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성!
[북킹톡킹 독서모임] 💡생각에 관한 생각(4부~결론), 2025년 1월~2월 벽돌책
D-29

테른

테른
그런가 하면 높은 소득처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대개는 긍정적이지만 돈에 유독 신경을 많이 쓰는 사람이 있어서 전체 그림은 복잡한 경우도 있다.

테른
고등교육의 영향을 대규모로 조사한 어느 연구는, 비록 연구 목적은 달랐지만, 젊은이들이 세운 목표가 일생에 미치는 효과를 보여주는 놀라운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의 토대가 된 자료는 1976년에 엘리트 학교에서 고등교육을 시작한 약 1만 2,000명을 대상으로 1995~1997년에 실시한 설문 조사다. 이들은 17, 18세 때 “경제적으로 매우 풍족한 삶”이라는 목표에 “중요하지 않다”부터 “필수적이다”까지 4단계 중 하나에 표시하는 설문 조사에 참여했었다. 그리고 20년이 지나 다시 설문에 참여해, 1995년의 소득 그리고 현재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등에 대답했다.

테른
목표는 큰 차이를 낳았다. 경제적 포부를 밝힌 지 19년이 지나, 높은 소득을 원했던 학생들 다수는 실제로 그 포부를 달성했다. 예를 들어, 설문 작성자 중 의사를 비롯해 의료계 전문직 종사자 597명을 보면, 과거에 돈의 중요성을 한 단계 높이 평가할 때마다 1995년 소득이 무려 1만 4,000달러 이상 증가했다. 직업이 없는 기혼 여성들도 과거의 경제적 포부를 실현한 경우가 많아서, 포부가 한 단계 높아질수록 배우자의 수입에서 나오는 가계소득이 1만 2,000달러 이상 증가했다.

테른
18세 때 소득에 어느 정도의 중요성을 부여했는가에 따라 성인이 되어 소득에 얼마나 만족할지도 예측할 수 있었다. 우리는 고소득 집단(가계소득 20만 달러 이상)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저소득부터 중간 소득까지의 집단(5만 달러 이하)과 비교했다. 경제적으로 매우 풍족한 삶을 필수 목표라고 응답했던 사람들의 경우에는 소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커서, 5점 만점에 0.57점이었다. 반면에 돈은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던 사람들은 그 수치가 고작 0.12였다.

테른
돈을 원했고 그만큼 벌어들인 사람은 평균보다 훨씬 더 만족스러워했고, 돈을 원했지만 그만큼 벌지 못한 사람은 훨씬 더 실망스러워했다. 다른 목표도 마찬가지다. 성인이 되어 삶에 불만을 갖는 비결(?) 하나는 달성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목표를 세우는 것이다. 20년 뒤의 삶에 대한 만족도를 볼 때 젊은이가 세울 수 있는 가장 장래성 없는 목표는 “공연 예술 분야에서 성공하기”였다. 10대의 목표는 앞으로 그들에게 어떤 일이 일어날지, 어떤 사람이 될지, 얼마나 만족하며 살지에 영향을 미친다.

테른
달성할수 있는 목표를 세우자!

테른
나는 이 연구 결과에 일부 영향을 받아, 이제까지 생각해온 행복의 정의를 바꾸기로 했다. 사람들의 목표는 앞으로 어떤 일을 할지, 그 일을 어떻게 느낄지에 워낙 중요해서, 오직 체감 행복에만 주목하는 것은 정당화하기 어렵다. 사람들이 바라는 바를 무시하는 행복의 개념은 옳지 않다. 그리고 사람들이 살면서 느끼는 감정은 무시한 채 자기 삶을 돌아볼 때 느끼는 감정에만 주목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정당화하기 어렵다. 두 자아의 행복을 모두 고려하는 혼합된 관점의 복잡성을 인정해야 한다.

테른
행복하기 참 어렵네요

테른
요즘 결혼 관련 대만드라마 보고 있는데 재밌어요 ㅎ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