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채식지향인’입니다. 살면서 준채식 생활을 두 번 시도했는데 두 번 다 실패했고, 가끔 고기도 먹는 형태로 세 번째 시도 중입니다. 개를 사랑하고 공장식 사육을 반대하지만 고기를 못 끊고, 그런가 하면 비건‘주의’에도 확신은 없습니다.
준채식 생활 경험과 음식 윤리, 동물권에 대한 생각을 담은 에세이를 2025년 하반기에 낼 예정인데, 그 전에 12주 동안 아래 책들을 빠르게 읽어보려고요. 안 읽은 책들이라 수준이 어떤지 장담 못합니다(제가 읽은 책 중에서는 할 헤르조그의 『우리가 먹고 사랑하고 혐오하는 동물들』과 셸리 케이건의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윤지로의 『탄소로운 식탁』을 추천합니다).
아래 일정으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깊이 있는 토론을 하면서 읽을 거 같지는 않네요. 완독에 의의를 두고, 전자책으로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기록하는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모임 기간은 보름씩으로 하되, 목표는 7일 동안 한 권씩 읽는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1. (1/1~1/7) 채식의 철학 / 토니 밀리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188
2. (1/8~1/14) 채식의 배신 / 리어 키스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13
3. (1/15~1/21)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브라이언 케이트먼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39
4. (1/22~1/28)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멜라니 조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55
5. (1/29~2/4)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캐롤린 스틸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69
6. (2/5~2/11)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 마르타 자라스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84
7. (2/12~2/18) 죽음의 밥상 / 피터 싱어, 짐 메이슨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312
8. (2/19~2/25)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읽는 중입니다. https://www.gmeum.com/meet/2333
9. (2/26~3/4)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김태권
이 모임에서 읽습니다.
10. (3/5~3/11) 물건이 아니다 / 박주연
11. (3/12~3/18) 비만의 사회학 / 박승준
12. (3/19~3/25) 지속가능한 삶, 비건 지향 / 미지수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⑨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김태권)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장맥주
“ 고기를 먹으며 즐거워하는 것도 목숨을 빼앗으며 미안해하는 것도, 그 점을 굳이 숨기려 하는 것도 드러내려 하는 것도, 인류 문명의 역사에 거듭거듭 등장하는 장면이었습니다. 고기의 맛은 즐기지만 고기 먹는 일은 미안해하는, 이런 시선으로 이 책을 씁니다. 살코기를 떼어준 존재들을 잊지 않는 것, 먹히는 생명에 대한 예의. ”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고대 신화부터 현대 빅데이터까지 인류 문명에 깃든 육식의 문화사와 고기 먹는 불편함에 대하여』 김태권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서문이 참 좋네요.

장맥주
“ 글을 쓰며 떠오른 고민 하나 더. 오늘날 ‘공장식 축산'이 잔인한 일이라는 지적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대안으로 거론되는 방식 중 일부가 '고깃값을 올리는 일'이라는 점은 마음에 걸려요. 부자들만 고기를 먹게 된다면 육고기 소비가 줄긴 하겠죠. 하지만 가난한 사람들도 여기 찬성할까요? 음식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문제이기도 하더군요. ”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고대 신화부터 현대 빅데이터까지 인류 문명 에 깃든 육식의 문화사와 고기 먹는 불편함에 대하여』 김태권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그러고 보니 <오디세이아>의 주인공 오디세우스는 먹는 쪽과 먹히는 쪽을 쉴 새 없이 오락가락하네요. 가는 곳마다 남의 가축을 잡아먹지만 동료 대부분이 괴물과 거인에게 잡아먹히거든요. 그렇다면 오디세우스는 기나긴 여정의 끝에 깨달음을 얻고 간디처럼 육식을 끊었을까요? 천만의 말씀! 이후로도 틈만 나면 신 나게 먹고 마셨답니다. 육식의 불편함을 깨달았다고 해서 육식을 끊게 되는 건 아니더라는 점을 오디세우스가 보여줍니다. ”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고대 신화부터 현대 빅데이터까지 인류 문명에 깃든 육식의 문화사와 고기 먹는 불편함에 대하여』 김태권 지음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실은 채식에 관한 책이 서양에는 많지만 우리나라는 채식 식당도 관련 책도 그렇게 많지 않고 회식문화 등 다른 식문화로 좀 다를 것 같아서 채식에 대한 한국책을 접해보고 싶었습니다. 계속 기다렸다가 이제 참여해봅니다.

장맥주
환영합니다! @borumis 님. 그런데 이 책은 채식보다는 육식의 불편함에 대해 말하고 있네요. 큰 틀에서는 같은 주제입니다만. ^^

장맥주
“ 앞서의 가설이 참이라면 무서운 전쟁을 치르는 동안 사람고기를 먹는 이야기가 인기를 누려야겠죠. 결과는 다르더군요. 19세기 이후 식인종과 관련된 단어의 사용 빈도가 갈수록 높아지긴 했어요. 그러다 크게 두 번 꺾입니다. 1810년대 초반과 1910년대 말. 각각 나 폴레옹전쟁과 1차 대전 때였죠. 2차 대전과 한국전쟁 무렵 그리고 1980대 미소 냉전이 심했을 무렵에도 주춤했고요. ”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고대 신화부터 현대 빅데이터까지 인류 문명에 깃든 육식의 문화사와 고기 먹는 불편함에 대하여』 김태권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셋째, 추어탕 대 추탕의 이야기입니다. 지역에 따라 미꾸라지를 갈아 넣은 요리가 추어탕이고, 갈지 않고 통으로 넣은 요리가 '추탕'입니다. 얼얼한 맛을 내기 위해 추어탕 또는 추탕에 넣는 가루의 이름이 제피냐 초피냐 산초냐 역시 논란거리죠. 아무려나 먹을 때 미꾸라지가 보이느냐 보이지 않느냐, 추어탕의 '인'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미꾸라지의 몸을 보면 측은한 마음이 일어나 먹지 못한다는 쪽이 '인' 일까요? 또는 먹는 사람이 마음 편하겠다고 형태도 알아보지 못하게 갈아버리는 쪽이 '불인'일까요? ”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고대 신화부터 현대 빅데이터까지 인류 문명에 깃든 육식의 문화사와 고기 먹는 불편함에 대하여』 김태권 지음
문장모음 보기

stella15
전에 이어령 교순가 어느 분이 사람은 어느 존재를 죽여야 먹고 사는 존재라고 하는데 그런 존재가 몇 있긴하지만 그중 인간이 가장 잔인한 존재죠. 그걸 냉동까지 하잖아요. 살아있는 낙지를 앉은 자리에서 끊여 연포탕을 먹는 존재가 인간죠. ㅠ

새벽서가
문어는 똑똑하다는데 참 끔찍해요. ㅠㅠ

borumis
파를 먹으면서 사람과 소를 구별하게 되었다는 전래동화는 우리나라 전래동화일까요? 처음 들어본 건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