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인 복음주의자들은 다른 어떤 집단보다 기후변화에 대해 덜 걱정한다. 그들의 반대가 종교적 언어로 가려질 때도 그들을 움지이는 건 신학이 아니다. 그것은 앞서 말했던 정치적 양극화와 분파주의다. 그것이 많은 미국 기독교인들의 당파적 틀이고 변화하는 기후에 대한 과학적 설명을 거부하게 하는 틀이다. ”
『세이빙 어스』 p44, 캐서린 헤이호 지음, 정현상 옮김
문장모음 보기
우주먼지밍
“ 종교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은 지구 환경을 다스린다. 다스림은 지배와 비슷하지만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지구라는 방주에는 사람보다 동물이 더 많이 있으므로 다스림은 수탁자의 선관의무와 지속가능성에 따라야 한다. ”
『세이빙 어스』 p45, 캐서린 헤이호 지음, 정현상 옮김
문장모음 보기
stella15
1부를 읽으면서 이 기후의 문제가 생각보다 정치적 상황과 심각하게 맞물려 있을 거라곤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물론 책에서 언급한 무시그룹이 있다는 건 알았지만요.
적절한 질문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트럼프가 1기 때도 그렇고 이번 2기 때도 파리기후협약인 탈퇴했잖아요. 왜 그런건지, 과연 그래도 되는 건지? 진짜 의도가 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듭니다. 분명 탄소배출 공동목표에도 차질이 있을 것 같은데..
브람스님은 전 기지셨다고 하셨는데 이 책을 번역하시게된 이유가 있으신가요?
저는 1부만 읽은 느낌은 처음엔 저자가 편안하게 잘 쓴다는 느낌이었는데 읽다보니 다소 장황한건 아닌가란 느낌도 살짝 드네요. ^^
Nanana
책 잘 받았습니다. ^^ 감사합니다.
서문과 1부를 읽었습니다. 이 책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었는데, 서문과 1부에서는 기후변화 자체를 설명하기 보다는 기후변화에 대해 주위의 사람들과 어떻게 이야기할 것인가에 초점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저자는 기후과학자 이기도 하지만 '기후변화에 관한 한 가장 훌륭한 커뮤니케이터의 한 사람'이라는 저자의 소개 글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사실을 안다고 생각이 바뀌거나 행동이 바뀌지 않는 경우를 너무나 많이 봤습니다. 기후변화를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풀어간다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