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채식지향인’입니다. 살면서 준채식 생활을 두 번 시도했는데 두 번 다 실패했고, 가끔 고기도 먹는 형태로 세 번째 시도 중입니다. 개를 사랑하고 공장식 사육을 반대하지만 고기를 못 끊고, 그런가 하면 비건‘주의’에도 확신은 없습니다.
준채식 생활 경험과 음식 윤리, 동물권에 대한 생각을 담은 에세이를 2025년 하반기에 낼 예정인데, 그 전에 12주 동안 아래 책들을 빠르게 읽어보려고요. 안 읽은 책들이라 수준이 어떤지 장담 못합니다(제가 읽은 책 중에서는 할 헤르조그의 『우리가 먹고 사랑하고 혐오하는 동물들』과 셸리 케이건의 『어떻게 동물을 헤아릴 것인가』, 윤지로의 『탄소로운 식탁』을 추천합니다).
아래 일정으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깊이 있는 토론을 하면서 읽을 거 같지는 않네요. 완독에 의의를 두고, 전자책으로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기록하는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모임 기간은 보름씩으로 하되, 목표는 7일 동안 한 권씩 읽는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1. (1/1~1/7) 채식의 철학 / 토니 밀리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188
2. (1/8~1/14) 채식의 배신 / 리어 키스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13
3. (1/15~1/21)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 브라이언 케이트먼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39
4. (1/22~1/28)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 멜라니 조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55
5. (1/29~2/4) 어떻게 먹을 것인가 / 캐롤린 스 틸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69
6. (2/5~2/11)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 마르타 자라스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284
7. (2/12~2/18) 죽음의 밥상 / 피터 싱어, 짐 메이슨
읽는 중입니다. https://www.gmeum.com/meet/2312
8. (2/19~2/25)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이 모임에서 읽습니다.
9. (2/26~3/4)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김태권
10. (3/5~3/11) 물건이 아니다 / 박주연
11. (3/12~3/18) 비만의 사회학 / 박승준
12. (3/19~3/25) 지속가능한 삶, 비건 지향 / 미지수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⑧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알렉산더 폰 쇤..)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장맥주
“ 생태학적 책임 의식을 갖는 삶 은 그것이 금지와 고행을 요구하기보다는 좀 더 즐거운 삶을 약속할 때만 실현될 수 있다.
기후 재앙을 경고하는 이들에게는 대중의 의식을 일깨워준 공로에 감사 인사를 보내야 마땅하다. 하지만 이제는 이들이 외치는 종말론적 시나리오 대신 새로운 환경운동가들이 말하는 ‘유토피아적 실용주의’를, 그보다 더 혁신적인 이들 사이에서는 ‘쾌락적 지속가능성Hedonistic Sustainability’이라 불리는 것을 내세울 때가 왔다. 책임 의식을 갖고 자연과 생명체를 대하고, 소비와 오락산업에서 떠드는 장단에 맞추지 않는 삶을 사는 것도 얼마든지 즐겁고 재미있을 수 있다. ”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헛소리에 휘둘리지 않고 우아하게 지구를 지키는 법』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이상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효과적인 기후정책을 세울 때 중요한 조건은 항공 여행에 더 많은 세금을 물리되 가족 여행을 막을 정도로 비싸면 안 된다는 것이다. 휘발유 가격을 올리지만 차를 세워둘 정도로 높으면 곤란하다. 우리는 지금처럼 일상을 계속 유지해 나갈 것이다. 단지 조금 더 녹색으로, 더 비싸게, 또 양심의 가책을 조금 더 느낄 뿐이다.
이로써 대답을 대신할 수 있을까? ”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헛소리에 휘둘리지 않고 우아하게 지구를 지키는 법』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이상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여러분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여기서 다루어지는 주제들의 과학적 측면에 대해서는 크게 아는 게 없다. 집 배수관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하라고 하면 할 말이 없을 정도니 말이다. 그런데 나의 이런 무지는 과학적 확실성에 대한 모종의 회의와 짝을 이루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지극히 건전한 태도로, 과학의 본질은 연구 결과가 언제든 재반박될 수 있는 잠정적 성격을 띤다는 점에 있기 때문이다. 인종차별주의 역시 이른바 과학적 인식에 기초해 정당성을 얻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근거가 잘못되었음을 과학자들은 오래전에 밝혀냈다. 1962년, 레이첼 카슨이 《침묵의 봄》을 내놓으면서 살충제의 위험성을 경고했을 때 저명한 과학자들은 그녀를 비웃었다. 다시 말해 유행과 집단압력 같은 현상이 과학의 세계에서도 부지기수로 일어난다. 명쾌한 설명들 말고도 과학의 이름을 건 수많은 헛소리가 세상을 떠돌고 있어서 우리 같은 문외한들은 일일이 그 사실을 입증해내기가 불가능할 정도다. ”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 헛소리에 휘 둘리지 않고 우아하게 지구를 지키는 법』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지음, 이상희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