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그런 게 있었군요. 진짜 전지책은 벽돌책이란 느낌이 없을 수도 있겠네요. 저는 아날로그 감성이 남아 있어서 그런지 종이책을 선호하는 편인데 늘어나는 책들을 생각하면 전자책으로 전환해야 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도 듭니다.
이책 표지 디자인은 좋은데 의외로 껍데기가 얇더군요. 잘 들고 다니셔얏할 듯. 어깨도 조심하고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0. <3월 1일의 밤>
D-29

stella15
밥심
전 여태까지 벽돌책을 모두 종이책으로 읽었는데요, 가지고 다니지는 않고 집에 두고 읽었습니다. 헌데 집에서도 들고 읽으면 금방 손목이 얼얼해져요. 그래서 벽돌책만은 책상이나 식탁 위에 올려놓고 바른 자세로 읽었답니다. 이번 벽돌책을 전 벽돌책인 <호라이즌>과 나란히 두고 비교해보니 적어도 외모상으로는 이번 책이 참으로 쉬어보였습니다. 내용의 밀도는 차차 알게 되겠지요.

연해
책상이나 식탁 위에 올려놓고 바른 자세로 읽으신다는 말씀에 제가 다 경건해졌어요. 저는 외출할 때도 책이 없으면 허전해서 항상 챙겨 다니는 편인데요. 이 책도 차차 적응해보려 합니다(하하). 근데 @밥심 님의 글을 읽다보니 문득 <호라이즌>의 실물이 궁금해졌어요. 저는 그 책도 전자책으로 읽었던 터라, 읽어도 읽어도 %가 잘 올라가지 않는다는 점 외에 두께 자체를 가늠하기는 어려웠거든요. 종이책과 전자책의 차이를 생생하게 알아가는 것 같아 즐겁기도 합니다:)

stella15
아이고, 그런 걱정은 안 하셔도 될 것 같은데요 YG님. 그게 부담스러우면 아예 신청을 안했겠죠. 안 그러면 전자책으로 읽던가. 이럴 때 아니면 언제 또 격파를 해 보겠습니까? 선택 하실 땐 맘 놓고 과감하게 하세요.
근데 참 대단하세요. 점심 시간 쪼개서 읽으시다닛! 저는 학교 때까지만 점심시간에 책을 읽었던 것 같습니다. ㅠ

borumis
앗 저와 비슷하군요. 저도 사무실 책상에 놓고 점심 먹고와서 휘리릭 읽습니다.

연해
으앗, 저의 엄살이 괜한 파장을 일으켰네요. 죄송합니다(흑흑).
@stella15 님 말씀처럼, 두께와 무게 때문이라면 신청조차 하지 못했을 거예요. 상단에 '벽돌 책'이라고 버젓이 쓰여있는걸요. 참고로 지금까지 읽었던 책들도 다 정말 좋았답니다. 특히 <행동>은 살면서 제가 읽었던 단권의 책으로는 원탑의 두께였어요. 그러니 고민하지도 흔들리지도 마시고, 앞으로도 좋은 책 팍팍 골라주세요:)
그리고 인간은 원래 적응의 동물이니, 어깨 힘도 차차 길러질 겁니다(헷).

연해
“ 3·1운동의 대중은 활발한 분자적 활동을 보이는 동시에 운동 자체를 교정하고 편집하는 역할도 했다. 예컨대 학생들이 주도한 3월 5일의 시위 역시 몇몇 학생이 만든 통고문이 아니었다면 무산되거나 크게 축소됐을지도 모른다. 전날 오전까지만 해도 시위 일자 외에 "시간이나 장소가 전혀 일정해 있지 않았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 51,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원
“ 홀로 부른 만세가 수백 명의 호응을 얻어 대규모 거리 시위가 된 사례가 여럿인 반면, 몇 명이 만세를 외쳤으나 끝내 호응이 없어 무색하게도 선창자들만 체포돼 온 경우도 종종 있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62,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원
대신 3.1운동을 통해 광범하게 목격되는 것은 오직 스스로의 힘에 의지한 결의 와 궐기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63,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원
따지고 보면 3.1 운동 전후 '대표'임을 주장한 인물이나 단체 중 '민족대표 33인'처럼 임의성이 두드러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64,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원
“ '민족대표 33인'은 한편으로는 '대표'로서의 선언 이후 상황 전개를 예측하는 데도 무관심했다. 대표로서 일껏 결의하고도 그들은 스스로의 역할을 선언까지로 국한시켜, 잘 알려진 대로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후에는 경무총감부에서 보낸 승용차 몇 대 편으로 고스란히 유치장을 향하고 말았다. 애초부터 중심도 본부도 없었던 3.1운동은 이로써 전적으로 대중의 결의에 따라 전개된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75,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도원
“ 지금껏 계승되고 있는 '민족 대표'라는 명칭, 이것은 '대표' 개념 자체가 해체, 재구성되고 있던 세계적 상황에서 일어난 숱한 실험 중 하나가 성공한 결과였으며, 그 성공을 가능케 한 것은 봉기 대중이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84,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나라가 무엇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내 민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을 생각하는 사람이 되었" 조봉암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58,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대신 31운동을 통해 광범하게 목격되는 것은 오직 스스로의 힘에 의지한 결의와 궐기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3,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그런 비체계성과 즉흥성에도 불구하고 '민족대표'로서의 자기 결의 자체가 전국적으로 호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던 것이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4,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윌슨이 문제 삼았던 것은 바로 이 오래된 '대표'의 개념 및 제도자. 되풀이하자면 윌슨은 정의, 인도, 평화에 대한 인민의 열망을 대변할 때만 대표는 대표로서의 정당성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7,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파리평화회의 당시 윌슨이 구상한 것은 식민지의 '독립'이 아니라 '위임통치'였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7,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파국와 유토피아가 함께 임박해 있다는 감각이 시간성에 있어 직접성의 형식을 구성한다고 하면, 대표 개념의 비판 및 재구성은 (민족) 공동체 수준에 있어 매개 (mediation)의 질을 수정하고 직접성을 제고한다. 개별과 전체 사이를 잇는 매개라는 층위가 꼭 필요한가? 개별 그대로, 인민의 존재 그대로 사건의 동력이 될 수는 없는가? 그 힘 자체를 구조화한 사회는 불가능한가?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81,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