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가갔다가 그가 막상 다가오면 피하고 그래 멀어져서 그가 아무렇지 않게 지내면 그게 싫은 그런 감정.
우리가 반짝이는 계절
D-29
Bookmania
Bookmania
나는 많은 사람이 비슷하게 느껴 사람은 다 비슷하게 느끼나봐를 안 느끼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내 배우자는 그 수많은 느끼는 사람 중 하나다. 그들이 느끼는 걸 내 배우자는 같이 느낀다. 나는 그게 아이어서 작가의 길로 들어간 것 같기도 하다.
Bookmania
남이 보면 그저 평범한 것인데도 크게 내면의 상처가 있는 사람은 그걸 글로 승화하면 좋다.
Bookmania
기질적으로 작가의 길로 안 들어서면 안 되는 사람들이 있다.
Bookmania
화장실 같이 가는 것 하고 비슷하다. 볼일 볼 때까지 앞에서 지켜달라고 하는 것하고.
Bookmania
겁이 많은 여자들이 있다. 이게 정상이다. 너무 남자보다 더 겁이 없으면 사람을 때릴 것 같다.
Bookmania
일본은 유리 물컵이 변하지 않고 약간 촌스럽다.
Bookmania
아파트공화국이라 층간소음으로 사람도 죽인다. 강장제를 안 마시니까 허리가 이제 안 아프다.
Bookmania
남이 어려운 일을 겪은 걸 글로 읽으면 더 집중이 잘 되는 것은 인간의 못된 본능 같다.
Bookmania
친구가 없는 여자는 상상을 못한다. 그들이 모여 어디 갔었다는 이야기에 자기가 못 끼는 일은 진짜 참을 수 없는 것이다. 이래서 여자는 별로 안 좋아해도 그것을 극구 방문해 보는 것이다. 핫 한곳을 그냥 지나칠 수 없다.
Bookmania
여자들은 별 것도 아닌 것으로 상처받기 쉬워 그들의 상처를 들어보면 투정에 불과한 것으로 대개는 들린다. 그보다 더한 것을 겪은 사람이 얼마나 많은데로 시작하는 말을 하면 내가 그 사람이냐? 내가 그때 살아봤냐? 여기가 거기냐? 라며 바로 반박한다. 그러나 알고보면 투정은 투정인 것이다.
Bookmania
외향적인 사람은 겉으로 남에게 자신이 어떻게 보이나 그걸 아주 엄청나게 중요시 여긴다. 자기가 남을 그런 식으로 봐서 그런 것이다. 투사하는 것이다. 뭐 눈엔 뭐만 보이는 것이다. 인간은 다 자기 중심적이라 그런 것이다.
Bookmania
성별이 다르고 나잇대가 달라 확실히 공감 가는 게 적고 뭔가 영감을 자극하는 게 별로 없는 것도 솔직한 사실이다. 가치관도 다른 것 같고.
Bookmania
시골 출신과 서울 출신이 어떻게 같을 수 있나?
Bookmania
감수성이 예민할 때 가서 핀란드가 좋은 것이다.
Bookmania
물론 거기에 관심과 애정이 있어 그런 것 같지만 여류 작가는 음식의 명칭과 옷 스타일에 대한, 그리고 옷 종류에 대한 명칭을 아주 세세하게 알아야할 것 같다. 남자들은 피곤한 일이다.
Bookmania
일본과 핀란드 인은 수줍어 하고 연어를 같이 좋아한다?
Bookmania
여자 작가
전에 어려웠으나 지금은 그걸 다 극복한 생태란 것이
여자 작가의 글에 나타난다.
하긴 힘들 때 쓴 글은 약간 공개하기가 힘들 것이다.
특히 외부에 노출되는 걸 꺼리는 여자는 더 그럴 것이다.
물론 그 힘들 때 써놓은 글이 더 많을지도 모르지만.
Bookmania
여자에게 생긴 특성
여자는 걷는 건 별로 안 좋아하고,
주로 앉아 있는 걸 더 좋아한다.
지하철에서 서로 앉으려고 하는 건 대개는 여자들이다.
원시시대부터 남자는 사냥을 나가고 여자는 집에서
옷을 꿰매거나 애에게 젖을 먹일 때 주로 앉아서 한다.
이 습성이 몸에 밴 것이다.
남자는 사냥감을 향해 주로 걷거나 뛰지만.
그런데 구경하는 건 또 좋아한다.
아마 원시시대부터 열매 따고 먹을 버섯 채집하는 것에
익숙해져서 그럴 것이다.
“만지지 말고 눈으로 보기만 하세요.”처럼
여자는 물건을 주로 만져보는 데 이것도 버섯에
독이 들지나 않았는지 만져서 확인하려는 버릇이
유전되어 그런 것 같다.
여자들이 그렇게 가방에 집착하는 것도
어디 가서 발견한 것을 그 바구니에 담아 집으로 가져오려고.
사건 현장에서 그때의 정황을 설명하라고 하면 여자들이
더 세세하게 잘 설명한다고 한다.
아마도 맛있는 열매가 어디 있는지 눈여겨보는
습성 때문이리라. 그리고 관계 지향적이라 상대가 원하는 게
뭔지 더 잘 파악하는 것 같다.
남자가 사냥 나가 집에 없고 여자만 혼자 있을 때
남을 배려해야, 자신이 어려울 때
이웃의 도움을 받을 수 있어 남의 동향을 늘 살피는 것이다.
그래 여자들은 뭔가 같이 참여해 성취하는 걸 좋아한다.
아무리 훌륭한 성과라도 자기 피와 땀이 서리지
않은 건 별로 가치 있게 보지 않는다.
사건 현장에서 여자가 더 세세하게 잘 설명하는 것도
말이 발달해 그런 것인데, 여자는 육체적으로 약해
적에게 자기를 잘 호소해야 그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고
남자가 없는 마을에서 자신의 어려움을 잘 어필해야 남을
설득 또는 공감시켜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여자의 언어가 더 발달한 것도 같다.
여자 목소리 톤이 날카롭고 더 멀리 가는 것도
아군에게 자기의 위험을 알리려는 의도라고 한다.
원래 아쉬운 쪽이 더 열심인 게 세상 이치 아닌가.
그리고 상식은 현실이고 현실은 상식인 것이다.
Bookmania
일본은 질서 있게 체계적으로 돌아가는 게 특징이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