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이 책의 독서도 마지막이네요.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좋은 책을 읽을 땐 이 책의 독서가 끝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데
이번 책도 그렇네요. 세상에 읽을 책은 너무 많고 한번 읽은 책을 재독하는 일이란 게 생각보다 힘든 일이기에...
아무튼 아쉬운 마음을 뒤로 하고 감상을 써보겠습니다.
3주차 부분에선 세이노의 편지들이 나오는 데 이 부분을 다시 읽으면서
지난 번에 얘기했던 것처럼 나의 세이노에 대한 감정과 세이노의 나에 대한 감정은
계기는 좀 다르다고 할 지라도 그 마음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느꼈습니다.
두 사람은 서로를 거울처럼 대했고 어쩌면 상대에게서 스스로를 보고 있었던 건 아니었을까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세이노와 '나'의 감정은 그렇게도 닮았는데도
왜 세이노와 '나'는 헤어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일까요.
저는 세이노는 '나'에 대한 그 헌신을 종교로 돌렸고 '나'는 세이노에 대한 그것을 문학에 돌렸기 때문에, 서로의 지향점이 달라서 결국 갈라질 수 밖에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지금 '나'가 30년이 흐른 뒤 다시 그것을 읽어보고 기록을 태우면서
세이노에 대한 마음을 추억하는 걸 보면
지금의 '나'는 세이노의 그 종교에 대한 귀의와 신앙심을 어느 정도 공감하고 있다고 보여지기도 했어요. 그래서 뭔가 더욱 마음 한 편이 더욱 아리고 절절함이 느껴지기도 했네요.
모임지기님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편지를 읽었을 때 더 절절한 마음이 느껴진다는 부분 정말 공감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익숙했던 누군가의 빈자리를 느낄 때 더욱 그 사람을 소중하게 느끼게 되니까요..
저는 3주차를 읽으면서 세이노에 대한 이미지가 달라진 부분은
세이노가 의외로 체격이 좋고 건강한 청년이라는 거였어요.
뭔가 아름다운 미소년의 느낌을 상상했었는데 연약하고 여리여리한 모습이 아니었다는 게
잠깐 이미지가 바뀌기도 했습니다만
세이노의 편지에서 심장이 말썽이라는 부분과 검술대회에서 성적이 좋았다는 게
뭔가 서브컬쳐에서 많이 사용되는 병약한 천재 검사 이미지가 떠올라서 처음 이미지랑 크게 괴리는 없었던 것 같네요. ㅋㅋ
그 외의 부분은 세이노에 대해 지금껏 상상했던 이미지와 비슷했습니다.
순수한 신앙심을 가진 맑은 소년의 이미지가 말이죠.
중간에 세이노가 보낸 편지에 떨어지면 1년 더 공부하면 되죠라고 말하는 부분은 진짜 악의 없이 순수하게 남한테 재수 없는 소리하는 그런 느낌이 나서 웃기기도 했네요. ㅋㅋㅋ
끝으로 해설을 읽으니 맨 처음 이 작품은 소설인가 수필인가 싶었던 의문에 대해
어느 정도 해소를 해주는 부분이 있었네요.
수필인 듯 소설인 듯 아리송하게 만드는 그 모호한 경계에 위치한, 당시로선 매우 혁신적이었던
'사소설' 이라는 장르.
지금은 자전적 소설이라는 것이 그렇게까지 혁신적인 느낌이라고는 하기 힘들겠지만
여전히 여타 소설들과는 차별화되는 그런 매력을 가지고 있는 건 분명한 것 같아요.
그렇다면 자전적 소설은 소설에 가까울까 수필에 가까울까 ,소설과 수필의 경계는 어떻게 설정할 수 있을까 그런 의문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며 야스나리의 '소년'의 감상을 마칩니다.
너무 좋은 소설을 알게 해주고 좀 더 깊은 감상을 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북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년』 함께 읽어요!
D-29
하료

stella15
N
저는 소설이냐 수필이냐를 떠나서 막 진지하게 읽다 해설 읽고 폭삭 속았구나 했습니다. ㅎㅎ
하료
“ 인간은 태어난 후 자신이 처한 환경이나 상황에 따라, 혹은 태어나기 전, 말하자면 유전으로 자기도 모르게 자신에게 물든 것을 스스로 씻어내고, 거기에서 도망쳐, 어떤 지점까지 되돌아오지 않으면 진짜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
『소년』 p128,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료
내가 좋은 사람인가 싶었다.
그렇다. 좋은 사람이다.
스스로 답했다. 평범한 의미에서 좋은 사람이라는 말이, 내게는 빛이었다.
『소년』 p130,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료
그의 마음의 창에 비친 내 그림자는 흐려지는 일이 없었다. 나는 태어나서 처음 맛보는 평온함을 느꼈다.
『소년』 p132,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료
편지가 쌓이는 건 기분 좋은 일이지만 흘러가는 세월을 느껴요
『소년』 p154,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료
언젠가 저를 만나게 될 날이 올 겁니다.
그때 우리 두 사람은 어떻게 되어 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