이하는 그룹은 과학기술의 본성과 활동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고 하네요. 각각 STS1, STS2라고 구분하기도 하나 봅니다.
STS 관련 책들을 앞으로 꾸준히 읽으며 교양으로서나마 배우고 싶은데, 먼저 12주 동안 아래 책들을 빠르게 읽어보려고요. 안 읽은 책들이라 수준이 어떤지 장담 못하고, 상당히 딱딱해 뵈는 도서도 들어 있습니다(제가 읽은 책 중에서는 홍성욱 교수님의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와 국내 학자들이 함께 쓴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 『욕망하는 테크놀로지』를 추천합니다).
아래 일정으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깊이 있는 토론을 하면서 읽을 거 같지는 않네요. 완독에 의의를 두고, 주로 전자책으로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기록하는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모임 기간은 보름씩으로 하되, 목표는 7일 동안 한 권씩 읽는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2주차~6주차는 브뤼노 라투르와 한스 요나스의 저작을 읽어볼 예정인데, 이게 좀 딱딱해요. 이 부분 건너뛰고 후안 엔리케스의 책부터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 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진행 중)
① (3/31~4/6)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
이 모임에서 읽습니다.
② (4/7~4/13)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브뤼노 라투르)
③ (4/14~4/20)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
④ (4/21~4/27) 젊은 과학의 전선 (브뤼노 라투르)
⑤ (4/28~5/4) 책임의 원칙 (한스 요나스)
⑥ (5/5~5/11) 기술 의학 윤리 (한스 요나스)
⑦ (5/12~5/18) 무엇이 옳은가 (후안 엔리케스)
⑧ (5/19~5/25) 과학자도 모르는 위험한 과학기술 (피터 타운센드)
⑨ (5/26~6/1) 미래는 더 나아질 것인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
⑩ (6/2~6/8) 과학기술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윤태성)
⑪ (6/9~6/15) AI 윤리에 대한 모든 것 (마크 코켈버그)
⑫ (6/16~6/22) 대한민국 재난의 탄생 (홍성욱 외)
12주에 12권 함께 읽기 프로젝트를 2025년 1월 1일부터 해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를 마쳤습니다.
●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완료)
① 채식의 철학 (토니 밀리건) https://www.gmeum.com/meet/2188
② 채식의 배신 (리어 키스) https://www.gmeum.com/meet/2213
③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브라이언 케이트먼) https://www.gmeum.com/meet/2239
④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멜라니 조이) https://www.gmeum.com/meet/2255
⑤ 어떻게 먹을 것인가 (캐롤린 스틸) https://www.gmeum.com/meet/2269
⑥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마르타 자라스카) https://www.gmeum.com/meet/2284
⑦ 죽음의 밥상 (피터 싱어, 짐 메이슨) https://www.gmeum.com/meet/2312
⑧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https://www.gmeum.com/meet/2333
⑨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김태권) https://www.gmeum.com/meet/2349
⑩ 물건이 아니다 (박주연) https://www.gmeum.com/meet/2376
⑪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https://www.gmeum.com/meet/2404
⑫ 지속 가능한 삶, 비건 지향 (미지수) https://www.gmeum.com/meet/2420
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siouxsie
오잉, 비건 책 한 권 더 있다고 혼자 착각하고 있었는데, 처음 접해 보는 장르라 두근두근합니다!

지호림
장 작가님 덕분에 23년도부터 꾸준히 관심을 갖고 있던 STS! 오랜만에 뵙습니다. 성실히 읽어나가는 일에 도전(?) 해보겠습니다ㅎㅎ

새벽서가
이번 책은 전자책으로 있어서 신청합니다. 이번 주제 관련책 리스트중 꽤 여러권이 종이책으로만 있더라구요. ㅠㅠ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장맥주
새벽서가님의 대화: 이번 책은 전자책으로 있어서 신청합니다. 이번 주제 관련책 리스트중 꽤 여러권이 종이책으로만 있더라구요. ㅠㅠ
와, 환영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출판사에서 전자책을 낼 정도로 수요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안 한 거 같아요. <책임의 원칙> 같은 책은 도서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거 같습니다. 절판이 안 됐다는 게 감사할 뿐이네요.

새벽서가
장맥주님의 대화: 와, 환영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출판사에서 전자책을 낼 정도로 수요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안 한 거 같아요. <책임의 원칙> 같은 책은 도서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거 같습니다. 절판이 안 됐다는 게 감사할 뿐이네요.
2,3, 5번 책들은 종이책만 있더라구요.
1,9,10 은 밀리에, 4,7,8,11,12는 리디에 있고 6번은 알라딘서점에 있어서 구입해 읽으려고 합니다. ^^

borumis
오! 드디어 STS 관련 도서군요. 예전부터 궁금했던 주제라 신청해봅니다^^ 마침 밀리의 서재에 있는 책이군요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장맥주
borumis님의 대화: 오! 드디어 STS 관련 도서군요. 예전부터 궁금했던 주제라 신청해봅니다^^ 마침 밀리의 서재에 있는 책이군요
오, 다행입니다. 첫 책으로 이 책이 가장 괜찮겠더라고요. 저만의 느낌인지 모르겠지만 종이책은 글자 폰트나 편집이 '이거 그리 재미있지는 않아' 하는 분위기인데 전자책은 어떤가 모르겠어요. 어쨌거나 환영합니다! ^^

rachel
안녕하세요 책 구입은 어디서 하나요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장맥주
rachel님의 대화: 안녕하세요 책 구입은 어디서 하나요
각자 책을 구해서 자유롭게 참여하는 모임입니다. 종이책이나 전자책을 사서 읽으셔도 좋고, 전자책 구독서비스나 도서관에서 대여하셔도 좋습니다.

siouxsie
장맥주님의 대화: 와, 환영합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출판사에서 전자책을 낼 정도로 수요가 있을 거라는 생각을 안 한 거 같아요. <책임의 원칙> 같은 책은 도서관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거 같습니다. 절판이 안 됐다는 게 감사할 뿐이네요.
그러게요. 살 수는 있더라고요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