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
[북킹톡킹 독서모임] 💡생각에 관한 생각(4부~결론), 2025년 1월~2월 벽돌책
D-29
로베르토
지구
“ 앨런: 지적이다, 성실하다, 충동적이다, 비판적이다, 완고하다, 시기심이 강하다.
벤: 시기심이 강하다, 완고하다, 비판적이다, 충동적이다, 성실하다, 지적이다.
사람들은 대부분 벤보다 앨런을 훨씬 더 친근하게 생각했다. 앞에 나온 특성이 뒤에 나온 특성의 의미를 바꿔버린 탓이다. 지적인 사람의 완고함은 타당해 보이고 존경심마저 생기게 하지만, 남을 시기하고 완고한 사람이 지적이라면 더 위험해 보인다. ”
『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1부 속단 중 과장된 감정 일관성(후광 효과),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창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지구
이 부분을 읽으니까 첫 인상이 생각보다 중요한 요소인가보다 싶더라구요. 상황이나 사람을 판단할 때 나의 첫 인상이 내 후광효과로 작용하게 된다고 생각하니.. 긍정적인 편향을 가질 수 있게 뭔가 조치를 취하고 싶단 생각.. ㅋㅋㅋ
+ 진도가 넘 늦었네요. 얼른 읽겠습니다!

봄솔
어떤 사람일것이다 하는 짐작에 대한 편견은 꽤 오래 가는것 같아요
2부에 보면 어떤 사람 전공 맞추기 나오는데 재밌게 읽으실거 같아요.
진도야 뭐 다 각자 다른건데 천천히 오세용

테른
선입견, 편견, 색안경, 고정관념 무서운거 같아요!

테른
첫인상은 3초만에 결정된다고 하더라구요!

테른
문장 순서 차이가 있네요
지구
“ 그런데도 한쪽 주장만 들은 경우, 판단은 한쪽으로 쏠렸다. 게다가 한쪽 주장만 들은 참가자는 양쪽 주장을 다 들은 참가자보다 판단에 더 확신을 가졌다. 이런 확신은 이용 가능한 정보로 자기가 직접 구성한 이야기가 논리적으로 일관되다고 느낄 때 나온다. 그럴듯한 이야기를 지어낼 때 중요한 것은 정보의 일관성이지, 정보의 완성도가 아니다. 실제로 아는 게 적을수록 알고 있는 모든 것을 일관되게 구성하기가 쉬웠던 경험이 많을 것이다. ”
『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1부 속단, ‘보이는 것이 전부다’중에서,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창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지구
직설적으로 말하자면 아는 것이 적을수록, 속단을 내리기 쉽다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한 분야의 전문가일수록 ‘가능성’에 대해서 얘기하는 것처럼.. 실제로 아는 것이 많을수록 신중하게 다양한 입장을 고려할 줄 알고 확신하지 않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톡킹방히히
“ 무작위 기준점이나 터무니없는 기준점(간디가 144에 사망했다는 등)에 노출된 실험 참가자들은 백해무익한 그런 정보에 절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큰소리치지만, 그건 몰라서 하는 소리다. ”
『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P.196(2부 11장 /기준점 효과와 두 시스템),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창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톡킹방히히
<그건 몰라서 하는 소리다> ㅋㅋㅋㅋ
표현이 재밌네요.
<개소리에 대하여> 대화에서 오고 간 내용도 마구마구 떠오르네요
나의 시스템 2여 힘을 내거라!!

테른
좋아요!

톡킹방히히
“ "알라 사례는 작은 위험에 대처하는 우리 능력에 기본적인 한계가 있음을 잘 보여준다. 우리는 그런 위험을 철저히 무시하거나 과잉 대응할 뿐 중간 입장을 취하지 않는다.
파티에서 늦게까지 돌아오지 않는 10대 딸아이를 기다리며 밤을 세워본 부모라면 그 기분을 알 것이다. 걱정할 필요가 (거의)없다는 걸 알면서도 머릿속에 안 좋은 이미지가 떠오르는 건 어쩔 수 없다." ”
『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P.220 (2부 13장 소제목 : <일반인과 전문가>),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창신 옮김
문장모음 보기

톡킹방히히
“ • 선스타인은 '확률 무시'라는 말을 만들어 이런 유형을 설명했다.
• 회상 용이성 폭포의 사회적 작동 원리에다 확률 무시가 더해지면 필연적으로 사소한 위협이 크게 부풀려지고, 더러는 중대한 결과를 초래한다. ”
『생각에 관한 생각 - 우리의 행동을 지배하는 생각의 반란!』 P 220 (2부 13장 /소제목 :<일반인과 전문가>), 대니얼 카너먼 지음, 이창신 옮김
문장모음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