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0. <3월 1일의 밤>

D-29
억울하게 세상을 뜬데다 죽은 후에도 홀대당하고 있다는 의식 속에 옛 군주에 대한 동정의 여론은 고조되었다. 왕과 왕실에 대한 묵은 기억이 어떻든지 간에 3·1 운동 직전 왕에 대한 태도는 거의 만장일치의 추모와 공분(公憤)이었다. 냉담한 축이 없지 않았으나 절대다수가 왕의 죽음을 애통해하고 그 상실에 민족의 비극적 처지를 겹쳐 보는 시각을 택했다.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출발한 시위대 중 한 갈래가 덕수궁을 향했다는 사실 또한 기억해둘 만하다. 거꾸로 읽자면, 조선의 왕과 왕실에 대한 대중의 태도는 3·1 운동을 통해 호의적 추모로 낙착됐다고 할 수 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권보드래 지음
어떤 민족이 민족자결주의에 따라 독립할 자격이 있는지 따질 때 유럽에서는 종교·인종·문화보다 언어 문제가 중시됐던데 비해 한반도에서는 역사와 깃발에 대한 소문이 많았다. 500년 이상 역사면 독립한다는 설이 광포된 중에 황해도 일원에서는 '국기 있는 나라는 독립한다'는 소문이 무성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108, 권보드래 지음
잠시 딴 얘기를 하자면, 지난 달에 함께 읽었던 『호라이즌』. 우리끼리 읽었던 경험이 아까워서 짧은 글로 감상을 공유해 봤어요. 제가 <기획회의>에 2주에 한 번씩 쓰는 '이 주의 큐레이션.' ‘여행하는 사람’ 혹은 ‘우리 시대의 어른’ 솔직히 말하자면, 여행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익숙한 공간을 선호하는 데다가 여행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분주함도 설레기보다는 피곤하다고나 할까요. 한동안 일 때문에 몇 번 다녀왔던 외국도 어느 순간부터 시큰둥해지더군요. 아예 살 게 아니라면 잠깐 스치는 여행보다는 책으로 간접 경험하는 게 훨씬 낫다고 생각하는 지경에 이르렀으니까요. 원거리 비행기 여행을 하면서 내놓는 많은 양의 온실 기체와 그것이 초래하는 기후 위기까지 염두에 두면 여행에 거리를 두는 일은 윤리적이기도 합니다. 여행을 좋아하는 독자에게는 안타까운 일이지만, 어쩌면 지금의 기성세대는 비행기 여행을 거리낌 없이 즐긴 마지막 세대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일까요? 2월에 60명 정도가 온라인 독서 플랫폼 그믐에서 함께 배리 로페즈의 『호라이즌』(북하우스)을 읽으면서 삐딱한 생각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습니다. 지구와 그곳에 사는 수많은 이웃을 배려하는 일에 누구보다도 열심이라는 저자가 평생에 걸쳐서 이곳저곳 (온실 기체를 내놓으면서) 다녔던 흔적을 따라가는 일에 괜한 반감이 생겼다고나 할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낯선 장소 낯선 타자와의 마주침이 없었더라면 자연과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저자의 독특한 방식이 만들어질 수 없었을 테니까요. 여럿이 함께 천천히 읽고 감상을 나누고 나서, 이 책을 좀 더 많은 사람에게 소개해야겠다고 마음먹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모두가 저자처럼 여행을 다니는 기회를 누리기는 어려우니까요.
호라이즌전미 도서상 수상 작가 배리 로페즈가 생전에 마지막으로 발표한 역작 『호라이즌』이 한국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이 책은 배리 로페즈가 자신의 여행 경험을 집대성한 책으로, 그가 선보인 글 중 가장 방대하면서도 장소와 사유를 옹골차게 엮은 논픽션이다.
국내에서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지지 않은 배리 로페즈는 영미권의 유명한 여행 작가입니다. 1970년대부터 2020년 세상을 뜰 때까지 수십 년간 세계 곳곳을 여행한 기록을 책과 글로 남겼습니다. 흔히 ‘네이처 라이팅(Nature Writing)’이라고 부르는 자연의 경이로움과 마주한 개인의 이야기를 담은 미국 문학 장르의 정점을 보여주는 작가죠. 여담입니다만, 로페즈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린 한 작가 모임에서 다른 작가와 교류한 경험을 들려준 적이 있습니다. 그때 그와 함께하며 친교를 나눴던 작가의 면면을 볼까요? 2003년 노벨 문학상을 받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존 쿳시, 『시핑 뉴스』(문학동네)와 영화 <브로크백 마운틴>의 원작자로 유명한 애니 프루 등. 로페즈를 처음 접한 것은 2010년대 중반이었습니다. 일 때문에 북극권에 대한 여러 문헌을 뒤적거리던 중이었는데, 여러 책이나 글에서 이 작가의 『북극을 꿈꾸다』(1986)를 필독서로 꼽고 있었거든요. 알고 보니, 이 책은 1986년에 나와서 전미 도서상을 받은 작가의 가장 유명한 저서였습니다. 마침, 신해경 선생님 번역으로 2014년에 국내에도 소개가 된 터라서 곧바로 찾아서 읽었습니다. 솔직히 말하자면, 다른 ‘네이처 라이팅’의 전통을 따르는 책과 마찬가지로 단숨에 읽히는 책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니까, 빌 브라이슨이나 마이클 부스의 여행기와는 아주 다른 분위기입니다. 북극권이라는 장소를 놓고서 인간, 문명, 역사 무엇보다 자연과의 앙상블을 감동적으로 서술한 책이었어요. 북극권을 소재로 한 수많은 글과 책이 왜 1986년에 나온 이 책에서 시작하는지 읽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습니다. 어느새 저도 북극을 이야기하는 좋은 책을 추천해 달라는 요구를 마주치면 곧바로 『북극을 꿈꾸다』(북하우스)를 꼽곤 하니까요. 로페즈는 『북극을 꿈꾸다』를 펴내고 나서 40대부터 본격적으로 북아메리카 대륙 바깥으로 전 세계를 여행하기 시작합니다. 평생 약 일흔 개 나라를 여행하면서 스무 권이 넘는 책을 펴냈습니다. 이 자리에서 소개하는 『호라이즌』은 이렇게 평생 ‘여행하는 사람’으로 살아온 저자가 세상을 뜨기 직전에 자기의 삶을 여섯 개의 여행으로 정리한 자서전을 겸한 여행기입니다.
북극을 꿈꾸다 - 우리의 삶에서 상상력이 사라졌을 때‘우리 시대 가장 중요한 자연주의자’ 배리 로페즈의 대표작이자 전미도서상 수상작인 『북극을 꿈꾸다Arctic Dreams』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북극의 진면모를 펼쳐내며 생태학의 고전이 되었다.
잘 보았습니다!!!
보통의 자서전이나 여행기의 체계를 기대하면서 책을 펼친다면 앞의 몇 쪽을 읽고 나서 낭패감에 빠질 거예요. 우선 이 책의 서술은 시간의 흐름을 따르지 않습니다. 저자가 슬쩍 귀띔했듯이 저자의 40대, 50대 즉 198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20년간 했던 여행이 중심이긴 하지만 20대, 30대의 이야기도 나오고 2010년대 이후 즉 60대의 이야기도 나옵니다. 저자는 굳이 책 속에서 구체적인 일시를 밝히지도 않습니다. 그냥 저자가 담담하게 털어놓은 경험을 들으면서 ‘아, 40대 때구나’ ‘아, 1980년대 후반이구나’ ‘아, 1990년대 중반이구나’ 하고서 유추할 수밖에 없습니다. (기자 아니라고 할까 봐서, 일시에 예민한 저로서는 이런 걸 찾는 재미(?)도 쏠쏠했답니다.) 대신 이 책의 주인공은 장소입니다. 저자는 자기 여행의 출발점을 미국 오리건주의 서쪽 끝에 있는 북태평양과 맞닿은 해안의 파울웨더 곶에서 시작합니다. 캐나다의 동북쪽 끝에 있는 그린란드를 마주하는 북극권 또 정반대로 적도 인근 남태평양의 유명한 갈라파고스 제도 여행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다음에는 호모 사피엔스 이전 인류 조상의 흔적을 발굴하는 동아프리카 케냐의 투르카나 호수 인근의 발굴 장소로 갔다가 오스트레일리아로 갑니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유명한 여행지를 찾는 것이 아니라 철광석을 전 세계로 수출하는 마치 『반지의 제왕』의 ‘모르도르’ 같은 포트헤들랜드 항구로 독자를 안내합니다. 마지막 여행 장소는 남극이고요. 저자는 이 여섯 장소와 얽힌 자기의 여행 경험을 담담하게 들려주면서, 평생 여행하는 사람으로 살아가면서 체득한 자연과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을 공유합니다. 나아가 이제 생의 마지막을 앞둔 노년이 된 자기도 해결하지 못한 세상을 둘러싼 온갖 문제의 해법을 고민합니다. (앞에서 언급한 쿳시, 프루 등과 나눈 대화의 주제는 ‘공동체의 복원’이었습니다.) 어떻습니까. 본문만 870쪽이나 되는 벽돌 책이지만 한번 펼쳐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요? 한 가지만 덧붙이자면, 이 책에서 저자가 계속해서 반복하는 키워드는 ‘어른’이었답니다. 저자는 어른과 그런 어른이 마땅히 갖춰야 할 지혜의 부재야말로 인류가 안고 있는 온갖 문제의 근본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듯합니다. 저자의 고민을 읽으면서 저는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2020년에 저자가 세상을 뜨고 나서 그가 마지막으로 추려 모은 스물여섯 편의 에세이를 묶은 책이 2022년에 나왔습니다. “우리 시대 최고의 자연 작가”의 마지막 책이라서 화제도 모았죠. <뉴욕타임스>가 2022년 최고의 책 가운데 하나로 선정했고, 책이 나오자마자 온라인 서점 ‘아마존’에서 판매 순위 1위에 오르기도 했으니까요. 『여기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하여』(북하우스). 저는 국내에서도 팬이 많은 작가 리베카 솔닛이 이 책의 서문을 쓴 사실에도 주목하고 싶습니다. 솔닛은 로페즈의 글과 책을 놓고서 이렇게 말합니다. “오래전 나에게 무엇을 목표로 글을 쓸 수 있을지 일러준 것은 바로 배리 로페즈의 글이었다. 그의 글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에 대한, 그리고 구원의 힘에 대한 더 넓은 인식을 직조해 낸다.” 『호라이즌』뿐만 아니라 『북극을 꿈꾸다』, 『여기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하여』가 모두 한국어판으로 나와 있습니다. 굳이 순서를 권하자면, 『여기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하여』-『호라이즌』-『북극을 꿈꾸다』 순을 권하고 싶습니다. 뒤늦게 이 작가를 만난, 정작 여행을 싫어하는 한 독자가 보내는 뒤늦은 찬사로 감상을 마무리합니다. “어른을 찾아서 떠난 여행을 통해 당신이 어른이 되었네요.”
여기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하여 - 숲과 평원과 사막을 걸으며 고통에서 치유로 향해 간 55년의 여정『북극을 꿈꾸다』로 미국도서상을 수상한 작가이자 작가로 활동한 생애 내내 여러 세대의 작가들과 환경 운동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던, 우리 시대 최고의 자연 작가 배리 로페즈가 남긴 마지막 에세이 모음집.
그의 글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에 대한, 그리고 구원의 힘에 대한 더 넓은 인식을 직조해 낸다. 그렇네요. 제가 별로 여행 다큐나 예능을 안 좋아하면서도 이 책은 재미있게 읽었던 것은 어쩌면 그런 타인의 고통에 대한 그의 예민한 감수성 때문이었던 것 같아요. 그나저나 저 순서에서 이미 벗어나긴 했지만 다음에는 '여기 살아 있는 것들을 위하여'를 읽어봐야겠습니다.
마지막 문장 정말 감동적이네요. "어른을 찾아서 떠난 여행을 통해 당신이 어른이 되었네요." 『호라이즌』을 읽기 전에 이 감상글을 먼저 읽었다면, 그 책이 조금이나마 수월(?)하게 읽히지 않았을까 하는 나름의 투정 아닌 투정을... (하하). "본문만 870쪽이나 되는 벽돌 책이지만 한번 펼쳐보고 싶은 생각이 들지요?"라는 질문에는 저야말로 "네"라고 답하고 싶어지네요. 이 방에서 다시 『호라이즌』 이야기를 읽을 수 있어 반갑기도 하고, YG님도 이 책을 읽고, 여행에 대한 생각이 바뀌셨다는 말씀에 괜히 기분이 좋았습니다. "낯선 장소 낯선 타자와의 마주침이 없었더라면 자연과 사람과 세상을 바라보는 저자의 독특한 방식이 만들어질 수 없었을 테니까요."라는 이 문장이 특히 좋았어요.
공유해주어서 감사해요. 잊혀져 가는 2월의 감상을 다시 한번 되새겼습니다~ 앞으로도 호라이즌, 베리 로페즈, 어른, 남극, 호주, 갈라파고스 등등 이런 단어를 마주할때마다 떠오르는 생각이 달라질것 같습니다.
https://www.koreatimes.co.kr/www/opinion/2025/03/137_270064.html 파리를 떠나기 전 김씨는 연설을 했다. 어디서 연설했고 누구에게 연설했는지는 불확실하지만, 그는 자신이 받은 미온적인 환대에 실망했다고 말했다. 그는 우드로 윌슨이 자기 결정에 대해 말한 것이 진심이었는지 물었고, 정의를 사랑하는 척하지만 일본의 식민지 억압으로 고통받는 2천만 명의 한국인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 프랑스를 비판했다. Before leaving Paris, Kim gave a speech. Where he spoke and to whom is uncertain, but he stated his disappointment with the lukewarm reception he had gotten. He asked whether Woodrow Wilson meant what he said about self-determination and criticized the French who pretended to love justice but cared little about 20 million Koreans suffering under Japanese colonial oppression. 김씨는 일본이 체포하여 서대문형무소에 가두고 고문한 사람들 중 일부가 윌슨의 말을 그대로 받아들여 한국 독립을 위해 싸웠다고 말했다는 것을 언급했을 수도 있습니다. Kim may have mentioned that some of the people the Japanese had arrested, thrown into Seodaemun Prison and tortured said they had stood up for Korean independence because they took Wilson at his word. 김씨는 1922년 모스크바에서 열린 제1회 극동 노동자 대회에 참여한 52명의 한국인 중 한 명이었습니다. 블라디미르 레닌이 주최한 이 대회는 공산주의 스타일의 혁명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파리에서 본 것에 좌절하고 분노한 김씨는 위선적인 미국, 프랑스, ​​영국을 비난하는 기사를 썼고, 그들을 "흡혈귀" 국가라고 불렀습니다. Kim was among 52 Koreans who, in 1922, participated in the First Congress of Toilers of the Far East in Moscow. Hosted by Vladimir Lenin, it was all about revolution, Communist-style. Frustrated and resentful over what he had seen in Paris, Kim wrote an article blasting the hypocritical Americans, French and British, calling them "bloodsucker" nations.
어머나, 너무 좋은자료에요. 흡혈귀 국가.... 한세기가 지났지만 여전히 흡혈귀들이 판치고 있습니다. ㅠ
우드로 윌슨의 자결의 대상이 아닌 민족임을 확인했을때.. 희망이 처박혔을 꺼 같네요. 열강의 위선을 보았겠지요.. __ 갑자기 울분이 (어떻게 이런걸 찾으셨어요, 자료 감사합니다.)
그런 '자유'를 사랑하고 혁명을 외치던 프랑스에서 위선과 무관심을 직접 목격하고, 그리고 윌슨의 이상주의에 이끌려 희생된 고국의 독립운동가들을 생각하며 김규식이 독립운동에 뛰어들며 '자결'을 향한 의지를 굳힌 것 같아요. 이 책에서도 나왔지만 레닌의 극동 노동자 대회에서도 영향을 받았을 것 같네요.
이 책을 읽다 보면, 자주 등장하는 인물이 김규식, 조소앙, 안재홍 같은 분들입니다. 이들을 좌도 우도 아닌 중간파로 묶어서 정리한 책이 한 권 있긴 해요. 분쟁 전문 기자로 유명하셨던 김재명 선생님께서 2000년대 초에 쓰신 책입니다. 김 선생님은 해방 후에 이들이 권력을 잡았더라면 한반도 정세가 훨씬 달라졌을 거라고 보셨죠.
한국현대사의 비극 - 중간파의 이상과 좌절이 책은 분단시대의 서막인 해방정국(1945~1948) 하에 오로지 국권회복을 통한 민족 자존, 그리고 좌우 갈등의 벽을 허물고 민족통일을 이루려 치열하게 투쟁했던 인물들에 관한 기록이다. 극좌와 극우 모두가 이들을 비판하는 속에서도 좌우합작과 남북협상을 통한 민족통일에 온 힘을 기울이는 과정을 치열하게 그리고 있다.
이런 귀한 책도 있군요. 역사에 만약은 없다지만... 저도 만약을 자꾸 생각하게 되네요
중간파가 있긴 있었군요. 정말 그랬을 것 같습니다.
구한말에서 일제 강점기까지는 나라 운명도 세계 정세도 혼돈의 도가니여서 그렇겠지만, 엄청나게 굴곡진 삶을 살았던 인물들이 상당히 많은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김규식이라는 인물에 관심이 생기더라구요. 저는 이제껏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만 대표로 파견될 줄 알았습니다. 조소앙도 중간파에 속하는군요...
@소피아 아, 이참에 정말 소개하고 싶은 책이 하나 있습니다. 역사학자 임경석 선생님의 책 세 권입니다. 첫 번째 책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은 원래 <역사비평>에 연재가 되었던 글을 묶은 것인데, 너무 재미가 있어서 제가 PDF 파일을 다 구해서 제본해서 볼 정도였어요. 그런데 이렇게 책으로 묶여서 나왔고요. 훨씬 품을 넓혀서 정리한 게 『독립운동 열전』 두 권입니다. 그간 공식 독립운동사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았거나, 미화되었거나, 감췄었던 내용이 들어 있어서 너무 흥미진진했던 책이었어요. 소피아 님 취향 저격할 책들이어서 강력 추천합니다. (흠, 이 정도로 벽돌 책 함께 읽고 수다 떨었으면 취향 정도는 거칠게 파악하고 있다고 해도 실례 아니겠죠?)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남과 북으로 분단된 후, 반공이데올로기에 휘둘려 우리 현대사에서 은폐되고 왜곡된 사회주의운동사를 복원하는 데 전력하는 역사학자 임경석이 혁명가들의 초상을 그린다. 일제하 조선노동당을 주축으로 민족해방운동과 사회주의운동을 전개한 윤자영(1장), 박헌영, 김단야, 임원근(2장), 강달영(3장) 등이 그들이다.
독립운동 열전 1 - 잊힌 사건을 찾아서독립과 해방을 위해 온힘을 기울인 인물들, 개인의 일신을 위해 그들을 배신했던 이름들, 이들을 둘러싸고 벌어진 갖가지 사건들을 찾아 떠난다. 저자 임경석 교수는 일본제국주의에 국권을 빼앗긴 시대에 살았던 한국 사람들이 해방을 위해 투쟁한 이야기 중 기억되어야 함에도 잊힌 사건들을 34꼭지에 담아 펼쳐 보인다.
독립운동 열전 2 - 잊힌 인물을 찾아서독립과 해방을 위해 온힘을 기울인 인물들, 개인의 일신을 위해 그들을 배신했던 이름들, 이들을 둘러싸고 벌어진 갖가지 사건들을 찾아 떠난 책이다. 일본제국주의에 국권을 빼앗긴 시대에 살았던 한국 사람들이 해방을 위해 투쟁한 이야기 중 기억되어야 함에도 잊힌 인물들을 38꼭지에 담아 펼쳐 보인다.
"잊을 수 없는 혁명가들에 대한 기록"은 POD (print on demand)인가봐요. 알라딘 서점에선 붉은 색으로 [단한권]이라고 나와 있길래 깜짝 놀랐어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그믐북클럽X토프] 25. 지금, 한국 사회를 생각하며 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경계를 허무는 [비욘드북클럽] 에서 읽은 픽션들
[책 증정]  Beyond Bookclub 12기 <시프트>와 함께 조예은 월드 탐험해요[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책 증정] <그러니 귀를 기울여>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3기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연뮤클럽이 돌아왔어요!!
[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AI로 난리인 요즘!
[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AI 2045 인공지능 미래보고서』 혼자 읽기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