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자면 실연하고서 새 남자로 '예수'를 택한 여인이었던 셈이다.
나의 이력서
D-29
Bookmania
Bookmania
욕을 먹기 전에 욕을 미리 한다. 그래야 덜 억울하기 때문이다.
Bookmania
G는 그때 이미 3년 연상의 애인이 있어 한 살 위밖에 안 되는 나를 금세 받아주지 않았다.
Bookmania
내가 구애(求愛)와 단념을 몇 번이나 반복하고 나서, 그리고 그녀도 애인을 몇 번이나 바꾸고 나서, 우리는 드디어 늦은 나이에 결혼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녀와 나는 결혼생활을 얼마 못한 채 각자 씁쓰레한 마음을 부여안고 갈라서게 되었다.
Bookmania
그래서 나는 그녀와의 결혼생활을 추억하기가 싫다.
Bookmania
세월은 미움도 사랑으로 변하게 하는 힘을 갖고 있는 것 같다.
Bookmania
유명 영화감독이나 대학 교수를 따르는 여학생들이 많다.
Bookmania
왜 남의 책 읽는 것에서 한 작가의 책만 읽으면 이제 그만 읽으라고 하는지 모르겠다.
Bookmania
우리는 안정을 원한다
우리는 안주하려고 한다.
이건 예술도 마찬가지다.
과학도 그렇다.
그래 자기 안정을 뒤흔드는 것을 일단은 탄압하고
그게 자리를 잡으면 그냥 둔다.
누구나 안정을 희구하기 때문이다.
Bookmania
남들이 말하는 유염한 책을 실제 유명한 작가들도 다 읽지 않고 자기가 좋아하는 잘 알려지지 않은 책을 더 많이 읽는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런 걸 겉으로 내세우진 않는다.
Bookmania
마광수는 이념에 의한 맹목이 아니라 합리적 사고를 꾀하였다.
Bookmania
나는 신보다는 책을 신으로 모신다. 그래서 나는 매일 신인 책에 절을 감사합니다, 외치며 절을 책에 한다.
Bookmania
일, 사랑, 취미
인간은 이 세 가지를 갖고 살아가는 것 같다.
일해야 산다. 먹고 살기 위해 노동(Labour)을 하고 그에 따른
대가로 받은 돈으로 삶을 이어 나간다.
정치인들이 말하는 생계와 관련된 민생, 즉 먹사니즘이다.
그리고 사랑(좋아하지만, 현실적으로 이루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자기만의 이상향)을 한다.
그것에 감사하며 예를 갖춰 소원을 빌기도 한다.
자기 마음속의 유토피아니즘, 피안(彼岸),
즉 이상(Utopia)을 마음에 간직하고 현실의 고달픔을 달랜다.
이성을 향한 이룰 수 없는 슬픈 사랑도 있고,
신에 대한 절대복종, 하여간 현실엔 없는
실현 불가능한 것을 우러르며
현실의 고뇌를 그것으로 상쇄(相殺)하는 것이다.
그리고 일은 의무적으로 하는 거라 너무 팍팍하다.
사랑, 이상은 거의 이루기가 실은 불가능해 피부에
안 닿아 직접적으로 위안이 되지 못한다.
그 간극을 메꾸는 게 취미, 자기 취향(Preference)을
즐기는 것이다.
게임이나 낚시, 독서, 여행 등 현실적으로 가능한, 그러면서
피부에 얼른 와닿는, 이 취미와 놀이의 향유(享有)가
이 노동(현실의 고통)과 사랑(이상적 낙원)의
간극을 메꾸면서(사이에 존재 하면서)
인간은 생활을 꾸려 나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Bookmania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로다, 라는 말은 실존이 있는데 그것을 희석시키지 말라는 말 같다. 계엄은 계엄인데 다른 것을 끌여들여 엄연한 계엄을 그렇지 아닌 것으로 언더록으로 물타기 하지 말란 말이다. 그냥 양주의 진가는 물타기 없이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게 진짜, 계엄이란 말이다.
Bookmania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성철 스님의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로다.”라는 말은
인간 실존이 있는데 그걸
희석시키지 말라는 말 같다.
계엄은 계엄인데 다른 것을 끌어들여 엄연한 계엄을
그렇지 않은 것으로, 양주를 언더락으로
물타기 하지 말란 말이다.
양주의 진가는 물타기 없이 스트레이트로 마시는 게 진짜,
계엄이란 말이다.
인간 사회가 복잡한 것 같아도 잘 통찰해서 보면
그 가닥을 흐르는 건 몇 가지 안 되는 것 같다.
Bookmania
공문서는 한 번 결정되면 고치기가 그렇게 어렵다.
Bookmania
자기 글에 대한 변명은 그 글과는 분위가가 많이 다를 수 있다.
Bookmania
부역장으로 나가라고 했으면 그 말을 한 사람과 듣는 사람은 같은 뜻이 아닐 수 있는 것이다. 말하는 사람의 의도와 듣는 사람의 해석이 다를 수 있다.
Bookmania
인간은 역시 자기 위주다. 자기 애들이 초등학생이면 초등학생에게 일어난 일에 그렇게 관심이 많고 자기 일처럼 생각한다. 애들이 대학생이면 대학생들에게 관심이 많다.
Bookmania
그 작품이 사람들에게 외면받아도 그 작품이 자기가 추구하는 것과 일치하면 그것을 사람들에게 소개한다. 아무리 유명한 작품이라도 자기와 안 맞으면 소개 안 한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