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급이라고 하니 어쩌면 실제로 있었던 일도 자전적 소설입니다. 라고 하면 증명해 줄, 혹은 증명하려 할 사람이 있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소설이구나 하고 끝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럼 모두 사실이었을..크흠 농담입니다. 정말 경계가 참 모호 한 것 같아요. 매력적인 부분이네요!
[북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소년』 함께 읽어요!
D-29
만렙토끼
내로
주인공은 아름다움 자체를 추앙했습니다. 가능한 범위까지 “미”라고 여겨지는 것을 충동적으로 구매(수집)했어요.
사람도 예외가 아니었어요. 주인공은 미소년 후배들을 마음에 담아뒀죠. 같은 방이었던 두 친구 모두 마음을 끌었지만, 세이노가 자연스럽게 그와 동침하게 되었습니다.
세이노는 주인공과 달리 조건 없이 그를 사랑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소 유전적으로 보이는 종교에 대한 열의 외에, 세이노의 유일한 관심은 오직 주인공이었죠. 제 몸과 시간을 모두 내줄만큼.
그런데, 정말 조건이 없는 사랑이라 말할 수 있을까요? 세이노는 주인공이 정말 신이 될 줄, 자기가 믿는 종교의 교조가 될 줄, 정말 그렇게 믿었던 것은 아닐까요? 언젠가는 그가 돌아올 거라고.
그렇다면, 세이노의 사랑을 순수하고, 올곧고, 아름다운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북다
📚 [2주차] (9장~13장)
📅 3/26~4/1
감사하게도 많은 분들이 댓글을 남겨 주셨습니다! 여러분의 감상을 읽어 내리며 공감과 감탄으로 고개를 끄덕였답니다. (저 역시 답 댓글로 부지런히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작품에서는 많은 후배들의 이름이 나오지만 ‘나’는 오직 세이노만을 특별하게 여깁니다. 거기에는 ‘나’를 대하는 세이노의 신앙과도 같은 순수한 태도가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요. 이후 세이노를 만나러 갔을 때, 자신에게 귀의한 것만 같았던 세이노와는 다른, 진짜 종교인이 된 그의 모습을 보고 질투를 느끼기도 하지요.
신앙과도 같았던 사랑, 이라고 저는 세이노의 사랑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신앙과 인간적인 사랑에는 분명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도 있겠지요. 여러분은 그게 무엇이라고 생각하시 나요? 또, 세이노의 사랑에 대한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자유롭게 남겨 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 문장수집 기능을 이용하여 인상 깊었던 문장을 남겨 주세요!
만렙토끼
“ 이 소년은 예전 부터 타고난 종교의 아이였다. 이 소년은 내가 사라지면 고아가 되어 마음의 안식처를 잃어버릴 거라고 중학교를 떠날 때 나는 생각했다. 그 아이는 나를 우상화하고, 모든 걸 내게 기대고 있었기 때문이다. ”
『소년』 77,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만렙토끼
“ 과거에 세이노는 나에게 귀의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폭포수를 후광으로 한 세이노의 몸과 얼굴에 나타난 고매한 정신은 나와 견줄 수 있는 것이 못 되었다. 나는 충격속에서 한동안 질투를 느꼈다. ”
『소년』 86,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만렙토끼
세이노는 이런 소년이었다. 오기도 강하지만 정직한 아이다.
『소년』 101,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만렙토끼
내가 누군가에게 사랑을 고백하는 용기는 언제쯤 생길까. 슬픈 일이다. 나는 오구치 군의 사랑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질투인가.
『소년』 109,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료
2주차 부분을 다 읽었습니다.
사실 얇은 책이다 보니 진즉에 1번 다 읽은 책인데 마음에 들어서 표시해둔 문장이 가장 많은 부분이기도 해서 재독하며 표시해둔 문장들의 그 맛을 느끼는 것이 너무 좋았습니다.
아무튼 2주차에서 읽은 부분 중 제가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이라고 할 부분은 역시 유가시마에서 화자가 폭포수 아래 서있는 세이노를 보면서 거룩함에 가까운 미를 느끼는 동시에 질투의 감정을 느끼는 부분이었어요.
생생하게 그 장면이 머릿속으로 그려지면서 작품 내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면이라고 할 수 있지않을까 생각이 들었고 동시에 가장 중요한 장면이라고도 생각했습니다. 모임지기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세이노의 화자에 대한 사랑과 화자가 세이노에게 끌린그 순수한 아름다움의 근원이 '화자 자신'에게 있는 게 아니라 오모토교의 '진리에 대한 순수한 믿음'에서 파생된 것이고 두 인물이 느끼는 감정은 비슷하지만 그것이 결국 어긋날 것이란 걸 화자가 깨달았기에 결국
이별을 할 수 밖에 없었던 게 아닐까 생각했어요.
저는 세이노의 사랑은 신앙으로서의 믿음과 인간적 사랑이 결부된 사랑이었고 '당시'의 화자의 세이노에 대한 사랑은 의지할 이 없는 외로움이라는 추한 자신의 상황을 부정하고 싶은 마음에서 발원한 '아름다움에 대한 강렬한 끌림'으로 세이노의 그것과는 좀 대비되는, 보다 세속적인 동기에 더 가깝다고 보여졌어요. 하지만 저는 양쪽 사랑의 차이는 있으면서도 없고 없으면서도 있는 그런 것 같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 인물의 사랑의 동기 자체는 조금 다르다하더라도 결국 그 인간에 대한 인간적 끌림이 동반이 된 건 같다고 생각했으니까요.
야스나리의 작품들 전반이 서사보다는 서정성을 강조하는 경향이 짙다고 느끼는 데 초반 몰입이 서사의 흡입력이 뛰어난 작품에 비해 좀 어렵다 뿐이지 오히려 감상은 더 풍부해지는 것 같아 여운도 짙고 좋은 것 같습니다.

북다
말씀하신 것처럼, 저 역시 '나'의 사랑은 아름다움 그 자체에 대한 끌림과 더불어 다정한 세이노 소년의 마음을 향한 애정이 섞인 감정으로 느껴졌어요. 반면 세이노의 사랑은 신심이 그러하듯 다소 맹목적이면서도 순진무구하지요. 폭포수 아래에서 수행하는 세이노를 묘사하는 장면은, 초월적인 아름다움에 대한 '나'의 경외와 질투처럼 느껴져 저도 무척 좋아하는 장면이에요. '나'의 소년다운 모습이 잘 드러나기도 하구요.

하료
나는 세이노가 믿는 신앙이 아니라 세이노가 믿는 마음에 기분 좋게 물들어 갈 것만 같았다.
『소년』 P84,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정수윤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료
“ 나에게는 이 생활을 버리는 게 진실 추구임을 알면서도 재능이 부족한 나를 믿기 어렵다는 사실과, 생활의 불안에 맞서 싸우는 게 두렵다는 비겁함 때문에 주저하면서 타협하며 살았다. 지금까지 들인 돈과 시간과 노력을 가지고 혼자서 나의 길을 간다면 분명 어딘가에 도달하여 조금은 더 제대로 된 내가 될 수 있었을 텐데.
아아. 나에게 허락된 모든 생명을 다 불태워보고 싶다. 별이 아름다운 밤이었다. 우윳빛 띠가 밤하늘 한가운데를 지나간다. ”
『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