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읽지 않아 다행이란 생각이 드는 외관에 마침표는 열개가 안된다는 사실에 놀랐습니다.
[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
D-29
알맹

berlinsoul
두번째 챕터 넘어가면서 문득 : 이동진 평론가가 영화 브루탈리스트에 대해 "고전이 될 운명을 타고난 듯한 영화"라고 평가했다는데 말이죠.
슬하염
나는 여기서 모든 것을 감독하는 자요, 무엇도 창조하지 않고 그저 모든 소리 앞에 존재하는 자요, 신의 진리에 따라 이 모든 것이 끝나기를 그저 기다리는 자이기 때문이다.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P.17,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 지음, 노승영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금정연
안녕하세요. 앞으로 4주 동안 크러스너호르커이 라슬로의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을 함께 읽고 이야기 나눌 금정연입니다. 반갑습니다!
크러스너호르커이는 노벨문학상 유력 후보로 꼽히는 헝가리 출신의 작가입니다. 국내에도 <사탄탱고>, <저항의 멜랑콜리>, <라스트 울프>, <서왕모의 강림>, <세계는 계속된다> 등의 작품이 번역되어 있습니다. 특히 <사탄탱고>는 벨라 타르 감독의 동명의 영화로도 유명한데요, 그 외에도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타르와 함께 [파멸], [베르크마이스터 하모니즈], [토리노의 말] 등 모두 다섯 개의 작품을 함께 만들었습니다.
(여담이지만, 크러스너호르커이와 타르 모두 헝가리 출신으로 다른 서양 문화권과 달리 성을 먼저 쓰는 헝가리어 표기법을 따라야 한다고 합니다. 벨라 타르 역시 타르 벨라라고 표기하는 게 맞지만, 서양식의 표기를 경유해서 국내에 소개된 탓에 벨라 타르라고 굳어진 상황입니다.)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은 <사탄탱고>, <저항의 멜랑콜리>, <전쟁과 전쟁>(국내 미번역)에 이은 4부작의 마지막 작품인데요, 크러스너호르커이는 <파리 리뷰>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한 권의 책만 쓰고 싶다고 천 번을 말했다. 첫 번째 책에 만족하지 못했고, 그래서 두 번째 책을 썼다. 두 번째 책에 만족하지 못했고, 그래서 세 번째 책을 썼다. 이제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으로 이 이야기를 마무리 한다"라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출판사 보도자료를 좀더 인용해볼게요.
"작가는 이 소설을 “이전 소설의 카덴차”라고 말한다. 카덴차는 악곡이나 악장을 마치기 직전에 연주자가 기교를 최대한 발휘하도록 구성된 화려하고 자유스러운 무반주 부분을 가리키는 음악 용어다. 원래는 연주자가 즉흥적으로 연주했지만, 관습이나 작품의 본질에서 벗어나기 쉬워서 작곡자가 직접 악보에 표시하는 것이 통례가 되었다고 한다. 그는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이 소설가로서 살아오는 동안 낙서한 것을 묶은 소설이라고 설명했다. 그렇기에 즉흥적이면서도, 라슬로의 기교를 최대한 발휘한 작품인 셈이다. 그래서인지 이 소설의 차례는 악보와 같다. 다소 낯설고, 꼭지마다 붙은 제목은 가사 같으며, 악기 소리와 합창단의 목소리를 배열해놓은 것 같다."
'다소 낯설고'라는 부분이 눈에 띄는데요, '다소'라는 표현은 다소 순화된 표현일 수 있다는 말씀을 먼저 드려야겠네요. 책을 받아보신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두께도 압도적입니다. 하지만 오히려 좋아! 조금씩 함께 읽어나가다 보면 어느새 낯섦은 매혹으로, 위압적인 분량은 (여전히 우리의 읽기가 이만큼이나 남아 있다는) 넉넉함으로 바뀌어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오늘부터 3주(정확하게는 22일) 동안 책을 함께 읽고, 마지막 4주차에는 읽은 내용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지게 될 텐데요, 3주 간의 읽기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3월 12일
'주의' 및 '경고' (7~17쪽)
3월 13일~15일
'트르르르……/ 잘난 당신을 쓰러뜨리고 말겠어' (22~121쪽)
3월 16일~17일
'럼/ 창백한, 너무도 창백한' (124~207쪽)
3월 18일~19일
'펌/ 그가 내게 편지를 썼다' (210~300쪽)
3월 20일~22일
'펌/ 그는 도착할 것이다. 그가 그렇게 말했으므로' (302~400쪽)
3월 23일~25일
'펌/ 무한한 어려움' (402~492쪽)
3월 26일
'흠므므/ 조심하라' (494~523쪽)
3월 27일~3월 29일
'라리라/ 패배자(아레펜티다)' (526~629쪽)
3월 30일~31일
'리/ 헝가리인들에게 고함' (632~723쪽)
4월 1일
'롬/ 숨은 자들은 모두' (726~754쪽)
4월 2일
'연주용 참고 자료' (755~765쪽)
미리 말씀드리면 저 역시 책을 훑어보기만 하고 아직 완독하지 않았는데요. 제가 앞서 읽고 가이드를 했던 기존 방식과 달리, 함께 읽기 일정을 따라 그날그날의 분량을 읽고 함께 이야기 나누려고 해요. 여러 독자분들과 함께 미지의 페이지를 읽어나가는 경험이 무척 기대가 됩니다! 특히 이번 계절에는 강보원과 최가은 두 평론가님이 함께 읽어주실 예정이라 더욱 든든하네요.
저희는 읽기 일정에 맞춰 읽고, 그날그날 읽은 분량에 대한 생각을 올릴게요. 여러분은 소설을 읽으며 들었던 감상, 인상 깊었던 구절, 떠오르는 다른 작품이나 궁금한 것들을 자유롭게 올려주세요.
그럼 시작해볼까요?

시sy
벵크하임 남작은 100페이지까지 등장하지 않았습니다. 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