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읽는 SF소설] 04.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 케이트 윌헬름

D-29
눈꽃열차님의 문장 수집: "배리는 야만 시대가 오천 년은 더 계속되리라고 믿었다. 하지만 그것은 피라미드의 꼭대기에서 잰 시간이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정한 시간이 아니었다. 마크는 사람들을 시대를 초월한 주기, 돌아오는 계절과 밤낮의 변화와 삶의 탄생과 죽음이 일상을 나누는 때로 이끌었다. 이제 사람들의 즐거움은, 그리고 고통은, 흔적 없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개인의 일이었다. 시대를 초월한 이곳에서는 과거의 재창조나 정교한 미래 설계가 아니라 삶 그 자체가 목적이 되었다. 한때 거의 접혔던 가능성의 부채가 다시 열리고 있었고, 새로 태어나는 아이 하나하나가 그 부채를 더 넓게 펼쳤다. 더는 바랄 것이 없었다. p. 362"
저도 이 문장이 뭉클하고 좋았어요. 다른 가치를 우선 순위에 두지 않고 삶 그 자체가 목적이 되는 인생으로 되돌아가는 모습은 태초의 인간세상으로 회귀하는 것 같았어요. 아이들은 이제 모두 다르게 생겼다는 마크의 마지막 마무리도 잔잔하게 감동적이었고요. 자신의 도전과 시도가 성공했다는 기쁨, 마침내 가족을 얻은 행복, 그리고 각자의 개성과 인격을 가진 개체로 돌아온 인간.. 데이비드가 1부에서 말한 "멸종을 피할 길은 스스로 내재되어 있어요. 무언가가 기억하여 스스로를 치유하는거죠."를 다시 떠올리게 되네요. 길고 길었던 데이비드의 실험이 맞았음을 증명하듯.
마크는 갑자기 머리를 뒤로 젖히고 어린애처럼 득의에 찬 즐거운 웃음을 터뜨렸다. 모두 다 그의 것이었다. 이 세상 전부가. 아무도 이곳을 갖고 싶어 하지 않았다. 여기에는 그의 소유권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모두 다 그가 차지할 것이다.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p.285, 케이트 윌헬름 지음, 정소연 옮김
마크는 도시에서, 다른 사람들이 숲에서 느낀다는 것과 같은 두려움을 느꼈다. 여기에는 어떤 존재, 악한 무엇인가가 있었다.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p.288, 케이트 윌헬름 지음, 정소연 옮김
몰리의 손재주는 사라졌다. 아마도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각 세대마다 무언가가 사라졌다. 다시는 되찾을 수 없는 것도 있었고, 없어진 직후에는 무엇을 잃어버렸는지 정확히 알 수 없는 것도 있었다.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p.335, 케이트 윌헬름 지음, 정소연 옮김
그들은 미래를 내다볼 상상력이 없었기 때문에 행복했다. 그들에게 다가오는 위험을 경고하는 사람은 무조건 사회의 적이었다.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p.337, 케이트 윌헬름 지음, 정소연 옮김
1부, 2부, 3부 각각의 결말 그리고 데이비드의 혈통이 이어지는 것도 흥미로웠어요. 사랑의 관점에서 본다면 1부에서는 데이비드와 셀리아의 사랑이 비극으로 끝난데다 정작 그들은 아이를 갖지 못하고 클론들이 임신하는 아이러니한 결말입니다. 2부에서 벤과 몰리는 마크를 낳지만 그들의 사랑도 이어지지는 못했죠. 반면 마크는 시간이 걸리긴 했지만 자신이 원하는 미래와 사랑을 찾습니다. 1부가 비록 사촌간이기는 해도 '남녀'의 연인으로서의 사랑을 보여준다면, 2부는 몰리와 마크의 '부모자식' 간의 사랑이 핵심이라고 느꼈어요. 3부는 대가족 또는 이웃과 공동체로서의 '가족'으로 사랑의 범위가 확장되는 결말로 읽혔고요. 데이비드나 몰리, 마크라는 개개인들의 삶에는 비극과 고통이 많았지만 큰 틀에서는 3대에 걸쳐 이어지는 인간성의 회복을 위한 실험이 조금씩 꽃을 피우는 느낌이랄까요. 재난과 환경오염으로부터 자연이 스스로 치유하고 회복하듯 인간/클론도 자신들의 과오와 한계를 딛고 다시 일어나려는 모습이 겹쳐 보였습니다.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의 다양한 표지들입니다.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은화님의 대화: <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의 다양한 표지들입니다.
전 모임을 시작하기 전 잠깐씩 다양한 책 겉표지들을 찾아보곤 하는데 4번째 이미지의 풍경이 기억에 제일 남았습니다. 책을 읽는 내내 이 풍경이 머리에 떠올랐어요. 노을이 지는 골짜기는 평화롭게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핏빛처름 붉은 하늘이 언뜻 불길해 보이기도 합니다. 숲도 마찬가지로 멀리까지 초록빛이 뻗어나가 자연의 기운이 느껴지지만 한편으로는 클론들이 무서워 한 검고 짙은 숲의 모습도 담겨 있는 것 같습니다. 저 표지의 마을은 과연 아직 데이비드와 인간들이 살아있을 때일지, 클론들만이 남아있는 미래인지 궁금하네요. 2번째와 5번째의 표지도 좋았습니다. 이미 폐허가 된 미국 도시를 탐험하는 아이들을 그린 5번째 표지는 높고 청명한 하늘과 부서진 도시가 대비됩니다. 인간 멸망의 흔적이 그저 하나의 자연 풍경처럼 보여 비극적인 분위기보다는 클론들이 탐험해야 할 하나의 목적지라는 느낌이 담겨있네요. 2번째 이미지는 무어라 정확히 표현하기는 어렵지만, 거울에 비춘 듯 서로 정반대에 서 있는 자연과 마을이 마치 공동체에 인간이 살던 시절과 클론이 지배하는 시대를 대비시키는 것 같다고 느꼈습니다.
다음 모임은 <생명창조자의 율법>으로 준비하려고 해요. 기계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생명들이 토성의 위성 타이탄에서 문명을 이루며 살아가는 모습을 다룬 책입니다. 한달 동안 다들 고생하셨습니다.
생명창조자의 율법미래의 문학 8권. 장편소설 <별의 계승자>로 이름을 알린 작가 제임스 P. 호건의 1983년 작품이다. 냉전이 한창이던 1980년대의 시대상과 과학적 상상력을 절묘하게 융합시킨 제임스 P. 호건의 초기 명작이다.
와. 다양한 표지들 흥미롭게 잘 봤어요. 은화님 감사합니다!
다양한 표지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읽은 내용들이 겹쳐지기도 하면서 읽은 책을 돌아보게 되네요:)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내가 사랑한 책방들
[책증정] 저자와 함께 읽기 <브루클린 책방은 커피를 팔지 않는다> +오프라인북토크[그믐밤] 3. 우리가 사랑한 책방 @구름산책[책방연희X그믐] 책 읽다 절교할 뻔 이야기와 함께 성장하는 "섬에 있는 서점" 읽기 모임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매거진의 세계로~
편집부도, 독자들도 샤이한 우리 매거진 *톱클래스를 읽는 여러분의 피드백을 듣고 싶어요.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홍정기 작가와 <계간 미스터리> 79호 함께 읽기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AI로 난리인 요즘!
[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AI 2045 인공지능 미래보고서』 혼자 읽기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