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 3월〕 이듬해 봄

D-29
신들끼리 모이면 나는 주로 못돼 처먹은 편이었는데 그건 아무래도 글자들을 쓰다듬어 희망하는 건강한 아름다운-과 짝을 만들어주어도 모자랄 판에 못돼 처먹은 이라는 말을 남겨두고 숲 바깥으로 달아나버렸기 때문이었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215 (3월 28일의 시, 실낙원), 신이인 지음
글은 하나의 세계니까 그 세계를 써내는 작가와 시인은 (그 세계에서만큼은) 창조주, 신이겠네요. 당연한 말인데 괜히 글을 써내는 일의 무게에 대해 생각하게 되네요. 어디에선가 글에는 쓰는 사람의 기억과 믿음이 티가 날 수 밖에 없단 말을 들은 것 같아요. 작가가 (아니면 그저 쓰는 사람이) 써내는 세계는 작가에게서 빠져나와 독립 된 세계면서 또 한편으론 작가와 연결 되어있네요. 뭔가... 나를 닮은 상이 비치는 거울 같고 나와 닮은듯 영 같진 않은 자식 같은 존재 같단 생각이 들 것 같아요. 못돼 처먹은, 글을 남기는 나는 나의 못돼 처먹은 부분을 글이라는 세계에 남기고 그 못돼 처먹은 나의 일부를 다른 신들도 볼 수 있다니. 역시 글 쓰기는 무겁고 무서운 작업 같아요. 그걸 공유하는 건 더더욱이요.
그렇지만 소싯적 믿었던 희망과 건강과 아름다움은 여전히 저 안에서 살고 있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217 (3월 28일의 시, 실낙원), 신이인 지음
못돼 처먹은 시인 못돼 처먹은 시 못돼 처먹의 신 나를 위해서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p.218-219 (3월 28일의 시, 실낙원), 신이인 지음
3월 28일 (시) '실낙원' 오늘의 글에서 가장 눈에들어오는 단어,문구는 '글자들의 마음' 입니다. 오늘은 개인적으로 좋은날이기도하면서 많은 에너지를 쏟아부은 그런ㅎㅎ 결국엔 좋은날이었어요 그런데 피곤함이 찾아와 긴 글들이 둥둥 떠다니는것같지만, 글자의 마음이라는 문구는 마음에 담기어지네요 거꾸로 바꿔보면 어떨까요? 마음의 글자들~ 글자들의 마음~~~ 좀더 머물러 글속에 있어봐야겠다고 생각하는 날입니다.
나조차 잊어버릴 유치하고 저열한 한때의 말들을 누군가는 계속해서 뇌에 담아둔 채 나를 바라볼지도 모른다! 그게 내 친구가 될 수도 있고, 연인이 될 수도 있고, 미래의 내 자식이 될 수도 있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223 (3월 29일의 에세이, 김규영), 신이인 지음
어제 이야기한 ‘무시무시한 글 쓰기의 효과‘가 딱 이 감정이에요. 저는 특히 블로그에 이런 말 저런 말 다 고스란히 써놓는 편인데, 미래에 지나치게 가까워질 누군가가 볼까봐 가끔 덜컥 겁이나기도 해요. 저도 그런데, 전국 책장에 자기 말이 꽂혀있는 사람은 어떨까 싶네요 ㅎㅎ
시가 문득 힘을 빼고 삶을 의역하기 시작했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224 (3월 29일의 에세이, 김규영), 신이인 지음
이 문장이 참 마음에 들어요. 시를 쓰는 사람들의 마음이 궁금할 때가 있는데, 쓰는 사람들의 감정이 이 문장에 단정하게 개켜 들어있는 것 같아요.
삶이 달라졌다는 사실이 있었고, 시가 달라졌다는 사실이 있었다. 그리고 삶과 시를 잇는 터널이 뚫렸다는 사실이 있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224 (3월 29일의 에세이, 김규영), 신이인 지음
시는 좋다. 많은 것을 설명하지 않아도 된다. 모두가 뭉뚱그려 말한 다음 오해를 허락한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225 (3월 29일의 에세이, 김규영), 신이인 지음
저는 시를 좋아한지 얼마 안 됐는데, 시를 멀리 할 때는 바로 이 이유 때문에 시를 멀리하다가 요새는 또 이 이유 때문에 시가 좋아요. 시간이 지나고 나이가 들 수록 입맛이 변한다고하는데 저는 책 취향도 같이 변하는 것 같아요 ㅎㅎ
내 삶은 투명하게 기록되는 중이다. 터널이 뚫렸기 때문에. 그 터널로 무엇인가가 세차게 빠져나가고 있기 때문에. 원해서든 아니든 나의 일거수일투족은 글에 반영되고 있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p.225-226 (3월 29일의 에세이, 김규영), 신이인 지음
이해를 믿기에 오해를 두려워하지 않는. 보이지 않는 누군가가 옆에서 끝까지 완독해줄 것을 믿는.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p.226 (3월 29일의 에세이, 김규영), 신이인 지음
3월 29일(에세이) '김규영' '삶과 시를 잇는 터널이 뚫렸다는 사실이 있었다.' '낮아지고 단순해진 목소리를 보면서 몸이 가벼워진 것을 느꼈다.' 두개의 문장이 좋았습니다~ 삶과 시를 잇는 터널이 뚫렸다는 글 초반을 읽을땐, 아~삶이 시와 연결됨을 이룬것이구나. 좋은 움직임이었네라고만 생각했어요. 그런데 뒤부분으로 갈수록 그런의미만은 아니겠다생각하게되었네요 삶이 시와 연결되어져버리니 그 시를 읽는 사람은 시를 쓴 사람의 삶을 마주보게되는거더라구요.. 그렇게 알수도 아님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에게 삶이 오픈되는건~여러의미로 다가오는것일꺼에요 낮아지고, 단순해진 목소리 그로인한 가벼워진 몸에는 좋은~향기와 깊이있음이 담기어 있을것같아요
시가 모두가 뭉뚱그려 말한 다음 오해를 허락한다라는 작가의 말을 들으니~ 저를 비롯한 이곳에서 함께 읽고 나누는 분들은 오해를 허락받은사람이자 오해를 열심히 나누고 있는 사람이네요ㅎㅎㅎ
이건 너에게 닿기 위해 쓰는 글이 아니야. 내가 나를 못 참아서 쓰는 글이야.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읽고 있어?>, p.151, 신이인 지음
친구로 지내고 싶은 이에게 납덩어리로 기억되었고 그로써 다시 기억을 고칠 기회를 받을 수도 없다는 사실이 두렵고 서럽고 답답하고 무엇보다도 억울, 억울하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무제>, p.160, 신이인 지음
감정이 짙게 들어간 글은 분명 나중에 부끄러워질 테니 어디다 발표하지 말자는 생각을 나도 한다.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3월 23일 편지, p.179, 신이인 지음
이상한 말을 많이 했는데 왜 함께 있어주었나
이듬해 봄 - 신이인의 3월 <외계인의 시>, p.188, 신이인 지음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그믐북클럽X토프] 25. 지금, 한국 사회를 생각하며 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경계를 허무는 [비욘드북클럽] 에서 읽은 픽션들
[책 증정]  Beyond Bookclub 12기 <시프트>와 함께 조예은 월드 탐험해요[책 증정] <오르톨랑의 유령>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9기 [책 증정] <그러니 귀를 기울여>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3기 [책 증정] <지구 생물체는 항복하라> 읽고 나누는 Beyond Bookclub 2기
연뮤클럽이 돌아왔어요!!
[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나 혼자 산다(X) 나 혼자 읽는다(0)
운동 독립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현실 온라인 게임
[그믐클래식] 1월1일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4월의 그믐밤엔 서촌을 걷습니다.
[그믐밤X문학답사] 34. <광화문 삼인방>과 함께 걷는 서울 서촌길
셰익스피어와 그의 작품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북킹톡킹 독서모임] 🖋셰익스피어 - 햄릿, 2025년 3월 메인책[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봄은 시의 세상이어라 🌿
[아티초크/시집증정] 감동보장!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시집과 함께해요.나희덕과 함께 시집 <가능주의자> 읽기 송진 시집 『플로깅』 / 목엽정/ 비치리딩시리즈 3.여드레 동안 시집 한 권 읽기 13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STS가 궁금하다면?
STS SF [응급실 로봇 닥터/책 증정] 저자들과 함께 토론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고려대X포스텍 <STS, 과학을 경청하다>독서모임
AI로 난리인 요즘!
[도서 증정]《미래는 생성되지 않는다》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김영사/책증정] <AI 메이커스> 편집자와 함께 읽기 /제프리 힌턴 '노벨상' 수상 기념『AI 2045 인공지능 미래보고서』 혼자 읽기AI 이후의 세계 함께 읽기 모임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