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소나 사물이 멀리 떨어져 있을수록 좋아 보이는 이유는 그것들을 비방하는 데는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공간적으로 가까워지고 잘 알게 돌수록 그 사람에게 이롭다. 그 사람에 대해 여러 사람의 입을 거쳐 잘못 전해진 사실들을 걷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어떤 사람을 둘러싼 소문이나 상상은 실제로 만났을 때 그 사람에게 크게 실망할 정도로 그에 대한 우리의 평가를 높이 끌어올리지 않는다. 한편 편견과 악의는 언제나 결점을 실체보다 크게 과장한다. 우리가 실제로 아는 사람들은 거의 모두 아주 평범하다. 우리는 무지만으로도 그 사람들을 괴물이나 유령으로 만든다. 요컨대 우리는 소문이나 추측만으로 특정한 결점에 비현실적 관념을 씌우고, 우리가 싫어하는 사람의 특정 자질이나 행동을 두고 스스로를 약오르게 만든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75,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아티초크
호디에님과 @모임 여러분 안녕하세요.^^ 이번 주도 지난 주말처럼 봄을 시샘하는 꽃샘추위가 기승입니다. 호디에님이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의 표제작에서 발췌하신 부분을 찾아보니 제 책에도 밑줄이 그어져 있군요. 해즐릿은 "사람은 구체적인 존재이지 멋대로 붙인 병칭이나 별명이 아닐 뿐더러 (중략) 우리는 우리가 잘 아는 사람을 어지간해선 증오하지 못한다"고 말합니다. 저는 이 부분이 해즐릿을 단순히 냉소주의자나 양비론자로 보는 사람들에게 좋은 반증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의 부제처럼 해즐릿은 인간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내기 위해 이른바 '직진의 글쓰기'를 구사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적의, 불평, 불만 등이 반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나 버지니아 울프의 말대로 해즐릿의 "모든 글을 읽고도 그를 단순하게 생각할 사람은 단언컨대 한 명도 없을 것"입니다. 이 맥락에서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의 마지막 부분에서 해즐릿이 인용한 셰익스피어의 문구는 제 인상에 깊게 남아 있습니다.
"인생이라는 직물에는 좋고 나쁜 실이 섞여 있다. 미덕은 결정의 채찍질이 없으면 교만해질 것이며, 죄는 미덕이 보살피지 않으면 절망할 것이다." (77쪽)
호디에
“ 우리는 주로 삶을 목적 달성의 수단으로 여긴다. 우리가 계획하는 안일한 무언가를 위해 평범한 삶의 즐거움을 일상의 불행과 더불어 싹 무시한다. 우리는 인생이라는 사막에서 애타게 찾는 몇 안되는 오아시스를 향해 부단히 발길을 재촉하는 것만 같다. 어떤 위험이나 고생을 겪을지는 중요하지 않다. 그곳에 기어코 도달하기만 하면 된다는 식이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85, 윌리엄 해즐릿 지 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호디에
해즐릿은 패션에 대해 혹평을 쏟아냅니다. 전 개인적으로 그가 나열한 여러 상스러움 중에서 마지막에 쓴 내용이 가장 상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가장 약한 자들 곁에서 자신의 우월함을 드러내는 자. 그가 제왕이라고 하더라도 전 그 사람이 가장 상스럽게 느껴집니다.
아티초크
해즐릿도 호디에님과 같은 입장일 것 같습니다.^^ 「패션의 관하여」의 마지막 문단은 "원래 제왕들은 하층민과 함께 있기를 좋아한다"는 버크의 말로 운을 떼면서 "제왕은 가장 나쁘고 가장 약한 자들과만 어울림으로써 자신이 가장 괜찮고 현명하다고 확신한다"고 말합니다.
PS. 위의 내용만 보면 해즐릿이 버크에 호의적인 것 같지만 다른 에세이를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아첨꾼과 독재자에 관하여」에서 해즐릿은 버크가 프랑스 혁명을 비난하는 책을 쓴 대가로 왕이 하사는 연금 수령자가 되었다고 언급하면서 지성의 약점을 신랄하게 파고듭니다.
호디에
“ 권력은 그 어떤 불리한 처지에도 놓이지 않는다. 권력은 일체이며 나뉘지 않는다. 권력은 자기중심적이고 고집이 세고 제멋대로이며 유혹이나 간청만으로 접근하기 어렵다. 이권은 권력의 편이고 열정도 권력의 편이고 편견도 권력의 편이며 종교라는 명칭도 권력의 편이다. 권력은 냉혹하기 때문에 양심의 가책을 받지 않는다. 권력은 스스로를 인간 위에 놓기 때문에 인정人情이 작동되지 않는다. 권력은 자신의 의지에 영합하고 자신의 자만심에 아첨하는 이성 외에 다른 어떤 이성의 소리에도 귀기울이지 않는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153-154,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해즐릿은
당대 최고의 (반론이 없는) 형이상학자였다.
단순히 돈 많고 신분 높은 사람들을 멸시하고,
가난하거나 억압받는 사람들을 사랑하고,
대중의 행복과는 대조적인
소수 계급의 교만과 권력을 혐오했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12, 윌리엄 해즐릿의 묘비문,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사람들 앞에서 그에게 응수하지 못한
귀족에게 화끈거리는 상처였던 그는
창조주 앞에서 귀족과 맞설 것이다.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13, 윌리엄 해즐릿의 묘비문 ,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윌리엄 해즐릿에 대해 다룬 아티클 중 그를 ‘비평가들의 비평가‘라고 부르는 글이 있었는데, 이 묘비문에도 그 호칭과 비슷한 존경심이 느껴져서 좋았습니다. 관찰력이 뛰어나고 까다롭지만 그래서 매력적인, 자신의 성격을 그대로 담은 글을 쓰는 사람이었던 것 같습니다.
아티초크
하금님 말씀대로 해즐릿의 묘비문에는 후대의 존경심이 담겨 있습니다. 역자에게서 원고를 처음 받아 묘비문을 읽었을 때의 감명이 생생합니다. ^^ 압권은 하금님이 문장수집을 하기도 한 "귀족에게 화끈거리는 상처였던 그는 창조주 앞에서 귀족과 맞설 것이다" 부분입니다. (해즐릿이 귀족에게만 화끈거리는 상처였던 건 아닙니다. 「아첨꾼과 독재자에 관하여」에서는 문필가와 언론인의 '매문(賣文)'에 대해서도 신랄하게 비판합니다.)
하금
“ 게다가 놀레켄스는 작풍이 상당히 단단하고 윤곽이 뚜렷하다. 그의 작품에는 첸트리에 못잖은 사실성과 개성이 있지만 우아한 매력이나 명료한 부드러움은 없다. 하지만 있는 그래도의 수수함과 순도 높은 충실성은 놀레켄스의 작품에 더 많이 담겨 있다. 그의 인품이 그런 것 같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20, 미술가의 노년에 관하여,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말하기 좀 그렇지만, 미술가들은 열에 아홉 장수하는 부류가 아니다(불쌍한 자들!). (중략) 반면에 예술원 회원은 확실히 다르다. 그는 빚쟁이나 비평가나 후원자가 “꺾을 수 없는 불사신“이다. 화가들의 사회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그는 평생 명성에 따르는 특권을 차지한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p.25-26, 미술가의 노년에 관하여,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누구나 처음에는 퓨젤리에게서 기은 인상을 받겠지만 더 자주 보고 싶은 사람은 노스코트일 것이다. 퓨젤리의 화법은 대체로 겁이 없고 사람을 놀라게 하는 측면이 있는데 노스코트처럼 마무리가 섬세하거나 어조가 부드럽지 않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40, 미술가의 노년에 관하여,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가령 그가 가진 미술품 견본들과 취미로 모은 골동품들이 어둑하고 몽롱한 분위기 속에서 먼지를 뒤집어 쓰고 무질서하게 뒤섞여 있으며, 많은 것들이 상상력을 요구하고 (지나치게 공을 들여 세련되지만 하찮고 현대화된 다른 이들의 수집품과는 얼마나 다른가!), 옛 거장들의 작품을 모사한 복제화들은 표면이 갈라지고 손상되어 있었는데, 이 모든 것들이 어우러져 마치 동화의 나라에 들어온 기분을 주었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46, 미술가의 노년에 관하여,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 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상상력이 그를 지배했고, 그 효과가 얼마나 선명했던지 상상 안에 이미 진품이 내포되어 있었다. 좋은 느낌을 주는 것과 진실한 것은 그에게 동일한 것이었다.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47, 미술가의 노년에 관하여,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코즈웨이에게서 그 모든 허물과 어리석은 언행을 발견한다 해도 우리는 그와 같은 인물을 다시는 만나지 못할 것이다.
왜 이러한 인물들이 죽어야 하는가?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50, 미술가의 노년에 관하여,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사실 우리는 자신이 무엇을 바라는지 모르고 스스로를 기만한다. 자신이 과거에 이러저러한 사람이었다고 상상하다가, 교묘한 잔꾀나 기묘한 망상으로 그간 상상하던 사람이 되고 싶고, 급기야는 인생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고 싶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p.59-60,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 경험에서 끌어낸 의견은 ‘혼합 양식‘으로, 유일하게 진실하고, 대체로 가장 호감을 준다. 우리의 삶은 추악하기만 하거나 관념적으로 완벽하지 않으며, 세상에 결함이 없는 괴물 같은 사람은 일찍이 없었다. ”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77,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하금
우리가 삶에 애착하는 이유는 삶에 자체나 행복과 관련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살아야 행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삶이 없다면 행동이고 뭐고 없다.
『왜 먼 것이 좋아 보이는가 - 우리 본성의 빛과 그림자를 찾아서』 p.84, 삶을 사랑한다는 것은,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