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님의 대화: 책의 첫머리에 있지만 저자가 가장 마지막에 쓰는 ‘서문’(이 책에서는 ‘들어가는 글’)은 책 전체를 조망해서 보여주기도 합니다. 『책임의 생성』의 서문도 그렇습니다. ‘들어가는 글’에는 ‘책임’ ‘응답’ ‘복수성’이라는 인간의 조건 ‘일상의 성립’ 같은 개념, 단어, 문구가 책을 안내하는 간략한 지도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그러하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저는 아렌트의 개념으로 소개된 ‘복수성’과 응답이 엮여 있는 12쪽에 눈길이 오래 머물렀는데요. ‘응답’이라면 ‘고유성’이 호응할 것 같은데 ‘복수성’이라고 해요. 그리고 그 복수성이 인간의 조건이라고 하고요. 이어지는 대목을 더 읽어보면 복수성은 개체 수가 둘 이상이거나 많다는 뜻이 아니라고 합니다. 아렌트의 책 『인간의 조건』을 보면 이 개념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겠지만, 우선은 책임, 응답, 복수성을 나란히 놓고 이 책 안에서 당사자연구와의 연관성 아래 복수성을 이해해보고 싶어요. 여러분의 이해, 의견을 나눠주세요. 그리고 이 책을 읽어 가며 좀체 알아차리기 어려운 나의 언어 습관, 사고의 관성 같은 것을 알아차리는 연습을 해보는 것도 제가 해보고 싶은 일입니다. 모든 걸 한번에 알기 어려우니 무조건 가벼운 걸음으로 시작해보아요~ :)
그리고 안내를 하나 덧붙입니다.
이 책의 역자 박영대 선생님이 ‘번역가 특강‘을 3회에 걸쳐 진행합니다. 박영대 선생님은 스피노자 철학을 오랫동안 공부했고 이 책의 주요 개념 및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고쿠분 고이치로의 전작 『중동태의 세계』를 아울러 이 책에 대한 풍성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간략한 일정은 여기에 공유해드리며, 자세한 안내는 링크를 타고 들어가주세요. 감사합니다!
❏ 강의 : 박영대(『책임의 생성』 역자)
❏ 일시 : 4월 5일, 12일, 19일. 매주 토요일 오후 7시~9시 (3회)
❏ 장소 : 대안연구공동체(서울 마포구 동교로 136 서강빌딩 2층)
❏ 교재 : 『책임의 생성 - 중동태와 당사자연구』, 고쿠분 고이치로, 구마가야 신이치로, 에디토리얼
❏ 강의 진행
1회 – 중동태란 무엇이고 어떤 세계인가? (『책임의 생성』 서장 + 『중동태의 세계』)
2회 – ‘나’라는 존재도 흐름 안에서 생성된다 (『책임의 생성』 1장, 2장)
3회 – 사람 사이, 관계와 책임의 새로운 가능성 (『책임의 생성』 3장, 4장)
❏ 참여비 : 3만원(3회)
❏ 자세한 특강 안내와 신청 링크 : https://cafe.naver.com/paideia21/18374
"이 책을 읽어 가며 좀체 알아차리기 어려운 나의 언어 습관, 사고의 관성 같은 것을 알아차리는 연습을 해보는 것", 이 부분에 밑줄을 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