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자기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글이 잘 팔린다. 본질이나 근본을 다루는 무겁거나 어두운 글은 호불호가 갈린다.
우리가 반짝이는 계절
D-29
Bookmania
Bookmania
너무 잘 되고 좋은 것만 계속 나온다. 이렇게 글을 써도 되나? 너무 상처 안 주고 안 받기로 한 건가. 그러나 남자는 이미 상처를 받았다.
Bookmania
자기 행복을 너무 장담하지 마라
결혼 생활이 글쓰기보다 우선이라고 생각한다는데
남자는-바람은 잠시 스치는 것이기에-자기 마누라 외
다른 여자와 얼마든지 잠시 바람피울 수 있다.
거기다가 자식까지 없으면 그게 더 쉽다.
그러나 대개 남자의 90% 정도로 돌아온다.
정(情)이 무섭기 때문이다.
나는 안 그런다고 하는데 인간은 알고 보면
다 거기서 거기다.
바람피우기와 이혼이 너무나 흔하기 때문이다.
이건 내겐 절대 안 일어나는 비행기 추락이나
화재 사고가 아니다.
그건 정말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장담은 금물이다.
이걸 조심하고 경계하는 것 같은데,
충분히 일어날 만한 일이다.
Bookmania
여자들 특히 정상적인 여자라면 서로 챙겨주고 받는 것을 아주 자연스러워 한다.
Bookmania
사는 거 사실 별거 아니다. 다 한 80년 살다 조용히 가는 것이다. 그나마 글로 남기는 사람이 좀 덜 허무하긴 할 것이다.
Bookmania
혼자는 작가의 숙명
사람을 만나면 언제나 “곧, 끝내야 하는데” 하며
조바심 내는 게 작가의 숙명일지도 모른다.
그래야만 글을 계속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글은 어차피 혼자 써야 하고 절대적인
시간과 공간이 필요한 작업이고,
집중해서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그게 안 되면 외부로부터 방해받을 것 같은 두려움이
언제나 자신을 엄습하기 때문이다.
외부는 자신처럼 마음대로 안 된다.
겨우 안방에서 거실을 거쳐 작업실로 들어설 때,
마치 출근하는 것처럼 정장을 입는 작가도 있다.
이처럼 작가는 자기만은 대체로 잘 다스린다.
사람을 만나는 것으로 주어진 숙명을
거역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어차피 결국엔 그리로 돌아갈 운명에
놓여있음을 스스로 잘 알기 때문이다.
이 팔자를 자신도 어쩌지 못하는 것이다.
그걸 하늘의 뜻에 반(反)하는 일이라 여긴다.
Bookmania
나는 둘 중 하나 때문에 아니면 둘 다 때문에 죽거나 책을 못 읽을 것이다. 눈이 멀거나 술을 많이 먹어 간이 망가지는 것이다. 지금도 눈이 점점 침침해지고 술 때문에 간이 망가져 벌써 피로가 밀려온다.
Bookmania
양주를 스트레이트로 마시면 위가 아프거나 장이 쑤신다. 그런데 양주 대신 막거리를 마시면 그 다음날 허리가 아파 꼭 파스를 붙여야 한다. 그러나 꼭 10시에 운동을 하러 갈 것이다. 이것마저 건너뛰면 나는 죽는 일밖에 없을 것이다. 살려면 운동을 해라.
Bookmania
여자들은 유행이 민감하다. 드라마ㅇ에서 유행인지 남자보단 여자들이 담배 피우는 게 더 많이 나오고 술을 너무 많이 그리고 그 다음날 또 바로 마시니 너무 자주 마신다. 이래도 되나? 이게 유행 타면 한국 여자들 간 다 망가진다. 실수하고 여기저기 토하고. 이게 무슨 짓인가? 이래도 되나? 드러마에서. 못하게 말려야 한다.
Bookmania
그리고 그게 뭐라고 자기 각 잡는 것에 엄청나게 신경 쓰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 자긴 확실히 왼쪽이 더 예쁘니 그걸 너무 철저하게 고수하는 것이다. 그게 그렇게 중요한가. 이런 식으로 유행에 엄청나게 민감하다.
Bookmania
아줌마들이 정신이 있는 거냐 없는 거냐? 자유통일당이 사거리에서 뭔가의 서명을 받고 있다. 이들은 왜 사는 것인가. 헌법을 무시하고 다기들 맘대로 하는 것에 찬성한단, 말인가. 지금까지 쌓은 걸 다 깔아뭉개도 좋단 말인가. 돈만 받으면 끝이란 말인가. 돈도 받고 교회에서 나가라고 해서 그냥 나온 것들 같다. 진짜 아무리 살기 어려워도 이게 뭐하는 짓인가. 개념이 없어도 너무 없다.
Bookmania
독재치하에 있으면 자신의 기질을 살리지도 못하고 그냥 그런 그늘에 살다 허무하게 한 생을 그냥 보낼 수 있는 것이다.
Bookmania
어느 길을 갈까?
독재 치하에 있으면 자신의 기질을 살리지도 못하고
그냥 그런 그늘에 살다 허무하게 한 생을
그냥 날려버릴 수 있다.
대신 자유로운 세상, 표현의 자유가 보장된 세상에 살면
자신도 모르는 자기 타고난 성정을 맘껏 펼 수 있다.
그러나 판단하기 싫은 인간은 또한 자유를 두려워한다.
누군가의 그늘에 살던 사람은 그 밑에서 시키는 것만
지도하는 것만, 따라 하는 그런 피학적 삶에 물들어
그냥 그게 마치 자신의 행복인 양 살다 가는 것이다.
자신이 누구인지 펴지도 못하고 그 안온한 그늘에서만
마치 한 번도 눈 부신 태양을 본 적이 없는 것처럼
안주하며 사는 것이다.
대신 그렇게 살면 자신이 누군지도 모른 채
생을 바로 마감하고 마는 것이다.
Bookmania
원래 세계사가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독재라며 데모가 일어난다. 그리고는 항상 나폴레옹이나 박정희 같은 독재가 반드시 등장한다. 그래 역사는 반복되는 것이고 인간은 어리석어서 교훈을 바로 잊는다.
Bookmania
젊은 애들은 가지 삶은 걸 별로 안 좋아한다.
Bookmania
민주화를 염원하는 혁명이 일어나고 그 혼란 속에서 독재가 다시 창권하는 건 그 흐름에 반드시 이걸 일어나게 하는 단초가 있기 때문이다.
Bookmania
상사가 아우 아래 부하를 미워하는데 중간 이 그 애를 같이 미워한다면 자기도 미워하면서 안 미워하는 척한다.
Bookmania
식장도 너무 깔끔게만 하면 안 된다. 음식을 대접하고 맛있게 하는 그런 열정이 안 보이고 손님이 간 자리를 깔끔하게 치운다는, 그 손님은 더러운 손님이라는 인상, 즉 자리에서 일어나기도 전에 테이블에 있는 음식을 치우는 것은 그런 인상을 줘서 다신 그 식당에 안 온다. 오기가 싫은 것이다.
Bookmania
운칠기삼이라고 노력한 것이 아닌 엉뚱한 것이 당선된다. 상대의 마음은 나와 같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런 거 생각 말고 그냥 내 글만 죽어라, 아니 즐겁게 쓰는 게 낫다. 어디 응모하지 말고.
Bookmania
흐르는 물이 아니라 고여 있는 저수지 같은데 별장이 있으면 밖을 내다보다가 갑자기 그리로 뛰어드는 사람이 많아 저수지에서 자살자가 많다고 한다. 흐르는 강보단 더. 아마도 더 우울해지는 것 같기는 하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