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생하셨어요! 정말 초반 강보원 평론가의 말이 모두에게 큰 빛이 되어준 것 같네요. 만연체의 홍수 속에서도 말씀해주신 장면을 비롯해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몇몇 장면들이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
D-29

금정연
화제로 지정된 대화

최가은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이번 모임은 특별히 길게 느껴지기도 하고, 한편으론 엄청 숨가쁘게 달려온 느낌도 드네요. 대화의 열기가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것 같은데... 그래서 특별히 기억에 남을 것 같기도 하고요. 저 또한 혼자 읽었다면 놓치고 가는 부분이 정말 많았겠죠. 열정적으로 감상을 나눠주신 분들 덕분에 소설의 장면 장면들을 새롭게 이해해볼 수 있었어요. 함께 읽는 즐거움을 새삼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저는 언제가 될 지는 모르겠지만 이 소설을 한 번 더 읽게 될 것 같아요. 혹은 라슬로의 다른 소설들을요. 그때 여기서 나누었던 대화들을 다시 보면서 책을 읽는다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오늘은 봄비가 내렸네요. 모두 따뜻하고 건강한 봄날 보내시길 바라면서... 다음 계절에 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금정연
이제 마지막 인사를 드려야겠네요.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그만큼 가치 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많은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저 역시 여러분과 함께가 아니었다면 이 두꺼운 책을 끝까지 읽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크러스너호르커이의 인터뷰를 보면서, 왠지 이 부분은 꼭 마지막 인사에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부분이 있는데요. 앞서도 인용한 바 있던 헝가리 문학 온라인(hlo)의 인터뷰의 한 부분을 옮깁니다. 다시 한 번, 함께 읽어주신 모든 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
인터뷰어: 1992년, 당신의 고향을 방문했을 때, 당신은 귈라 TV에 인터뷰를 했고, 리포터는 당신의 작품에 익숙하지 않은 시청자들을 위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내가 알기 만 한다면"이라고 당신은 한숨을 쉬며 대답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이 질문에 대해 어떤 진전을 이루셨나요?
크러스너호르커이: 네, 저는 이제 더 이상 신경 쓰지 않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