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슨이 '대표'개념의 갱신과 재구성을 제안했다면 레닌은 '대표'개념 자체의 해체를 추진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81,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aida
“ 독립신문은 창간호 1만부 인쇄에 그치지 않고 자발적 릴레이에 의해 여러 달 계속 발간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증식과 변형의 운동성을 상징해냈다. 그것은 3.1운동 자체의 생리이기도 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47,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유봉진은 한편으로는 폭력을 행 사하려는 군중을 설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총격을 가하려는 경찰을 설득했다. "살아 돌아오지 못할" 각오를 한 사람으로서 경탄할 만한 인내심이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56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1910년대는 세계적으로 혁명의 연대였지만 3.1 운동만큼 자발적인 동시에 전국적인 봉기 양상을 찾 아보기는 어렵다. ... 봉기가 더 끈질긴 일은 있었을지언정 3.1 운동처럼 지역과 분파와 계층을 막론하고 참여가 거족적(擧族的)이었던 경우는 없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1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ㅎㅎㅎ 앞에 @도원 님과 @오구오구 님이 저와 같은 문장들을 올려주셔서 일이 줄었네요..^^;; 다 비슷한 부분..
연해
하핫, 저는 @borumis 님이 수집해주신 문장과 제가 플래그잇 붙여놓은 문장에서 겹치는 부분이 종종 있었어요. 반갑고 좋았습니다:)
borumis
“ 식민지라는 조건상 아시아, 아프리카 각 지역의 대표란 의회주의적 대표일 수는 없었다. 식민지 대부분에서는 선거와 의회제도로써 공인된 대표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에서 온 대표들은 따라서 구세주를 만나지 못했는데도 그 후계자임을 자처하는 바울의 부류, 이방인 예언자의 면모를 닮았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1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초대받지 않았지만 힘들여 대표를 보낸 종족과 민족들의 목소리는 거의 울리지 않았다. 정식 대표단을 파견했던 중국마저 거듭 소외당하고 묵살당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3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민족대표 33인'은 이상할 정도로 대표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경로에는 무관심했다. 그렇다고 기존의 대표 개념에 뚜렷이 이의를 제기한 것도 아니다. 조선은 대표 개념에 막 적응하기 시작했던 터, 의회나 선거 제도에 대한 의구심을 장착하기에는 아마도 시기상조였을 터이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5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민족대표 33인'은 한편으로는 '대표'로서의 선언 이후 상황 전개를 예측하는 데도 무관심했다. 대표로서 일껏 결의하고도 그들은 스스로의 역할을 선언까지로 국한시켜, 잘 알려진 대로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후에는 경무총감부에서 보낸 승용차 몇 대 편으로 고스란히 유치장을 향하고 말핬다. 애초부터 중심도 분부도 없었던 3.1 운동은 이로써 전적으로 대중의 결의에 따라 전개된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5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삼일절 하면 떠오르는 민족대표33인에 대해 이들의 대표성 뿐 아니라 이후 행적의 불분명성까지,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어요. 대표라는것이 어떤 의미인지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구요.
borumis
“ 부재하는 중심, 불학실한 소문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라면 3.1 운동은 오히려 1789년의 프랑스혁명과 1790년의 아이티혁명, 그리고 1857년 인도 세포이항쟁 같은 멀리 떨어진 사건을 연상시키는 바 있다. ....
이들은 부정확한, 그러나 현재에 대한 불만과 분노를 강렬하게 실어나르는 소문에 의해 스스로를 일으켰고 그럼으로써 현실을 바꾸는 동력을 만들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9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1919년은 이같은 직접성-즉각성(immediacy)이 유례없을 정도로 고양된 시기였다. 선언이라는 발화 행위가 언어와 현실 사이 무매개성-직접성을 기념하듯 시간 의식에 있어서도, 정치적 구성에 있어서도 직접성의 형식이 도약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9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1789 프랑스혁명, 아이티혁명, 세포이 항쟁, 그리고 3.1 운동.. 이런 부정확한 소문과 중심의 부재 속에서 퍼져나간 움직임에 매개라는 층위나 교통 통신수단이 향상된 이 시대는 어쩌면 더욱더 무서운 속도로 마른 수풀에 불씨가 퍼져나가듯 현실의 변혁을 불러일으키겠죠. 얼마전 하룻밤 불과 몇 시간 안에 끝나버린 비상계엄이 생각나는군요. 어쩌면 레닌은 그만큼 윌슨보다 더 다급했고 변혁을 절실히 바랐기 때문에 대표의 개념을 해체하고자 했던 것 같습니다.
borumis
“ 파국과 유토피아가 함께 임박해 있다는 감각이 시간성에 있어 직접성의 형식을 구성한다고 하면, 대표 개념의 비판 및 재구성은 (민족) 공동체 수준에 있어 매개(mediation)의 질을 수정하고 직접성을 제고한다. 개별과 전체 사이를 잇는 매개라는 층위가 꼭 필요한가? 인민은 대표되고 재현되어야만(representation)하는가? 개별 그대로, 인민의 존재 그대로 사건의 동력이 될 수는 없는가? 그 힘 자체를 구조화한 사회는 불가능한가?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81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윌슨이 '대표' 개념의 갱신과 재구성을 제안했다면 레닌은 '대표' 개념 자체의 해체를 추진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81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연해
“ 선거와 의회를 핵심으로 하는 '대표' 개념이 어지간히 친숙해진 후였음에도 '민족대표 33인'은 공공연하게 다른 노선을 취했다. 따지고 보면 3·1운동 전후 '대표'임을 주장한 인물이나 단체 중 '민족대표 33인'처럼 임의성이 두드러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33인 중 적잖은 수가 후일 소극적으로 혹은 적극적으로 일본에 협력했다는 사실을 가리켜 말하는 것이 아니다. 당시 다른 사례와 비교해도 '대표'의 비포괄성이 눈에 띈다는 것이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64,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3.1 운동에 있어서의 '대표'는 이런 세계사적 격동 속에서 태어났다. 지금껏 계승되고 있는 '33인 민족대표'라는 명칭, 이것은 '대표' 개념 자체가 해체ㆍ재구성되고 있던 상황에서 시도된 숱한 실험 중 하나였다. 그 정당성이 민중봉기에 의해 추인됨으로써 '민족대표'는 1919년 4월의 상해 임시정부 구성까지 이어지는 동력이 될 수 있었다. '대표'임을 자임하는 이들이 많았던 만큼이나 '임시정부'로서 스스로를 표명한 단체가 많았던 1919년 봄, 갈래 갈래 분열됐을지도 모를 그들 흐름은 3.1 운동의 폭발에 힘입어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통일될 수 있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84쪽,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이번 장은 한국 뿐만 아니라 1919년 격동하던 세계사를 둘러보게 되었네요. 우리나라는 한국근현대사 교육 자체도 좀 아쉽지만 이렇게 다른 국가의 변화와 한국 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배우는 게 좀 미흡하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렇게 연결해서 다각도로 배우니 좋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3월 6일 목요일에는 이어서 2장 '대표'를 읽습니다.
이번 장에서는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웠지만, 왠지 그때도 그 자격이 미심쩍었던 민족 대표 33인의 정체부터 시작해서 1919년 3월 1일 즈음에 대표와 민주주의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살펴봅니다. 사실, 이번 장에서 저자가 펼치는 내용은 최소한 절차적 민주주의가 어느 정도는 자리 잡은 요즘 한국이나 미국, 유럽의 상황에서도 깊이 숙고할 내용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미 먼저 읽으신 분들이 인용문 공유하고 계시지만, 한 번씩 숙고하고 얘기 나눠봐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