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엔 사상의학이란 게 있잖아요. 우리나라 사람은 태음인과 소양인이 많다더군요. 소음인은 소화기가 약해 조금 먹고도 배부르다고 하고, 태음인과 소양인은 먹기도 잘하고 소화도 잘 시키고. 태음인은 골격이 대체로 큰 사람이 많다나 어쩐다나...
그러고 보니 서양에도 이 비슷한 분류법이 있는 것 같은데 생각이 안 나네요. ㅠ
분류를 한다고 해도 어느 한 가지로만 규정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조금씩 섞여 있다고 하던데 저는 오래 전 소양인으로 판정 받았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먹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긴 하죠. 흑~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⑪ 비만의 사회학(박승준)
D-29

stella15

은은
(젠장 결국 또 운동인가요 ㅠㅠㅠㅠㅠㅠㅠㅠ)

장맥주
이 분이나 저 분이나 늘 결론이 그거더라고요, 젠장...

siouxsie
그렇죠. 새모이만큼 먹고 운동해야죠. 일욜에 동료직원 집들이 가서 다들 퍼묵퍼묵 하면서 "살은 도대체 어떻게 빼는 거냐"고 난리를 치는데, 우리 뭐 하는 거지?란 생각이 들더군요.
근데 저희 회사에 최고 날씬이들은 50대 후반 언니님들이십니다. 항상 곧은 자세 유지, 김밥 한줄을 세 번에 나눠 먹는 식습관, 그게 안 되는 분은 PT를 빼놓지 않고 하는 분들이시죠. (질투 많은 40대들이 침 튀기며 이 언니들은 언제 살찌냐며 맨날 욕합니다)

장맥주
“ 소장에서 분비되는 PYY가 뇌의 시상하부에 충분히 작용하기까지 약 20분 정도 걸립니다. 10분 안에 식사를 다 마쳤다면 좀 더 기다려 보자는 것입니다. 10분이 더 지났어도 배가 고프다면 먹어도 되지만 대부분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또한 포만감을 효과적으로 느끼려면 식이 섬유가 중요합니다. 식이 섬유는 음식이 빨리 통과하게 돕습니다. 즉 소장으로 내려가는 속도가 빨라지게 해 줍니다. 그러면 소장을 자극해 신속하게 PYY 농도를 올리게 되죠.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과일은 갈면 블렌더 칼날에 불용성 섬유가 파괴되기 때문에 통째로 먹는 것이 좋습니다. 과일 속 과당은 콜라 한 병에 들어 있는 과당과는 상대도 안 되니 안심하고 먹어도 됩니다. 설탕에 있는 과당과 과일에 있는 과당은 엄연히 다릅니다. 과일에는 미네랄도 있고, 비타민도 있고, 다른 영양소도 있으니 껍질을 벗겨 섬유소 섭취가 줄어든다고 할지언정 청량음료와는 비교할 수 없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섬유질의 다섯 가지 속성을 정리해 볼까요. 첫째, 포도당과 과당의 흡수를 늦춥니다. 포도당 흡수를 낮추는 것은 인슐린 급등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둘째,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고콜레스테롤혈증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셋째, 포만감 신호를 촉진하는 PYY를 증가시킵니다. 우리가 덜 먹을 수 있는 원동력이 됩니다. 넷째, 지방 흡수를 직접 줄일 수 있고요. 다섯째, 장내에 좋은 박테리아가 자랍니다. 식단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장 속에 포함된 박테리아의 조성이 변합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 의료 산업과 제약 산업의 입장에서 비만은 이윤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질병이라고 합니다. 그 질병에 늘 시달리지만 금방 죽지는 않고, 효과적으로 치료되지도 않고, 또 의사나 환자나 치료를 위해 꾸준히 달려드는 질병 말입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 'Nobody is perfect'라는 말이 있습니다. 완벽한 사람은 없다는 말입니다. 누구나 다 결점을 갖고 있습니다. 'No'와 'Body'를 띄어 쓰면 'No body is perfect'가 됩니다. 그 어떤 사람의 몸도 완벽한 예는 없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문장이 굉장히 마음에 들어요. 자신감 뿜뿜👍👍

새벽서가
저도 이 문장 마음에 들어서 전자책에 하이라이트하고 필사노트에도 적어놨어요!
하느리
“ 여성은 운동 중에는 지방을 소비하는 성향이 더 크지만, 운동 후 잃어버린 지방을 보충하려는 노력을 더 많이 한다고 합니다. 즉 여성은 지 방을 소비하는 성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 최근 한 논문은 재미있는 결과를 보여 줍니다. 가족 동반 식사가 자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인데요, 가족과 식사를 많이 할수록 우울과 불안이 줄어들고, 주의 집중 곤란, 공격성, 정서 불안이 감소하고, 자존감은 높아지며 사회성은 좋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어떻게 먹을 건인가'에서도 나온 내용이네요. 생각해보니 각자 출퇴근 시간이 달라서 가족 모두가 함께 하는 식사 자리를 가진 게 굉장히 오래됐어요. 내일 저녁은 꼭 같이 먹어야겠습니다!

siouxsie
저도 이런 점 때문에 컵라면을 먹을지언정 가능하면 같이 먹으려고 해요. 인간 한 마리 키우는 게 왤케 손이 많이 가는지...

새벽서가
이문장 너무 겅감해요. ‘식구‘라는 단어를 생각해봐도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가 얼마나 중요한건지 되새겨보게 됩니다.
하느리
일주일에 3번 이상은 꼭 가족들과 함께 식사하기😉
하느리
설탕은 도파민을 올리고, 지속적인 폭식과 내성의 징후도 보입니다. 그렇게에 중독 기준에 들어맞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말씀해 주신 대로 12주간 읽었던 채식 관련 책 중 가장 재미있어요!
저희 학교 교수님들도 이렇게 재미있게 강의해 주셨다면 제 학점이 그 꼴은 아니었을 텐데...😱

장맥주
재미있으시다니 다행입니다! (그런데 어째 재미있게 강의하시고 학점은 짜디짜게 주시던 교수님들이 떠오르네요.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