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채식지향인’입니다. 살면서 준채식 생활을 두 번 시도했는데 두 번 다 실패했고, 가끔 고기도 먹는 형태로 세 번째 시도 중입니다. 개를 사랑하고 공장식 사육을 반대하지만 고기를 못 끊고, 그런가 하면 비건‘주의’에도 확신은 없습니다.
준채식 생활 경험과 음식 윤리, 동물권에 대한 생각을 담은 에세이를 2025년 하반기에 낼 예정인데, 그 전에 12주 동안 아래 책들을 빠르게 읽어보려고요. 안 읽은 책들이라 수준이 어떤지 장담 못합니다(제가 읽은 책 중에서는 할 헤르조그의 『우리가 먹고 사랑하고 혐오하는 동물들』과 셸리 케이건의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윤지로의 『탄소로운 식탁』을 추천합니다).
아래 일정으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깊이 있는 토론을 하면서 읽을 거 같지는 않네요. 완독에 의의를 두고, 전자책으로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기록하는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모임 기간은 보름씩으로 하되, 목표는 7일 동안 한 권씩 읽는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1. (1/1~1/7) 채식의 철학 / 토니 밀리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188
2. (1/8~1/14) 채식의 배신 / 리어 키스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13
3. (1/15~1/21)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브라이언 케이트먼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39
4. (1/22~1/28)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멜라니 조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55
5. (1/29~2/4)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캐롤린 스틸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69
6. (2/5~2/11)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 마르타 자라스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84
7. (2/12~2/18) 죽음의 밥상 / 피터 싱어, 짐 메이슨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312
8. (2/19~2/25)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333
9. (2/26~3/4)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김태권
읽는 중입니다. https://www.gmeum.com/meet/2349
10. (3/5~3/11) 물건이 아니다 / 박주연
이 모임에서 읽습니다.
11. (3/12~3/18) 비만의 사회학 / 박승준
12. (3/19~3/25) 지속가능한 삶, 비건 지향 / 미지수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⑩ 물건이 아니다 (박주연)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장맥주
읽기 시작합니다!

장맥주
6~7쪽에 나오는 첫 사례부터 너무 처참하네요. 기사도 찾아 읽었고 모자이크가 된 사진도 봤습니다. 모자이크 안 된 사진도 찾으면 금방 나온다는데 찾지 않았습니다.

새벽서가
아기돼지 사례 말씀하시는건가요? 전 도저히 찾아볼 용기가 안나더라구요. ㅠㅠ

장맥주
네, 맞아요. 모자이크된 사진만 봤는데도 타격이 컸습니다. 휴... 정말... 인간들...

siouxsie
이건 사육하시는 분들이 돼지를 정말 '고기'로 취급해서 그런 행동을 한 거라 봅니다....어떻게 한 생명체를....

새벽서가
아기돼지 능지처참이라니 대체 누구 머리에서 그런 야만적인 아이디어가 나온거냐구요! ㅠㅠ

장맥주
“ 동물 학대 사건에 대한 우리 법원의 처벌은 매우 관대한 편이다. 이웃집 진돗개가 짖는다며 나무 몽둥이로 그를 수차례 때려죽인 행위에 벌금 30만 원이 선고되었고,1 자신의 암컷 강아지를 찾아온 다른 사람의 수컷 강아지가 돌아가지 않는다는 이유로 수컷을 4층 건물 옥상에서 집어던져 죽게 한 행위에는 벌금 150만 원이 선고되었다. 새끼 고양이 3마리를 검정 비닐봉지에 넣은 뒤 울음소리가 나지 않을 때까지 내려쳐 죽인 사람에게는 고작 벌금 200만 원이 선고되었다. ”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이는 외국의 사례와 크게 비교된다. 미국에서는 강아지를 2층 건물 밖으로 던져 상해를 입힌 자에게 징역 3년형이, 애인의 강아지 를 때려 죽인 자에게는 징역 2년형이 내려졌으며, 호주 법원은 자신의 강아지를 방치, 학대한 사람에게 징역 3개월 및 10년간 동물 소유 금지를 명했다. 영국(잉글랜드와 웨일스)은 동물 학대 범죄를 최대 5년의 징역형으로 처벌하며, 특히 법원이 양형 기준을 마련해 양형의 가중 요소(피해 동물 수가 많은 경우, 소셜미디어에 학대 사진이 공유된 경우, 아동이 있는 자리에서 범행이 이루어진 경우 등)를 참작해 철저하면서도 일관성 있는 판결을 내리고 있다. ”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안 그래도 첫부분 읽으면서 강아지 학대 얘기가 나와 @장맥주 님 맴이 찢어질 것 같았어요.
근데 왜 학대 얘기부터 다루는지 알것같아요.
학대하지 않았다고 잡아 먹는게 정당화 될 순 없잖아요 으흑

새벽서가
“ 기존 법의 이 같은 법정형이 독일, 영국 등 다른 동물복지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크게 가볍다고는 할 수 없다. 문제는 법정형의 범위 내에서 각 사건의 중대성에 따라 합리적인 처벌이 이루어져야 하는데도, 동물 학대에 대한 사법기관의 인식이 여전히 과거에 머물러 있는 탓에 많은 학대 범죄자가 법률로 정한 형량보다 가벼운 벌금형을 받고 만다는 데 있다. ”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한국의 솜방망이 처벌은 동물학대자들에게도 여지없이 적용되는군요. 사람을 죽이고 시체를 훼손하고 유기해도 10-15년 살고 나오니 어쩌면 예상되는 결과일 수도 있으려나요? ㅠㅠ
얼마전에 이탈리아인, 캐나다인, 프랑스인 친구들과 저녁식사를 했어요. 25년정도 알고 지낸 캐나다인 친구의 초대로 그 녀의 집에서 저녁식사 중에 요즘 읽는 책들에 대한 얘기를 나누다가 제가 읽고 있는 이런 책들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는데, 그 캐나다인 친구를 통해 안면정도만 있는 프랑스인 친구가 비꼬듯이 말하더라구요. 케이팝,케이드라마가 아무리 인기를 끌어도 너희는 개잡아먹는 미개한 나라라고. 그런데, 정말 뭐라고 대꾸할 말이 없더라구요. 제가 평소에 느끼는 거였거든요. 첫챕터에서 저는 전살법이라는 단어도 그런 잔인한 방법으로 개를 죽인다는 것도 처음 알게되었어요. ㅠㅠ
하느리
동물의 생명을 가벼이 여기는 사상이 한국에 유독 널리 퍼진 데 솜방망이 같은 동물 학대 관련 법률도 한 몫 했다 생각합니다.

새벽서가
한국의 법과 형량은 여전히 국민의 법감정을 못따라가는 것 같아요.

새벽서가
https://youtu.be/VLe84OkwKOA?si=qo6W_dmM2z5k_qk-
침팬지와 연필로 법정에서 물건으로 분류된다는 예를 든 스티븐 와이즈의 테드 연설입니다.

새벽서가
“ 동물을 반려한다는 것은 단순히 동물의 귀여움, 애교를 누리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반려하다’의 사전적 정의가 ‘짝이 되다’인 것처럼, 반려동물을 들이는 행위는 그의 일생을 책임지겠다고 약속하는 것이다. 여기서 다시 책임이란, 동물의 습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그에 적합한 환경과 돌봄을 제공하는 것, 아플 때 적절한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다. 동물의 기본적인 복지를 충족시킬 의무는 반려동물 보호자는 물론 모든 동물 보호자에게 부여된다. ”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 동물 보호에 대한 나라별 정책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생명체의 고통을 이해하고 이를 줄이려는 노력은 지구에 사는 모든 인간에게 부여된 의무다. 이를 실천하고자 고민하는 일이 ‘인간의 일이 아니기에’ 사소하거나, ‘어차피 모두가 죽이고 먹으며 살기에’ 유별난 일로 취급되어선 안 될 것이다. ”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그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있고, 개고기 먹는 사람들이 존재하는 한 무난하고도 원만한 사회적 합의란 있을 수 없다. 입법부와 정부가 의지를 갖고 결단을 내려야만 하는 이유다.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인간이 동물을 먹는다는 사실이 인간이 동물에게 어떠한 고통을 가해도 상관없다는 주장까지 정당화해주진 않는다.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 우리나라에서 개는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사랑받는 동물이지만, 반대로 그만큼 많은 차별을 받고 있는 동물이기도 하다. 여타 축산 동물에 대해서는 도축 시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법에 규정되어 있는 반면, 그보다 더 열악한 환경에서 살다 고통스럽게 도살되는 개의 현실은 법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외면당하고 있다. 게다가 반려견과 식용견이 다르다는 차별적 주장도 존재한다. 인간의 ‘이용 방식’에 따라 사랑받는 개와 먹을 수 있는 개가 나뉜다는 발상이다 ”
『물건이 아니다 - 동물과 사람이 다르다는 당신에게』 박주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https://m.segye.com/view/20250219520757?OutUrl=naver
이런 뉴스를 보면 반려견조차도 물건 취급을 받고 있는 것 같아서 화가 나고 씁쓸합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