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묘사로만 끝나면 안 되고 거기에 무슨 거창한 이론이 들어가야만 좋은 작품으로 여겨지고 그러면 사람들의 입을 다물게 할 수 있다.
삐딱하게 보기
D-29
Bookmania
Bookmania
자기 마음을 솔직하게 밝히는 게 낫지 그냥 교훈적으로 어떤 말을 끼워넣는 것은 양심상 할 수 없는 것 같다. 저절로 나오는 글을 써야지 의무적으로 해야하는 말을 끼워넣는 건 뭔가 글을 쓸 때도 생기가 안 생긴다. 작가로서 부끄럽기까지 하다. 자기에게 솔직해야 한다는 것에서.
Bookmania
절대 고쳐지지 않는 타고난 기질 같은 걸 멀리할 게 아니라 그대로 받아들여 그걸 활용하는 게 백배 낫다.
Bookmania
민주적이라는 것은 남이 하려고 하는 것을 막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Bookmania
마광수는 성애 소설이면 그것으로 끝내야지 다른 것으로 물타기하는 양다리 걸치는 걸 싫어한다.
Bookmania
이성적 인간이라고 하지만 꼭 문제가 되는 것을 감정이다. 이 감정을 잘 다스려야 사회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Bookmania
어렵게 쓰는 작가들보다 쉽게 쓰는, 그레서 그들의 책을 많이 읽을 때 나는 개인적으로 영감을 얻는 게 많고 깨닫고 통찰하는 게 훨씬 많다. 그래서 이들의 책을 놓을 수가 없고 그가 세상에 이제 없다면 너무나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이다.
Bookmania
이열치열이라고 내가 슬플 때 슬픈 영화를 보면 어느 정도 슬픔이 해소되는 느낌이다.
Bookmania
시청자는 가벼운 것을 좋아하지 부담스러운 무거운 내용을 좋아하지 않는다.
Bookmania
여자가 입을 자주 놀리는 것도 성욕 해소를 위한 대리배설이라고 한다.
Bookmania
여주인공이 에쁘긴 하지만 약간 허당끼가 있어야 인기를 끈다. 똑똑하고 똑부러지고 예쁘기만 하면 안 되지만 그렇지만 나중에 완전히 망가지면 또 관객에게 시원한 카타르시스를 선사한다. 관객은 못됐다.
Bookmania
소설은 여주인공의 외모에 대해 자기 마음대로, 자기 취향에 따라 상상적 참여를 헤서 인기가 완전히 떨어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Bookmania
마광수는 김동인을 높게 치는데 그의 뒤를 잇는 작가가 없다는 것에 한탄한다. 그러고 보니 마광수의 뒤를 잇는 작가도 없다.
Bookmania
쉽게 쓰는 작가가 내게 더 많은 영감을 준다
어렵게 쓰는 작가보다 쉽게 쓰는,
그래서 그의 책을 많이 읽을 때 나는 개인적으로
영감을 얻는 게 많고 깨닫고 통찰하는 게 훨씬 많다.
쉽게 쓰기 때문에 그의 생각을 더 많이
내가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들의 책을 놓을 수가 없고
그가 세상에 이제 없다면 너무나
안타깝게 생각하는 것이다.
Bookmania
남자가 더 빨리 죽는 이유
내가 보기엔,
남자가 더 일찍 죽는 이유가, 전엔 그래도
남자들이 말로 표현을 잘 안 해서 그렇다고 생각했는데
왜 이렇게 말로 잘 표현 안 하느냐가
더 근본적인 이유일 것 같다.
남자들의 책임감과 의무감 때문인 것 같다.
왜 남자들에게 이런 게 주어졌는지는 모르겠지만-그래도
짐작건대 사냥과 농경사회에서 육체적으로 더 힘이 세서
그럴 거라 추측-하여간 이 의무감과 책임감이 부담으로
작용해 함부로 남에게 표현도 잘 못 한다.
그게 수명을 단축하는 이유일 것이다.
반면 여자는 불만이 있으면 바로 남들에게 털어놓고
서로 수다를 떨며 풀고 그것도 안 되면
혼잣말이라도 중얼거린다.
그리고 남에게 의존도 잘한다.
전부 자기가 떠안으려 하지 않는다.
남의 힘을 빌린다.
교회나 절에 여자들이 더 많이 가는 것만 봐도 그렇다.
신에 의지해 위로받으려는 것이다.
거기서 자기 속마음도 털어놓으면서 소원도 빈다.
이 의무와 책임이라는 짐이 결국 남자를 더 빨리
죽게 하는 근본 원인 같다.
Bookmania
너무 어려운 것은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 큰 문맥만 안 놓치도 그냥 건너뛴다. 거기서 그래봐야 결국 지금은 이해하는데 실패한다.
Bookmania
여자들은 그런 것도 있다. 너무 주변의 영향을 너무 많이 받으니까 남자에게 모두 다 배우받으려고만 한다. 대우할 줄을 모른다. 그렇게 하면 자기 가치가 떨어져 자존심이 상해 주변을 보고는 자기 혼자만 안 그런다. 주체성이 부족하다.
Bookmania
솔직한 글이 가장 좋은 글인데
글이나 말과 진짜 인간의 생각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생각과 글과 말을 일치시키기 위해
자기 생각을 솔직하게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글을 아낀다면 글만 보고 그 작가의 생각을 같이 생각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 사람의 생각뿐 아니라 그 사람의 인격까지도
그 글과 같은 수준으로 왜곡해 볼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거기다가 직접 체험보다도 글을 통한 간접 경험에
사람은 더 큰 영향을 받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 글이 아무리 품위와 조리에 있어
훌륭하다고 해도 솔직한 글보다는 더 나을 수 없다.
조악(粗惡)하고 거친 글이라도 솔직한 글이
더 훌륭한 글이랄 수 있다.
그래서 가능하면 작가는-글을 진정 아낀다면-솔직하게
생각을 적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진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그렇더라도 생각을 그대로 글로 표현하는 건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에 그것들이 일치하기는 쉽지 않다.
“글은 곧 그 사람이다.”가 아니다.
그래서 아예 선가(禪家)에선
불립문자(不立文字)가 나온 것이다.
실상이 이럴진대 경전(經典)의 자구(字句) 하나하나에만
집착하여 엉뚱한 광신적(Fanatical) 신조로 발전하는
근본주의적 신앙은 참으로 어리석기 짝이 없다 할 수 있다.
생각을 글자로 정확하고 적절히 표현하긴 어렵지만
또한 글자 없이는 살아갈 수 없기에 가능한 한계 내에서라도
솔직, 정직하게 표현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생각을 글자로 표현하기도 힘든데
솔직하지도 않으면 그 글을 누가 믿겠나.
Bookmania
이명박은 실무에 능하지만 우리가 결국 가야할 길은 진보인 노무현 같은 사람이 주장한 대로 가야한다.
Bookmania
원래 생각이 정리가 안 되면 어렵게 쓴다. 나이가 들어 생각이 정리되면 글을 쉽게 쓴다.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